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0/07] 우리말) 염치와 얌치

조회 수 3695 추천 수 173 2008.10.07 08:34:43
비슷한 말로 '얌치'가 있습니다.
"마음이 깨끗하여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라는 뜻입니다.
사람이면 누구나 얌치가 있어야지, 얌치 있는 이가 그땐 가만있고 나중 야단이래?처럼 씁니다.

이 '얌치'를 속되게 이른 말이 '얌통머리'입니다.
'야마리'라고도 하죠.


안녕하세요.

우리말 편지에서 문제를 내고 정답을 맞히신 모든 분께 선물을 드린다고 했죠?
이제 이틀 남았습니다. ^^*

문제 정답과 함께 선물 받으실 주소와 우편번호, 받으시는 분의 이름을 꼭 적어 주십시오.
그리고
선물은 편지봉투에 담아서 보내드리는데 우표를 붙이지 않고 '요금 별납'이라는 도장이 찍힙니다.

몇 달 전이었습니다.
우리말 편지에서 문제를 맞히신 분께 선물을 보내드렸는데,
며칠 뒤 전자우편을 보내셨더군요.
내용은,
선물을 보내면서 받는 사람이 돈을 내게 하는 경우가 어디 있느냐?
차라리 보내지 말지 왜 남을 골탕먹이느냐?
세상 그렇게 살지 마라. 염치가 있어야지 어찌 선물을 받는 사람이 돈을 내고 받아야 하냐...
뭐 이런 거였습니다.
그리고 그 선물을 '수신거부'로 돌려보냈습니다.

'요금 별납'은 그런 뜻이 아니라
보내는 편지가 많아 나중에 제가 한꺼번에 계산한다는 뜻이라고 설명드리고
우표를 붙여 그 선물을 다시 보내드렸습니다.
저는 그렇게 얌치 빠진 사람이 아니거든요. ^^*

오늘은 염치 이야기입니다.
'염치'는 "체면을 차릴 줄 알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입니다.
예의와 염치에 어긋나다, 너는 애가 염치도 없이 어른 앞에서 왜 그 모양이냐처럼 씁니다.

비슷한 말로 '얌치'가 있습니다.
"마음이 깨끗하여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라는 뜻입니다.
사람이면 누구나 얌치가 있어야지, 얌치 있는 이가 그땐 가만있고 나중 야단이래?처럼 씁니다.

이 '얌치'를 속되게 이른 말이 '얌통머리'입니다.
'야마리'라고도 하죠.

저는 선물을 보내고 우표값을 내라고 한다거나,
선물을 보낸다고 해 놓고 보내지 않는 그런 얌통머리 없는 사람이 아닙니다.

돌아오는 한글날 문제를 내서
문제 정답을 맞히시는 모든 분께 선물을 드릴 겁니다. 약속합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띄어쓰기]

한글 맞춤법 제43항에 보면,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 개, 차 한 대, 금 서 돈, 소 한 마리, 옷 한 벌, 열 살, 조기 한 손, 연필 한 자루처럼 씁니다.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함께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습니다.
두시 삼십분 오초, 제일과, 삼학년, 육층, 1446년10월9일, 2대대, 16동502호, 80원, 10개, 7미터처럼 씁니다.

이것도 명사니까 띄어 쓴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42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944
1536 [2011/06/2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06-28 3720
1535 [2008/10/28] 우리말) 명함 만들기 id: moneyplan 2008-10-28 3719
1534 [2007/07/10] 우리말) 금자탑 id: moneyplan 2007-07-10 3719
1533 [2013/06/05] 우리말) 랍스터와 로브스터 머니북 2013-06-05 3718
1532 [2012/08/03] 우리말) 신기록 갱신과 경신 머니북 2012-08-03 3718
1531 [2017/09/20] 우리말) 땡깡(2) 머니북 2017-09-21 3717
1530 [2013/05/02] 우리말) www 20년 머니북 2013-05-02 3717
1529 [2008/06/02]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8-06-03 3717
1528 [2016/12/15] 우리말) 혼밥, 혼술, 혼영, 혼말? 머니북 2016-12-19 3716
1527 [2012/05/15] 우리말) 스승의 날 머니북 2012-05-15 3716
1526 [2011/01/28] 우리말) 행안부와 까도남의 다른점 moneybook 2011-01-28 3716
1525 [2017/02/09] 우리말) 안갚음과 앙갚음 머니북 2017-02-10 3715
1524 [2009/04/20] 우리말) 탈크와 탤크 id: moneyplan 2009-04-20 3715
1523 [2015/01/22] 우리말) 들뜨다와 달뜨다 머니북 2015-01-22 3714
1522 [2013/07/12] 우리말) 마음눈 머니북 2013-07-15 3714
1521 [2009/02/20] 우리말) 계란말이/달걀말이/두루마리 id: moneyplan 2009-02-20 3714
1520 [2008/04/24] 우리말) 북돋우다 id: moneyplan 2008-04-24 3712
1519 [2012/12/05] 우리말) 거슬르다 -> 거스르다 머니북 2012-12-05 3711
1518 [2010/12/20] 우리말) 움츠리다 moneybook 2010-12-20 3711
1517 [2010/09/29] 우리말) 코스모스 moneybook 2010-09-29 3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