[2008/08/01]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조회 수 3796 추천 수 176 2008.08.01 12:12:42
이 '텃밭'은 집터에 딸리거나 집 가까이 있지만 울타리 밖에 있는 밭입니다.
우리말에 울타리 안에, 담 안 마당 한구석에 있는 밭을 뜻하는 낱말이 있습니다.
이를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게 오늘 문제입니다.


안녕하세요.

덥다 덥다 하면서도 시간은 잘 갑니다.
벌써 금요일이잖아요.
저는 내일 이천 누나네 밭에 놀러 갈 겁니다. 애들과 함께 흙에서 좀 뒹굴어야 힘이 날 것 같습니다. ^^*

오늘은 오랜만에 문제를 하나 낼게요.

텃밭이 뭔지는 다 아시죠?
"집터에 딸리거나 집 가까이 있는 밭"을 뜻하며
텃밭을 가꾸다, 뒷마당에 텃밭을 일구다, 마당에서부터 텃밭을 지나 대문간까지...처럼 씁니다.

이 '텃밭'은 집터에 딸리거나 집 가까이 있지만 울타리 '밖'에 있는 밭입니다.
우리말에 울타리 '안'에, 담 안 마당 한구석에 있는 밭을 뜻하는 낱말이 있습니다.
이를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게 오늘 문제입니다.

설마 그런 낱말이 진짜로 있냐고요?
있죠. 있으니까 제가 문제를 냈죠. ^^*

문제 답을 가장 먼저 보내주신 한 분께 작은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홍어 안 먹은 지 오래됐다 -->> 홍어 먹은 지 오래됐다]

어제는 점심때 홍어를 먹었습니다.
회사 높으신 분이 홍어를 사 주시겠다며 저를 꾀더군요.
가볍게 넘어가 줬죠.
'그래, 홍어 안 먹은 지 너무 오래됐다. 오늘 목에 때 좀 벗기자 '
(마음속으로 혼자 중얼거리는 말이므로 작은따옴표)

이 말에서 뭐 걸리는 게 없나요?
곰곰이 생각해 보세요. 분명히 잘못된 말입니다.
뭐가 잘못되었을까요?

오래전에 홍어를 먹고 최근에는 먹은 적이 없다는 뜻으로 말하려면,
"홍어 먹은 지 너무 오래됐다"라고 해야죠.
그렇지 않나요?
홍어를 먹은 지 오래된 것이지, 홍어를 안 먹은 지 오래된 게 아니잖아요.
당연히 "홍어를 먹은 지 너무 오래됐다"라고 해야 합니다.

흔히, 이야기를 잘못 해 놓고도 억지를 쓰는 말에,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들어라"가 있습니다.

(아래는 이진원 님의 말입니다.)
정말 개떡 같은 말이다. 두말할 것 없이 개떡은 개떡이다.
개떡을 찰떡으로 알아듣는 말글생활이 청산되는 날,
우리 사회에는 더 이상 학교에 교육용 컴퓨터를 들이면서 뒷돈을 받는 교육자도,
찾아오지 않으면 스스로 찾아가서 봉투를 들이밀어야만 장사를 제대로 할 수 있는 유흥업소 업주도 사라질 것이다.
외국 관광객을 위해, 우리나라 간판에 한자를 써야 한다고 주장하는 정신 나간 장관도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저는 차마 못 하는 말을,
이진원 님이 시원하게 해 주셨네요. 고맙습니다.

보태기)
위에서 셋째 줄, '저를 꾀더군요.'를
'저를 꼬시더군요.'라고 쓰시면 안 됩니다.
"그럴듯한 말이나 행동으로 남을 속이거나 부추겨서 자기 생각대로 끌다"는 뜻의 낱말은
'꼬시다'가 아니라 '꾀다'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272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18284
2674 [2013/10/28] 우리말) 틀리기 쉬운 높임말 머니북 2013-10-28 424099
2673 [2014/01/10] 우리말) 사물 존대 동영상 머니북 2014-01-10 143826
2672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99437
2671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5640
2670 [2010/01/12] 우리말) 한판과 한 판 id: moneyplan 2010-01-12 52029
2669 [2011/12/15] 우리말)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머니북 2011-12-16 20281
2668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9551
2667 [2008/03/07] 우리말) 발췌, 발취, 발초 id: moneyplan 2008-03-07 18129
2666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8058
2665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754
2664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7306
2663 [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머니북 2011-12-19 17059
2662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6209
2661 [2006/08/18] 우리말) '당분간'이 아니라 '얼마 동안' id: moneyplan 2006-08-18 16120
2660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661
2659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5184
2658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4092
2657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3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