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0/24] 우리말) 아침결

조회 수 3716 추천 수 117 2008.10.24 11:23:48
'결'에는 오늘 말씀드릴 '때, 사이, 짬'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이때의 결은 '겨를'의 준말입니다.
쉴 겨를 없이 일했다나 쉴 결 없이 일했다처럼 씁니다.
잠결, 귓결, 겁결, 얼떨결, 무심결 같은 게 모두 이 결에서 온 겁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제가 실수를 했네요.
'해맞이'를 '해맏이'라고 썼습니다.
핑계를 대자면,
숙직서고 일어나자마자 편지를 쓰다 보니 해맞이와 해돋이가 머리속에서 얽혀 있었나 봅니다.
헷갈리게 해서 죄송합니다.

오늘도 걱정이네요.
이제야 집에 들어가는데 지금 제가 맨정신인지 모르겠습니다. ^^*

'아침결'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아침때가 지나는 동안'이라는 뜻입니다.
아침 기분이 사라지기 전이나 낮이 되기 전이라는 뜻이겠죠.

지금은 동트기 직전이니 '새벽'이나 '갓밝이'이고,
날이 밝아온 다음부터가 아침결입니다.

'결'에는 여러 가지 뜻이 있습니다.
나무, 돌, 살갗 따위에서 조직의 굳고 무른 부분이 모여 일정하게 켜를 지으면서 짜인 바탕의 상태나 무늬라는 뜻이 있어,
결이 고운 비단, 결이 센 나무, 결 좋은 머리카락처럼 씁니다.
또,
성격도 결이라고 합니다.
결이 바르다고 하면 성미가 곧고 바르다는 뜻이고,
결을 삭이다고 하면 성이 난 마음을 풀어 가라앉히다는 뜻입니다.
파동과 같은 흐름을 뜻하기도 합니다.
물결, 바람결, 숨결 따위가 그런 거죠.

'결'에는 오늘 말씀드릴 '때, 사이, 짬'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이때의 결은 '겨를'의 준말입니다.
쉴 겨를 없이 일했다나 쉴 결 없이 일했다처럼 씁니다.
잠결, 귓결, 겁결, 얼떨결, 무심결 같은 게 모두 이 결에서 온 겁니다.

오늘 편지도 햇귀를 보기 전에 얼떨결에 쓰다 보니 실수할까 걱정입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간발의 차이]

제 차는 주말용인가 봅니다.
평소에는 저녁마다 치르는 전투 때문에 차를 가져가지 못하고,
주말에만 여기저기 놀러다니느라 쓰잖아요.

오늘 아침도 쓰라린 속을 달래려고
국에만 밥을 억지로 몇 술 뜨고 집을 나섰습니다.

버스 타는 곳이 보일 때쯤 제가 타야하는 버스가 오더군요.
뛰어갈까? 다음 차를 기다릴까?
순간 머릿속에서 수많은 생각이 스쳐갔지만,
결론은 하나.
그래 저녁마다 고생하는 다리, 아침이라도 좀 쉬거라...
10초만 먼저 집에서 나섰어도 저 차를 탈 수 있었는데...
아깝다... 간발의 차이로 놓쳤다...

간발...
몇 걸음 안 되는 차이,
몇 발만 먼저 디뎌도 얻을 수 있는 그런 차이...

간발을 그렇게 알고 계시는 분이 많으시더군요.

간발은 그런 뜻이 아닙니다.
간발(間髮, かんはつ[간바쯔])은,
사이 간 자와 터럭 발 자를 써서,
'터럭 하나 차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차이를 뜻하는 일본어투 말입니다.

언제쯤 우리말편지에서 일본말을 보내지 않아도 될까요?
여기저기 사전에서 찾은 아름다운 우리말만 소개하고 싶은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1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37
1556 [2007/04/1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7-04-16 3683
1555 [2014/04/03] 우리말) 허점 머니북 2014-04-03 3682
1554 [2012/05/01] 우리말) 전기료와 전기세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2-05-02 3682
1553 [2011/09/06] 우리말) 만날도 맞고 맨날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6 3682
1552 [2010/07/14] 우리말) 빠르면 오늘 소환? [1] moneybook 2010-07-14 3682
1551 [2009/02/26] 우리말) 대로와 데로 id: moneyplan 2009-02-26 3682
1550 [2017/03/08] 우리말) 주기와 주년 머니북 2017-03-09 3681
1549 [2017/02/09] 우리말) 안갚음과 앙갚음 머니북 2017-02-10 3681
1548 [2013/10/30] 우리말) 신랄하다 머니북 2013-10-30 3680
1547 [2013/02/04] 우리말) 목도리 친친 머니북 2013-02-04 3679
1546 [2010/01/26] 우리말) 세 자와 석 자 id: moneyplan 2010-01-26 3679
1545 [2008/12/01] 우리말) 알심 id: moneyplan 2008-12-01 3679
1544 [2007/08/07] 우리말) '노지'가 아니라 '밖', '한데' id: moneyplan 2007-08-07 3679
1543 [2017/09/20] 우리말) 땡깡(2) 머니북 2017-09-21 3678
1542 [2013/01/24] 우리말) 잊힌과 잊혀진 머니북 2013-01-24 3677
1541 [2010/01/13] 우리말) 뒷담화 id: moneyplan 2010-01-13 3677
1540 [2015/01/22] 우리말) 들뜨다와 달뜨다 머니북 2015-01-22 3676
1539 [2013/10/17] 우리말) 악천우 -> 악천후 머니북 2013-10-17 3676
1538 [2011/11/21] 우리말) 광어 -> 넙치 머니북 2011-11-21 3676
1537 [2013/11/11] 우리말) 영상 머니북 2013-11-11 3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