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0/31] 우리말) 권커니 잣거니

조회 수 3683 추천 수 149 2008.10.31 09:14:27
어쨌든
'권커니 잣거니'와 '권커니 잡거니'는 표준말입니다.


안녕하세요.

단비가 내리네요.
단비는 "꼭 필요한 때 알맞게 내리는 비"입니다.
우리 경제, 우리 삶에도 단비가 내리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어제는 오랜만에 옛 동료를 만나 저녁에 한 잔 했습니다.
인사로 자리를 옮긴 지 거의 달포 만에 마련한 환송회 자리였습니다.
반가운 얼굴을 마주 보며 권커니 잣거니하다보니 시간가는 줄 모르겠더군요.

술을 남에게 권하면서 자기도 받아 마시며 계속하여 먹는 모양을 뜻할 때
권커니 잣거니라고 합니다.
권커니는 권하거니에서 왔을 것이고, 잣거니는 아마도 작(酌)에서 온 말 같습니다.
이 말이 조금 바꿔 '권커니 잡거니'라고도 합니다.
뒤에 오는 잡거니는 술잔을 잡다에서 온 것 같습니다.
어쨌든
'권커니 잣거니'와 '권커니 잡거니'는 표준말입니다.

그러나
권커니 작커니, 권커니 자커니, 권커니 잣커니는 바르지 않습니다.

사람이 말을 만들고
그 말을 자주 쓰면 사전에 올라 표준말로 대접을 받습니다.
그러나 자주 쓰는 말이라고 모두 표준말인 것은 아닙니다.
또한, 언제나 표준말만 쓰면서 살 수도 없지 싶습니다.

어제 같은 날
옛 동료와 만나 권커니 잣커니할 때는 '소주'보다는 '쐬주'가 더 어울리거든요. ^^*
비록 쐬주가 표준말은 아니지만...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충돌/추돌]

어젯밤에 차를 몰고 퇴근하는데 유난히 차가 밀리더군요.
앞차 꽁무니를 따라 슬슬 가다 보니,
차 서너 대가 추돌했더군요.
다행히 사람이 다친 것 같지는 않았습니다.

오늘은 추돌과 충돌을 설명해 드릴게요.

다 아시는 것처럼,
'충돌'은,
"서로 맞부딪치거나 맞섬"이라는 뜻이고,
'추돌'은,
"자동차나 기차 따위가 뒤에서 들이받음."이라는 뜻입니다.

'충돌(衝突)'은 찌를 충(衝) 자와 갑자기 돌(突) 자를 쓰고,
'추돌(追突) 은 쫓을 추(追) 자와 갑자기 돌(突) 자를 씁니다.

따라서,
'충돌'은 이 차는 가고 저 차는 오면서 서로 맞부딪치는 것이고,
'추돌'은 이 차와 저 차가 같은 방향으로 가면서 뒤에 가는 차가 앞에 가는 차 꽁무니를 들이받은 것을 말합니다.

어제 제가 본 교통사고는 '추돌'이었습니다.
앞차가 갑자기 멈추니까 뒷 차가 미처 멈추지 못하고 들이받은 거죠.

차를 몰고 다니시거나,
차를 타고 다니시는 모든 분들 차조심하시길 빕니다.
문명의 이기가 때로는 문명이 흉기도 될 수 있거든요.

오늘도 많이 웃는 하루 보내시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1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30
1196 [2011/08/10] 우리말) 배럴당 80달러 머니북 2011-08-10 3628
1195 [2011/01/28] 우리말) 행안부와 까도남의 다른점 moneybook 2011-01-28 3629
1194 [2013/10/31]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10-31 3629
1193 [2013/08/16] 우리말) 책 소개 '오염된 국어사전' 책 소개(2) 머니북 2013-08-19 3629
1192 [2010/07/14] 우리말) 빠르면 오늘 소환? [1] moneybook 2010-07-14 3630
1191 [2012/03/15] 우리말) 싱싱하다와 안슬프다 머니북 2012-03-15 3630
1190 [2008/12/11] 우리말) 밥맛없다와 밥맛 없다 id: moneyplan 2008-12-11 3631
1189 [2013/01/14] 우리말) 동장군 머니북 2013-01-14 3631
1188 [2017/10/18] 우리말) 카카오톡 머니북 2017-11-06 3631
1187 [2007/11/08] 우리말) 영어 교육 id: moneyplan 2007-11-08 3632
1186 [2010/04/07] 우리말) 날름과 낼름 id: moneyplan 2010-04-07 3632
1185 [2013/08/28] 우리말) 거섶 머니북 2013-08-28 3632
1184 [2008/10/09] 우리말) 한글날 기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9 3634
1183 [2016/08/16] 우리말) 모처럼/어쩌다 머니북 2016-08-17 3634
1182 [2008/08/06] 우리말) 메밀꽃 id: moneyplan 2008-08-06 3635
1181 [2013/10/25] 우리말) 꿀리다 머니북 2013-10-25 3635
1180 [2012/02/21] 우리말) 쑥스럽다 머니북 2012-02-21 3635
1179 [2013/05/15] 우리말) 스승의 날에 읽어보는 교수의 반성문 머니북 2013-05-15 3635
1178 [2012/03/19]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머니북 2012-03-19 3636
1177 [2015/07/09] 우리말) 너무 머니북 2015-07-10 3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