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0/15] 우리말) 수군수군과 소곤소곤

조회 수 3691 추천 수 157 2008.10.15 10:31:35
몇 사람이 모여 다른 사람은 알아듣지 못하도록 자기들끼리 작은 목소리로 얘기하거나,
서로 귀에 대고 조용히 얘기하는 모습을 두고 '소근거리다'나 '수근거리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말은 표준말이 아닙니다.
'소곤거리다, 수군거리다'로 써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낼 사이에 제 일터에 인사이동이 있나 봅니다.
소문만 무성하고, 여기저기서 사람들이 모여 소곤거리는 게 눈에 띄네요.

흔히
몇 사람이 모여 다른 사람은 알아듣지 못하도록 자기들끼리 작은 목소리로 얘기하거나,
서로 귀에 대고 조용히 얘기하는 모습을 두고 '소근거리다'나 '수근거리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말은 표준말이 아닙니다.
'소곤거리다, 수군거리다'로 써야 바릅니다.

표준어 규정에는 약간의 발음 차이로 몇 형태가 같이 쓰이면 더 일반적으로 쓰이는 형태 하나만을 표준어로 삼는다고 돼 있습니다.
이에 따라 '소곤거리다, 수군거리다'가 표준말이고
그런 모양을 나타내는 낱말이 '소곤소곤'입니다.
센말은 '쏘곤쏘곤', 큰말은 '수군수군'입니다.
따라서 소곤소곤 속삭이다, 쏘곤쏘곤 귀엣말을 하다, 수군수군 이야기하다처럼 쓰는 게 맞습니다.

제가 이 과로 온 지 2년 반이 되었는데
이번 인사에 다른 과로 갈지도 모르겠습니다.
일단은 연구소로 돌아간다고 희망은 했는데 이번에 돌아갈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네요.
아마도 본청에서 몇 년 더 굴러야 할 것 같습니다.

옆에서 인사 문제로 소곤거리는 말 속에 제 이름도 들어 있을까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잘하다/잘 하다, 못하다/못 하다]

이제 띄어쓰기 감이 좀 잡히죠?
몇 개만 더 해 볼게요.

오늘은 '못하다/못 하다', '잘하다/잘 하다'를 알아보죠.

'못'은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을 할 수 없다거나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부사'입니다.
품사가 부사이니 당연히 앞말과 띄어써야겠죠.
시청 못 미처 있는 다방/못 미덥다/술을 못 마시다/초등학교도 못 마치다/잠을 통 못 자다처럼 씁니다.

그런데 '못' 뒤에 오는,
'하다'가 서술어로 올 경우는 좀 다릅니다.
'못'과 '하다'가 하나의 합성어로 굳어져 뜻이 변한 경우는 붙여 쓰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다른 띄어 써야 합니다.

합성어로 붙여 써야 할 경우는,
'술을 못하다, 노래를 못하다, 음식 맛이 예전보다 못하다'처럼
'일정한 수준에 못 미치거나 할 능력이 없다'라는 뜻이 있을 때입니다.

그러나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을 할 수 없다거나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말.'의 뜻이 있는 부사로 쓰일 때는,
띄어 써야 합니다.

'잘하다/잘 하다'도 마찬가집니다.
'잘'과 '하다'가 하나의 합성어로 굳어져 뜻이 변한 경우는 붙여 쓰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띄어 써야 합니다.
처신을 잘하다/공부를 잘하다/살림을 잘하다/말을 잘하다/웃기를 잘한다처럼 씁니다.

'잘되다/잘 되다'도 그렇게 가르시면 됩니다.

벌써 금요일입니다.
사무실 앞에 있는 벚꽃의 꽃봉오리가 참 예쁘네요.
며칠 전 식목일은 8년만에 산불이 없었다고 합니다.
이번 주말도 산불 소식이 없기를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2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63
1676 [2007/10/07] 우리말) '중'은 '가운데'라고 쓰는 게 더 좋습니다 id: moneyplan 2007-10-08 3729
1675 [2008/04/28] 우리말) 옥수수와 강냉이 id: moneyplan 2008-04-28 3728
1674 [2014/10/06] 우리말) 얌치 같은 계집애?-성기지 학술위원 머니북 2014-10-06 3727
1673 [2014/02/28] 우리말) 날탕과 생무지 머니북 2014-02-28 3726
1672 [2012/10/11] 우리말) 총각 머니북 2012-10-11 3726
1671 [2012/01/05] 우리말) 쇠고기 머니북 2012-01-05 3726
1670 [2011/12/06] 우리말) 딸내미와 싸움 머니북 2011-12-06 3726
1669 [2011/12/01] 우리말) 물때썰때 머니북 2011-12-01 3726
1668 [2014/05/22] 우리말) '지' 띄어쓰기 머니북 2014-05-22 3725
1667 [2013/10/22] 우리말) 인사 말씀이 계시겠습니다? 머니북 2013-10-22 3725
1666 [2009/08/27] 우리말) 목이 메다 id: moneyplan 2009-08-27 3725
1665 [2008/11/04] 우리말) 사춤 id: moneyplan 2008-11-04 3725
1664 [2012/11/05] 우리말) 애매와 알쏭달쏭 머니북 2012-11-05 3724
1663 [2012/02/02] 우리말) '바' 띄어쓰기 머니북 2012-02-02 3724
1662 [2010/08/02] 우리말) 매기단하다 moneybook 2010-08-02 3724
1661 [2010/12/29] 우리말) 따듯하다 moneybook 2010-12-29 3722
1660 [2010/07/13] 우리말) 족집게 moneybook 2010-07-13 3721
1659 [2007/07/06] 우리말) 뒷다마와 뒷담화 id: moneyplan 2007-07-06 3721
1658 [2014/07/03] 우리말) 동고동락 머니북 2014-07-04 3720
1657 [2012/12/18] 우리말) 카랑카랑한 날씨 머니북 2012-12-18 3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