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0/09] 우리말) 한글날 기념 문제를 냈습니다

조회 수 3633 추천 수 176 2008.10.09 08:49:46
다음은 한글을 설명한 것입니다. 틀린 문장의 번호를 써서 보내주세요.
(댓글로 보내주셔도 되고, 답장으로 보내주셔도 되는데,
오늘 오후 6시까지만 받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날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문자인 한글을 기리는 날입니다.

그 뜻에 함께하고자 오늘은 문제를 낼게요.

아래 문제 가운데 틀린 월(문장)의 번호를 댓글로 달아주십시오.
오늘 오후 6시 안으로 답을 맞히신 모든 분께 갈피표를 하나씩 보내드리겠습니다.
답을 적으시면서 우편물을 받을 주소도 함께 적어주십시오. 우편번호와 이름도...

자 문제 나갑니다.

아래 월 가운데 틀린 월의 번호를 적어주세요.

1. 한글은 자음 14자와 모음 10자로 이루어진다.
2. 한글은 자음 모음 또는 자음 모음 자음의 두 가지 경우로 글자를 만드는데, 이렇게 만들 수 있는 글자 수는 1만 자가 넘는다.
3. 한글 자음은 그 자음을 소리 낼 때의 입 모양을 본 뜬 것이다.
4. 한글은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5. 한글은 만든 때와 만든 사람을 아는 유일한 글자이다.
6. 유네스코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문맹퇴치사업에 가장 공이 많은 개인이나 단체를 뽑아 매년 시상하는 문맹퇴치 공로상은 '세종대왕상'이다.

댓글로 답을 보내주세요.
모두 맞으면 '모두 맞음'으로,
1번이 틀리면 '틀린 번호 1'로 댓글을 달아주세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위 문제를 보시고, 정답을 보내주시면,
답을 맞히신 모든 분께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답을 보내실 때 주소와 받으시는 분의 이름을 같이 적어 주십시오.
모두, 답을 맞히신 모든 분께 선물을 드립니다.
나라 밖이건, 나라 안이건, 아니가 많으시건, 적으시건,
여자건 남자건 모든 분께 선물을 드립니다.

지금 바로 답을 보내주세요. ^^*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상’ ‘하’ 띄어쓰기]

오늘은 '상(上)'과 '하(下)'의 띄어쓰기입니다.

띄어쓰기 원칙을 다시 강조하면,
우리말은 낱말별로 띄어 씁니다.
품사(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따위)도 낱말로 보고 띄어 쓰되, 조사만 붙여 씁니다.
한 낱말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기준은
그 낱말이 사전에 올라 있으면 한 낱말이고 그렇지 않으면 한 낱말이 아닙니다.

이제 '상(上)'과 '하(下)' 띄어쓰기를 보면,
'상'과 '하'에 '위'나 '아래'의 뜻이 있을 때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쓰고,
'모양', '상태', '그것과 관계된 처지', '구체적이거나 추상적인 공간에서 한 위치'를 뜻하면 접미사이므로 붙여 씁니다.

곧,
"물체의 위나 위쪽, 아래나 아래쪽을 이르는 말."로 쓰일 때는,
지구 상의 생물/지갑을 도로 상에서 주웠다처럼 띄어 씁니다.
이런 경우, '상'을 '위'로, '하'를 '아래'로 바꿔도 말이 됩니다.

그러나
"그것과 관계된 처지" 또는 "그것에 따름"의 뜻을 더하는 추상적인 의미의 접미사인 경우는,
관계상/미관상/사실상/외관상/절차상처럼 붙여 씁니다.
"구체적인 또는 추상적인 공간에서의 한 위치"의 뜻일 때도 접미사이므로,
인터넷상/전설상/통신상처럼 붙여 씁니다.

정리하면,
'상'이나 '하'를 '위'나 '아래'로 바꿀 수 있을 때는 의존명사이므로 띄어 쓰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접미사이므로 붙여 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8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06
1096 [2008/12/26] 우리말) 흥청거리다와 흔전거리다 id: moneyplan 2008-12-26 3674
1095 [2010/10/06] 우리말) 조찬 moneybook 2010-10-06 3674
1094 [2009/04/20] 우리말) 탈크와 탤크 id: moneyplan 2009-04-20 3675
1093 [2010/12/20] 우리말) 움츠리다 moneybook 2010-12-20 3676
1092 [2012/05/15] 우리말) 스승의 날 머니북 2012-05-15 3676
1091 [2012/12/05] 우리말) 거슬르다 -> 거스르다 머니북 2012-12-05 3676
1090 [2013/05/02] 우리말) www 20년 머니북 2013-05-02 3676
1089 [2008/09/03] 우리말) 옥생각과 한글날 id: moneyplan 2008-09-03 3677
1088 [2008/10/31] 우리말) 권커니 잣거니 id: moneyplan 2008-10-31 3677
1087 [2009/11/17] 우리말) 들러리 id: moneyplan 2009-11-17 3677
1086 [2011/06/13] 우리말) 헐수할수없다 머니북 2011-06-13 3677
1085 [2013/07/18] 우리말) 소강과 주춤 머니북 2013-07-18 3677
1084 [2016/07/12] 우리말) 수근거리다 -> 수군거리다 머니북 2016-07-13 3677
1083 [2009/11/09] 우리말) 안쫑잡다 id: moneyplan 2009-11-09 3678
1082 [2013/01/03] 우리말) 어안이 벙벙하다 머니북 2013-01-03 3678
1081 [2007/04/24] 우리말) 대충 잘하라는 게 어때서? id: moneyplan 2007-04-24 3679
1080 [2008/02/18] 우리말) 자막 틀린 거 몇 개 id: moneyplan 2008-02-18 3679
1079 [2008/10/28] 우리말) 명함 만들기 id: moneyplan 2008-10-28 3679
1078 [2012/05/01] 우리말) 전기료와 전기세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2-05-02 3679
1077 [2009/02/20] 우리말) 계란말이/달걀말이/두루마리 id: moneyplan 2009-02-20 3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