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9/12] 우리말) 본래와 본디

조회 수 3881 추천 수 89 2008.09.16 10:53:58
본래(本來), 본시(本始), 본디(本-)는 뜻이 비슷합니다.
뜻이 비슷하거나 같다면,
저는
한자가 하나라도 적게 들어간 '본디'를 쓰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곧 한가위네요.
다들 고향으로 가시겠죠?
사람은 본디 고향을 찾고, 어머니 품을 찾게 되어 있나 봅니다.
특히 명절 때는 더 그렇죠.

오늘은 본시, 본디, 본래를 갈라볼게요.

네이버에서 웹문서를 검색해 보니
본디는 191,202건
본래 2,640,747건
본시는 127,479건이 나오네요.
('본시'에는 '본시험', '본시리즈' 따위도 함께 나왔습니다.)

뜻은 다 비슷합니다. 처음을 뜻합니다.

본래(本來)는 "사물이나 사실이 전하여 내려온 그 처음"이라는 뜻으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고, '본디'로 다듬어서 쓰라고 나와 있습니다.
본시(本始)는 "맨 처음"을 뜻하는 시초와 같은 뜻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본디(本-)는 "사물이 전하여 내려온 그 처음"이라 풀었네요.

뜻이 비슷하거나 같다면,
저는
한자가 하나라도 적게 들어간 '본디'를 쓰겠습니다. ^^*

어떤 학자는 본디의 '디'도 地 자에서 왔다고 설명하십니다.
'본지'라는 말이 '본디'로 바뀌었다는 거죠.
자음 'ㄷ' 이 모음 'ㅣ'와 만나서 'ㅈ'으로 변하는 구개음화와 구개음화역행으로 설명합니다.
미닫이가 미다지로 되기도 하지만 본지가 본디로 되기도 한다는 거죠.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저는 농대 나와서 농사짓는 사람이다보니... ^___^*

저는 오늘 하루 휴가를 냈습니다.
어린 애들 데리고 열댓 시간을 차 속에서 씨름할 생각을 하니 끔찍하잖아요.
그래서 오늘 휴가를 내고 오늘 새벽에 길을 떠나 지금 광주에 있습니다.
처가에서 잠시 있다가 오후에 고향 해남으로 갈 생각입니다.

여러분도 한가위 잘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가 아닙니다.
배상복 기자가 쓴 글을 붙입니다.
배상복 기자님께 미리 허락을 받은 것은 아니지만, 신문에 나온 글이기에 따왔습니다.





다음 중 ‘추석’의 순 우리말을 고르시오.

㉠중추절 ㉡중추가절 ㉢한가위 ㉣대보름

여름휴가를 다녀온 지가 엊그제 같은데 계절은 벌써 가을로 들어서고 추석이 며칠 남지 않았다. 추석은 햅쌀로 빚은 송편과 햇과일 등 음식을 장만해 조상께 차례를 지내는 날이다.

‘추석(秋夕)’의 순 우리말은 ‘㉢한가위’다. ‘한가위’는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가배’는 『삼국사기』에 기록이 나오며, ‘가운데’를 뜻하는 우리말 ‘가’를 한자로 옮긴 것이다. ‘가’가 ‘가위’가 됐고, 정 중앙을 뜻하는 ‘한’과 결합해 ‘한가위’가 됐다고 한다.

‘추석’이란 말은 중국 『예기(禮記)』의 ‘조춘일 추석월’에서 나온 것이다. 중추절(仲秋節)·중추가절(仲秋佳節)은 가을을 초추·중추·종추 세 달로 나누는데 음력 8월이 중간에 들어 있으므로 붙은 이름이다. ‘대보름’은 정월 보름날(음력 1월 15일)을 일컫는 말로 추석과 관계가 없다.

명절인 음력 8월 15일을 요즘은 주로 ‘추석’과 ‘한가위’라 부르고 있다. 큰 관계는 없으나 이왕이면 순 우리말인 ‘한가위’로 부르는 것이 낫겠다. 

배상복 기자


본래(本來), 본시(本始), 본디(本-)는 뜻이 비슷합니다.
뜻이 비슷하거나 같다면,
저는
한자가 하나라도 적게 들어간 '본디'를 쓰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곧 한가위네요.
다들 고향으로 가시겠죠?
사람은 본디 고향을 찾고, 어머니 품을 찾게 되어 있나 봅니다.
특히 명절 때는 더 그렇죠.

오늘은 본시, 본디, 본래를 갈라볼게요.

네이버에서 웹문서를 검색해 보니
본디는 191,202건
본래 2,640,747건
본시는 127,479건이 나오네요.
('본시'에는 '본시험', '본시리즈' 따위도 함께 나왔습니다.)

뜻은 다 비슷합니다. 처음을 뜻합니다.

본래(本來)는 "사물이나 사실이 전하여 내려온 그 처음"이라는 뜻으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고, '본디'로 다듬어서 쓰라고 나와 있습니다.
본시(本始)는 "맨 처음"을 뜻하는 시초와 같은 뜻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본디(本-)는 "사물이 전하여 내려온 그 처음"이라 풀었네요.

뜻이 비슷하거나 같다면,
저는
한자가 하나라도 적게 들어간 '본디'를 쓰겠습니다. ^^*

어떤 학자는 본디의 '디'도 地 자에서 왔다고 설명하십니다.
'본지'라는 말이 '본디'로 바뀌었다는 거죠.
자음 'ㄷ' 이 모음 'ㅣ'와 만나서 'ㅈ'으로 변하는 구개음화와 구개음화역행으로 설명합니다.
미닫이가 미다지로 되기도 하지만 본지가 본디로 되기도 한다는 거죠.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저는 농대 나와서 농사짓는 사람이다보니... ^___^*

저는 오늘 하루 휴가를 냈습니다.
어린 애들 데리고 열댓 시간을 차 속에서 씨름할 생각을 하니 끔찍하잖아요.
그래서 오늘 휴가를 내고 오늘 새벽에 길을 떠나 지금 광주에 있습니다.
처가에서 잠시 있다가 오후에 고향 해남으로 갈 생각입니다.

여러분도 한가위 잘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가 아닙니다.
배상복 기자가 쓴 글을 붙입니다.
배상복 기자님께 미리 허락을 받은 것은 아니지만, 신문에 나온 글이기에 따왔습니다.





다음 중 ‘추석’의 순 우리말을 고르시오.

㉠중추절 ㉡중추가절 ㉢한가위 ㉣대보름

여름휴가를 다녀온 지가 엊그제 같은데 계절은 벌써 가을로 들어서고 추석이 며칠 남지 않았다. 추석은 햅쌀로 빚은 송편과 햇과일 등 음식을 장만해 조상께 차례를 지내는 날이다.

‘추석(秋夕)’의 순 우리말은 ‘㉢한가위’다. ‘한가위’는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가배’는 『삼국사기』에 기록이 나오며, ‘가운데’를 뜻하는 우리말 ‘가’를 한자로 옮긴 것이다. ‘가’가 ‘가위’가 됐고, 정 중앙을 뜻하는 ‘한’과 결합해 ‘한가위’가 됐다고 한다.

‘추석’이란 말은 중국 『예기(禮記)』의 ‘조춘일 추석월’에서 나온 것이다. 중추절(仲秋節)·중추가절(仲秋佳節)은 가을을 초추·중추·종추 세 달로 나누는데 음력 8월이 중간에 들어 있으므로 붙은 이름이다. ‘대보름’은 정월 보름날(음력 1월 15일)을 일컫는 말로 추석과 관계가 없다.

명절인 음력 8월 15일을 요즘은 주로 ‘추석’과 ‘한가위’라 부르고 있다. 큰 관계는 없으나 이왕이면 순 우리말인 ‘한가위’로 부르는 것이 낫겠다. 

배상복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59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161
576 [2008/09/17] 우리말) 데코레이션과 장식 id: moneyplan 2008-09-17 4342
575 [2008/09/16] 우리말) 햇빛은 해가 비치는 밝음의 정도고... id: moneyplan 2008-09-16 3361
» [2008/09/12] 우리말) 본래와 본디 id: moneyplan 2008-09-16 3881
573 [2008/09/11] 우리말) 가꾸로와 거꾸로 id: moneyplan 2008-09-11 4278
572 [2008/09/09] 우리말) 맘눈 id: moneyplan 2008-09-09 3365
571 [2008/09/08] 우리말) 휘장걸음 id: moneyplan 2008-09-08 3682
570 [2008/09/05] 우리말) 얼만큼과 얼마큼 id: moneyplan 2008-09-05 3549
569 [2008/09/04] 우리말) 알켜주다와 갈켜주다 id: moneyplan 2008-09-04 6005
568 [2008/09/03] 우리말) 옥생각과 한글날 id: moneyplan 2008-09-03 3613
567 [2008/09/02] 우리말) 햇빛과 햇볕 id: moneyplan 2008-09-02 3706
566 [2008/09/01] 우리말) 선탠을 우리말로 하면? id: moneyplan 2008-09-01 3803
565 [2008/08/30] 우리말) 토요일이라 좀 널널하죠? id: moneyplan 2008-08-31 3622
564 [2008/08/29] 우리말) DMZ, 디엠지와 디엠제트 id: moneyplan 2008-08-29 3549
563 [2008/08/28] 우리말) 예쁜 여자가 흘리는 땀은? id: moneyplan 2008-08-28 3169
562 [2008/08/27] 우리말) 덕아웃과 더그아웃 id: moneyplan 2008-08-27 3436
561 [2008/08/26] 우리말) 붙좇다 id: moneyplan 2008-08-26 3879
560 [2008/08/25] 우리말) 있습니다와 있음 id: moneyplan 2008-08-25 3727
559 [2008/08/22] 우리말) 용고뚜리와 철록어미 id: moneyplan 2008-08-22 3839
558 [2008/08/21] 우리말) 자치동갑과 어깨동갑 id: moneyplan 2008-08-21 3317
557 [2008/08/20] 우리말) 일의 순서가 오른쪽으로 돌아가는 차례 id: moneyplan 2008-08-20 3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