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0/24] 우리말) 아침결

조회 수 3660 추천 수 117 2008.10.24 11:23:48
'결'에는 오늘 말씀드릴 '때, 사이, 짬'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이때의 결은 '겨를'의 준말입니다.
쉴 겨를 없이 일했다나 쉴 결 없이 일했다처럼 씁니다.
잠결, 귓결, 겁결, 얼떨결, 무심결 같은 게 모두 이 결에서 온 겁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제가 실수를 했네요.
'해맞이'를 '해맏이'라고 썼습니다.
핑계를 대자면,
숙직서고 일어나자마자 편지를 쓰다 보니 해맞이와 해돋이가 머리속에서 얽혀 있었나 봅니다.
헷갈리게 해서 죄송합니다.

오늘도 걱정이네요.
이제야 집에 들어가는데 지금 제가 맨정신인지 모르겠습니다. ^^*

'아침결'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아침때가 지나는 동안'이라는 뜻입니다.
아침 기분이 사라지기 전이나 낮이 되기 전이라는 뜻이겠죠.

지금은 동트기 직전이니 '새벽'이나 '갓밝이'이고,
날이 밝아온 다음부터가 아침결입니다.

'결'에는 여러 가지 뜻이 있습니다.
나무, 돌, 살갗 따위에서 조직의 굳고 무른 부분이 모여 일정하게 켜를 지으면서 짜인 바탕의 상태나 무늬라는 뜻이 있어,
결이 고운 비단, 결이 센 나무, 결 좋은 머리카락처럼 씁니다.
또,
성격도 결이라고 합니다.
결이 바르다고 하면 성미가 곧고 바르다는 뜻이고,
결을 삭이다고 하면 성이 난 마음을 풀어 가라앉히다는 뜻입니다.
파동과 같은 흐름을 뜻하기도 합니다.
물결, 바람결, 숨결 따위가 그런 거죠.

'결'에는 오늘 말씀드릴 '때, 사이, 짬'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이때의 결은 '겨를'의 준말입니다.
쉴 겨를 없이 일했다나 쉴 결 없이 일했다처럼 씁니다.
잠결, 귓결, 겁결, 얼떨결, 무심결 같은 게 모두 이 결에서 온 겁니다.

오늘 편지도 햇귀를 보기 전에 얼떨결에 쓰다 보니 실수할까 걱정입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간발의 차이]

제 차는 주말용인가 봅니다.
평소에는 저녁마다 치르는 전투 때문에 차를 가져가지 못하고,
주말에만 여기저기 놀러다니느라 쓰잖아요.

오늘 아침도 쓰라린 속을 달래려고
국에만 밥을 억지로 몇 술 뜨고 집을 나섰습니다.

버스 타는 곳이 보일 때쯤 제가 타야하는 버스가 오더군요.
뛰어갈까? 다음 차를 기다릴까?
순간 머릿속에서 수많은 생각이 스쳐갔지만,
결론은 하나.
그래 저녁마다 고생하는 다리, 아침이라도 좀 쉬거라...
10초만 먼저 집에서 나섰어도 저 차를 탈 수 있었는데...
아깝다... 간발의 차이로 놓쳤다...

간발...
몇 걸음 안 되는 차이,
몇 발만 먼저 디뎌도 얻을 수 있는 그런 차이...

간발을 그렇게 알고 계시는 분이 많으시더군요.

간발은 그런 뜻이 아닙니다.
간발(間髮, かんはつ[간바쯔])은,
사이 간 자와 터럭 발 자를 써서,
'터럭 하나 차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차이를 뜻하는 일본어투 말입니다.

언제쯤 우리말편지에서 일본말을 보내지 않아도 될까요?
여기저기 사전에서 찾은 아름다운 우리말만 소개하고 싶은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5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93
1516 [2012/03/19]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머니북 2012-03-19 3630
1515 [2012/02/21] 우리말) 쑥스럽다 머니북 2012-02-21 3629
1514 [2014/01/14] 우리말) 예수남은 머니북 2014-01-14 3629
1513 [2013/10/30] 우리말) 신랄하다 머니북 2013-10-30 3628
1512 [2013/10/31]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10-31 3628
1511 [2008/10/09] 우리말) 한글날 기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9 3628
1510 [2007/11/08] 우리말) 영어 교육 id: moneyplan 2007-11-08 3628
1509 [2013/10/25] 우리말) 꿀리다 머니북 2013-10-25 3627
1508 [2010/04/07] 우리말) 날름과 낼름 id: moneyplan 2010-04-07 3627
1507 [2008/09/30] 우리말) 멀다랗다와 머다랗다 id: moneyplan 2008-09-30 3627
1506 [2013/01/14] 우리말) 동장군 머니북 2013-01-14 3626
1505 [2012/03/15] 우리말) 싱싱하다와 안슬프다 머니북 2012-03-15 3626
1504 [2007/10/04] 우리말) 사열했다와 사열 받다 id: moneyplan 2007-10-05 3626
1503 [2013/05/15] 우리말) 스승의 날에 읽어보는 교수의 반성문 머니북 2013-05-15 3625
1502 [2012/02/15] 우리말) 노름마치 머니북 2012-02-15 3625
1501 [2011/11/21] 우리말) 광어 -> 넙치 머니북 2011-11-21 3625
1500 [2008/12/11] 우리말) 밥맛없다와 밥맛 없다 id: moneyplan 2008-12-11 3625
1499 [2009/09/11] 우리말) 책 한 권 권해드립니다 id: moneyplan 2009-09-11 3624
1498 [2013/08/28] 우리말) 거섶 머니북 2013-08-28 3623
1497 [2013/01/29] 우리말) 왔다리갔다리 머니북 2013-01-29 3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