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0/07] 우리말) 염치와 얌치

조회 수 3716 추천 수 173 2008.10.07 08:34:43
비슷한 말로 '얌치'가 있습니다.
"마음이 깨끗하여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라는 뜻입니다.
사람이면 누구나 얌치가 있어야지, 얌치 있는 이가 그땐 가만있고 나중 야단이래?처럼 씁니다.

이 '얌치'를 속되게 이른 말이 '얌통머리'입니다.
'야마리'라고도 하죠.


안녕하세요.

우리말 편지에서 문제를 내고 정답을 맞히신 모든 분께 선물을 드린다고 했죠?
이제 이틀 남았습니다. ^^*

문제 정답과 함께 선물 받으실 주소와 우편번호, 받으시는 분의 이름을 꼭 적어 주십시오.
그리고
선물은 편지봉투에 담아서 보내드리는데 우표를 붙이지 않고 '요금 별납'이라는 도장이 찍힙니다.

몇 달 전이었습니다.
우리말 편지에서 문제를 맞히신 분께 선물을 보내드렸는데,
며칠 뒤 전자우편을 보내셨더군요.
내용은,
선물을 보내면서 받는 사람이 돈을 내게 하는 경우가 어디 있느냐?
차라리 보내지 말지 왜 남을 골탕먹이느냐?
세상 그렇게 살지 마라. 염치가 있어야지 어찌 선물을 받는 사람이 돈을 내고 받아야 하냐...
뭐 이런 거였습니다.
그리고 그 선물을 '수신거부'로 돌려보냈습니다.

'요금 별납'은 그런 뜻이 아니라
보내는 편지가 많아 나중에 제가 한꺼번에 계산한다는 뜻이라고 설명드리고
우표를 붙여 그 선물을 다시 보내드렸습니다.
저는 그렇게 얌치 빠진 사람이 아니거든요. ^^*

오늘은 염치 이야기입니다.
'염치'는 "체면을 차릴 줄 알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입니다.
예의와 염치에 어긋나다, 너는 애가 염치도 없이 어른 앞에서 왜 그 모양이냐처럼 씁니다.

비슷한 말로 '얌치'가 있습니다.
"마음이 깨끗하여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라는 뜻입니다.
사람이면 누구나 얌치가 있어야지, 얌치 있는 이가 그땐 가만있고 나중 야단이래?처럼 씁니다.

이 '얌치'를 속되게 이른 말이 '얌통머리'입니다.
'야마리'라고도 하죠.

저는 선물을 보내고 우표값을 내라고 한다거나,
선물을 보낸다고 해 놓고 보내지 않는 그런 얌통머리 없는 사람이 아닙니다.

돌아오는 한글날 문제를 내서
문제 정답을 맞히시는 모든 분께 선물을 드릴 겁니다. 약속합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띄어쓰기]

한글 맞춤법 제43항에 보면,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 개, 차 한 대, 금 서 돈, 소 한 마리, 옷 한 벌, 열 살, 조기 한 손, 연필 한 자루처럼 씁니다.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함께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습니다.
두시 삼십분 오초, 제일과, 삼학년, 육층, 1446년10월9일, 2대대, 16동502호, 80원, 10개, 7미터처럼 씁니다.

이것도 명사니까 띄어 쓴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5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61
1156 [2010/12/31] 우리말) 고맙습니다. ^^* moneybook 2010-12-31 3480
1155 [2010/12/30] 우리말) 나일롱 -> 나일론 moneybook 2010-12-30 3513
1154 [2010/12/30] 우리말) 밀월여행 moneybook 2010-12-30 3508
1153 [2010/12/29] 우리말) 따듯하다 moneybook 2010-12-29 3814
1152 [2010/12/28] 우리말) 사뜻하다 moneybook 2010-12-28 3702
1151 [2010/12/27] 우리말) 새날이 도래 moneybook 2010-12-27 3247
1150 [2010/12/23] 우리말) 참모습 moneybook 2010-12-23 3318
1149 [2010/12/22] 우리말) 못 잊다 moneybook 2010-12-22 3469
1148 [2010/12/21] 우리말) 관용구 moneybook 2010-12-21 3545
1147 [2010/12/20] 우리말) 움츠리다 moneybook 2010-12-20 3720
1146 [2010/12/17] 우리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답장 moneybook 2010-12-18 3677
1145 [2010/12/17] 우리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moneybook 2010-12-17 3330
1144 [2010/12/16] 우리말) 웃옷 moneybook 2010-12-16 3909
1143 [2010/12/15] 우리말) 올겨울과 이번 겨울 moneybook 2010-12-15 3284
1142 [2010/12/14] 우리말) 좨기 moneybook 2010-12-14 3421
1141 [2010/12/13] 우리말) 희소병 moneybook 2010-12-13 3466
1140 [2010/12/10] 우리말) 책 소개 moneybook 2010-12-10 3293
1139 [2010/12/09] 우리말) 미친 존재감 moneybook 2010-12-09 3250
1138 [2010/12/08] 우리말) '한해'와 '한 moneybook 2010-12-08 3499
1137 [2010/12/07] 우리말) 추스르다 moneybook 2010-12-07 3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