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9/22] 우리말) 햇덧

조회 수 3320 추천 수 94 2008.09.23 09:56:30
요즘처럼 해가 짧아지는 게 보이는 것 같은 때를 '햇덧'이라고 합니다.
해가 떠 있는 시간이 얼마 되지 않는 데서 따와 '햇덧'이라는 멋진 낱말을 만들었나 봅니다.


안녕하세요.

저만 그렇게 느끼는지 모르지만 시간이 참 빨리 흘러갑니다.
벌써 가을이고, 벌써 9월 중순이 넘었습니다.
이제는 밤이 길어지는 게 보이는 것 같습니다.
아침 6시에 보면 아직도 어둑어둑하고,
저녁 7시만 넘으면 어둠이 깔립니다. 며칠 전만 해도 그 시간에는 해가 중천에 있었는데...
이렇게 세월이 흘러가기에 덧없다고 하나 봅니다.

'덧'은 "얼마 안 되는 퍽 짧은 시간"을 뜻합니다.
'덧없다'는 그림씨(형용사)로 "알지 못하는 가운데 지나가는 시간이 매우 빠르다."는 뜻입니다.
말 그대로 덧없는 세월이죠.

요즘처럼 해가 짧아지는 게 보이는 것 같은 때를 '햇덧'이라고 합니다.
해가 떠 있는 시간이 얼마 되지 않는 데서 따와 '햇덧'이라는 멋진 낱말을 만들었나 봅니다.

햇덧은 굳이 낱말 뜻을 설명하지 않아도
해거름의 쓸쓸함이 묻어 있는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봄 내음 >> 봄 향기]

많이 춥죠?
추위나 더위에는 ‘많이’를 쓰지 않습니다.
추위나 더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는 '상당히'나 '꽤'를 써야 바릅니다.
지난 주말과 오늘은 상당히 추운 겁니다.
내일부터는 날씨가 많이 풀릴 거라고 하네요.
요즘 봄 맞죠?
봄에 자주 들을 수 있는 말 중,
'봄 내음 물씬'이라는 게 있습니다.

'봄 내음'이 어떻게 생겼는지, 또 어떤 향인지도 모르겠지만,
'내음'은 표준어가 아닙니다.

'코로 맡을 수 있는 온갖 기운'은 '냄새'지 '내음'이 아닙니다.
'봄 냄새'보다 '봄 내음'이 더 따뜻하게 느껴지고,
'고향 냄새'보다는 '고향 내음'이 왠지 더 정감 있게 느껴지더라도,
표준어로, '코로 맡을 수 있는 온갖 기운'은 '냄새'지 '내음'이 아닙니다.

'봄 내음 물씬'이라는 말보다는,
'봄 향기 가득'이라는 말이 더 나을 겁니다.

자주 드리는 말씀이지만,
'내음'이 사투리라서 쓰지 말라는 게 아닙니다.
쓰더라도 사투리인 것을 알고 쓰자는 겁니다.

봄만 되면 제가 자주 지적하는 게,
'입맛 돋구는 나물'입니다.
이것은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로 그 설명을 대신하겠습니다.
한 주를 여는 월요일입니다.
즐겁게 시작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58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085
596 [2012/02/08] 우리말) 칭칭/친친/찬찬 머니북 2012-02-08 4119
595 [2009/09/17] 우리말) 움츠르다 id: moneyplan 2009-09-17 4121
594 [2017/05/31] 우리말) 멀찌가니/멀찌거니 머니북 2017-05-31 4123
593 [2017/10/11] 우리말) 바람직한 국어 순화방향 학술대회 안내 머니북 2017-11-06 4124
592 [2013/03/12] 우리말)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머니북 2013-03-12 4125
591 [2008/11/24] 우리말) 윤똑똑이와 헛똑똑이 id: moneyplan 2008-11-24 4127
590 [2007/02/13] 우리말) 야코죽지 말고 힘내! id: moneyplan 2007-02-14 4129
589 [2007/07/16] 우리말) 엉터리 말 몇 개 id: moneyplan 2007-07-16 4129
588 [2017/09/13] 우리말) "한글은 묶여있는 영웅.. 잠재력 무궁무진" 머니북 2017-09-13 4129
587 [2012/12/24 우리말) 뜯어보다 머니북 2012-12-24 4135
586 [2011/01/12] 우리말) 썩이다와 썩히다 moneybook 2011-01-12 4136
585 [2012/02/23] 우리말) 우산을 뜻하는 순우리말은? 머니북 2012-02-23 4136
584 [2016/05/24] 우리말) 한글 전용 머니북 2016-05-26 4136
583 [2007/04/05] 우리말) 하얏트호텔과 하야트 id: moneyplan 2007-04-05 4140
582 [2012/01/11] 우리말) 지르신다 머니북 2012-01-11 4142
581 [2011/01/06] 우리말) 소개하다 moneybook 2011-01-06 4144
580 [2012/12/13] 우리말) 연인이란? 머니북 2012-12-14 4144
579 [2008/02/15] 우리말) 간첩의 순 우리말은? id: moneyplan 2008-02-15 4146
578 [2007/03/07] 우리말) 반죽과 변죽 id: moneyplan 2007-03-07 4147
577 [2010/03/22] 우리말) 분수와 푼수 id: moneyplan 2010-03-22 4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