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9/22] 우리말) 햇덧

조회 수 3341 추천 수 94 2008.09.23 09:56:30
요즘처럼 해가 짧아지는 게 보이는 것 같은 때를 '햇덧'이라고 합니다.
해가 떠 있는 시간이 얼마 되지 않는 데서 따와 '햇덧'이라는 멋진 낱말을 만들었나 봅니다.


안녕하세요.

저만 그렇게 느끼는지 모르지만 시간이 참 빨리 흘러갑니다.
벌써 가을이고, 벌써 9월 중순이 넘었습니다.
이제는 밤이 길어지는 게 보이는 것 같습니다.
아침 6시에 보면 아직도 어둑어둑하고,
저녁 7시만 넘으면 어둠이 깔립니다. 며칠 전만 해도 그 시간에는 해가 중천에 있었는데...
이렇게 세월이 흘러가기에 덧없다고 하나 봅니다.

'덧'은 "얼마 안 되는 퍽 짧은 시간"을 뜻합니다.
'덧없다'는 그림씨(형용사)로 "알지 못하는 가운데 지나가는 시간이 매우 빠르다."는 뜻입니다.
말 그대로 덧없는 세월이죠.

요즘처럼 해가 짧아지는 게 보이는 것 같은 때를 '햇덧'이라고 합니다.
해가 떠 있는 시간이 얼마 되지 않는 데서 따와 '햇덧'이라는 멋진 낱말을 만들었나 봅니다.

햇덧은 굳이 낱말 뜻을 설명하지 않아도
해거름의 쓸쓸함이 묻어 있는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봄 내음 >> 봄 향기]

많이 춥죠?
추위나 더위에는 ‘많이’를 쓰지 않습니다.
추위나 더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는 '상당히'나 '꽤'를 써야 바릅니다.
지난 주말과 오늘은 상당히 추운 겁니다.
내일부터는 날씨가 많이 풀릴 거라고 하네요.
요즘 봄 맞죠?
봄에 자주 들을 수 있는 말 중,
'봄 내음 물씬'이라는 게 있습니다.

'봄 내음'이 어떻게 생겼는지, 또 어떤 향인지도 모르겠지만,
'내음'은 표준어가 아닙니다.

'코로 맡을 수 있는 온갖 기운'은 '냄새'지 '내음'이 아닙니다.
'봄 냄새'보다 '봄 내음'이 더 따뜻하게 느껴지고,
'고향 냄새'보다는 '고향 내음'이 왠지 더 정감 있게 느껴지더라도,
표준어로, '코로 맡을 수 있는 온갖 기운'은 '냄새'지 '내음'이 아닙니다.

'봄 내음 물씬'이라는 말보다는,
'봄 향기 가득'이라는 말이 더 나을 겁니다.

자주 드리는 말씀이지만,
'내음'이 사투리라서 쓰지 말라는 게 아닙니다.
쓰더라도 사투리인 것을 알고 쓰자는 겁니다.

봄만 되면 제가 자주 지적하는 게,
'입맛 돋구는 나물'입니다.
이것은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로 그 설명을 대신하겠습니다.
한 주를 여는 월요일입니다.
즐겁게 시작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8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98
456 [2011/07/07] 우리말) 구실아치 머니북 2011-07-07 4366
455 [2009/08/25] 우리말) 엣지있게 편집하라고? id: moneyplan 2009-08-25 4367
454 [2011/10/04] 우리말) 뜨락과 뜰 머니북 2011-10-04 4367
453 [2016/06/16] 우리말) 엽다/가엾다 머니북 2016-06-17 4367
452 [2010/02/10] 우리말) 먼지떨음 id: moneyplan 2010-02-10 4369
451 [2012/02/09] 우리말) 좋은 하루 되세요 머니북 2012-02-09 4370
450 [2007/03/29] 우리말) 박진감 넘치는 경기 id: moneyplan 2007-03-29 4371
449 [2008/01/04] 우리말) 해포이웃 id: moneyplan 2008-01-04 4374
448 [2011/07/28] 우리말) 호우와 큰비 머니북 2011-07-29 4375
447 [2007/01/06] 우리말) 단출, 차지다, 더 이상 id: moneyplan 2007-01-08 4378
446 [2010/03/12] 우리말) 오지와 두메산골 id: moneyplan 2010-03-12 4380
445 [2015/05/13] 우리말)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 머니북 2015-05-13 4386
444 [2007/10/08] 우리말) 손대기 id: moneyplan 2007-10-08 4390
443 [2013/11/01] 우리말) 꽃잠과 말머리아이 머니북 2013-11-01 4390
442 [2015/01/19] 우리말) 총각김치(2) 머니북 2015-01-19 4390
441 [2015/04/20] 우리말) 덥석 머니북 2015-04-20 4392
440 [2008/09/17] 우리말) 데코레이션과 장식 id: moneyplan 2008-09-17 4393
439 [2012/11/22] 우리말) 애꿎다/애먼 머니북 2012-11-22 4395
438 [2011/11/01] 우리말) 야멸치다와 야멸차다 머니북 2011-11-01 4396
437 [2011/05/23] 우리말) 주기, 주년, 돌 moneybook 2011-05-23 4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