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9/30] 우리말) 멀다랗다와 머다랗다

조회 수 3615 추천 수 119 2008.09.30 09:18:48
생각보다 꽤 멀다는 뜻의 그림씨(형용사)가 '머다랗다'입니다.
머다랗게 보이는 들판 풍경처럼 씁니다.
이를 '멀다'를 떠올려 '멀다랗다'고 하면 틀립니다.


안녕하세요.

조금전에 하도 잠이 쏟아져서 오랜만에 일터 안에 있는 호수를 한 바퀴 돌았습니다.
잠 좀 깨려고 돌아봤는데 그 길이가 2km 정도나 되니 머다랗더군요.
생각보다 힘들었습니다.

생각보다 꽤 멀다는 뜻의 그림씨(형용사)가 '머다랗다'입니다.
머다랗게 보이는 들판 풍경처럼 씁니다.
이를 '멀다'를 떠올려 '멀다랗다'고 하면 틀립니다.

얼마 전에 소개해 드린
시간상으로 멀지 않다는 뜻의 '머지않다'도 마찬가지입니다.
'멀지않다'가 아니라 '머지않다'입니다.

오늘은 몇 시에 들어갈 수 있을지...
쩝...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머지않다'는 시간상으로 멀지 않다는 뜻이고,
'멀지 않다'는 공간상으로 멀지 않다는 뜻입니다.
'멀지않다'는 낱말은 없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상’ ‘하’ 띄어쓰기]

오늘은 '상(上)'과 '하(下)'의 띄어쓰기입니다.

띄어쓰기 원칙을 다시 강조하면,
우리말은 낱말별로 띄어 씁니다.
품사(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따위)도 낱말로 보고 띄어 쓰되, 조사만 붙여 씁니다.
한 낱말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기준은
그 낱말이 사전에 올라 있으면 한 낱말이고 그렇지 않으면 한 낱말이 아닙니다.

이제 '상(上)'과 '하(下)' 띄어쓰기를 보면,
'상'과 '하'에 '위'나 '아래'의 뜻이 있을 때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쓰고,
'모양', '상태', '그것과 관계된 처지', '구체적이거나 추상적인 공간에서 한 위치'를 뜻하면 접미사이므로 붙여 씁니다.

곧,
"물체의 위나 위쪽, 아래나 아래쪽을 이르는 말."로 쓰일 때는,
지구 상의 생물/지갑을 도로 상에서 주웠다처럼 띄어 씁니다.
이런 경우, '상'을 '위'로, '하'를 '아래'로 바꿔도 말이 됩니다.

그러나
"그것과 관계된 처지" 또는 "그것에 따름"의 뜻을 더하는 추상적인 의미의 접미사인 경우는,
관계상/미관상/사실상/외관상/절차상처럼 붙여 씁니다.
"구체적인 또는 추상적인 공간에서의 한 위치"의 뜻일 때도 접미사이므로,
인터넷상/전설상/통신상처럼 붙여 씁니다.

정리하면,
'상'이나 '하'를 '위'나 '아래'로 바꿀 수 있을 때는 의존명사이므로 띄어 쓰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접미사이므로 붙여 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27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32
596 [2008/10/13] 우리말) 꼬리와 꽁지 id: moneyplan 2008-10-14 3721
595 [2008/10/12] 우리말) 기다와 아니다 id: moneyplan 2008-10-13 3845
594 [2008/10/10] 우리말) 어제 문제 답입니다 id: moneyplan 2008-10-10 3411
593 [2008/10/09] 우리말) 한글날 기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9 3626
592 [2008/10/08] 우리말) 해외와 나라밖 id: moneyplan 2008-10-08 3111
591 [2008/10/07] 우리말) 염치와 얌치 id: moneyplan 2008-10-07 3620
590 [2008/10/06] 우리말) 꿩 먹고 알 먹고... id: moneyplan 2008-10-06 3403
589 [2008/10/02] 우리말) 한글날을 앞두고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6 3514
588 [2008/10/01] 우리말) '안되다'와 '안 되다' id: moneyplan 2008-10-01 3576
» [2008/09/30] 우리말) 멀다랗다와 머다랗다 id: moneyplan 2008-09-30 3615
586 [2008/09/29] 우리말) 억지 춘향과 억지 춘양 id: moneyplan 2008-09-29 3774
585 [2008/09/26] 우리말) 개발새발과 괴발개발 id: moneyplan 2008-09-26 3415
584 [2008/09/25] 우리말) 비비대다와 뱌비대다 id: moneyplan 2008-09-25 3735
583 [2008/09/24] 우리말) 서두르다와 서둘다 id: moneyplan 2008-09-24 3420
582 [2008/09/23] 우리말) 일몰보다는 해넘이가... id: moneyplan 2008-09-23 3711
581 [2008/09/22] 우리말) 햇덧 id: moneyplan 2008-09-23 3203
580 [2008/09/20] 우리말) 코스모스는 왜 코스모스일까요? id: moneyplan 2008-09-20 3331
579 [2008/09/19] 우리말) 딴은 이해가 갑니다. id: moneyplan 2008-09-19 3227
578 [2008/09/18]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왔습니다. ^^* id: moneyplan 2008-09-18 3560
577 [2008/09/17] 우리말) 데코레이션과 장식 id: moneyplan 2008-09-17 4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