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래 제목인 잊혀진 계절은 맞춤법에 맞지 않습니다.
잊다의 입음꼴(피동형)은 잊혀지다가 아니라 잊히다입니다.
오래전에 잊힌 일들을 다시 얘기할 필요는 없다, 이 사건은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차츰 잊혀 갔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잊혀진 계절이 아니라 잊힌 계절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시월의 마지막 밤인데,
아직도 집에 못 가고 일터에서 남을 일과 싸우고 있습니다.
눈이 감겨와 우리말편지를 쓰면 좀 나을 것 같아서...

어제 편지에서 몇 가지 실수가 있었네요.

1.
어제는 오랜만에 옛 동료를 만나 저녁에 한 잔 했습니다.
라는 월을 보시고,
딱 한 잔만 했냐고 하시는 분이 계시네요.
한잔은 간단하게 한 차례 마시는 술이고,
한 잔은 딱 한 잔이라는 뜻입니다.
저는 어제 '한 잔' 한 게 아니라 '한잔' 했습니다. ^^*

2.
어제 편지 끝머리에
옛 동료와 만나 권커니 잣커니할 때는 '소주'보다는 '쐬주'가 더 어울리거든요. ^^*
라고 했는데,
'권커니 잣커니'가 아니라 '권커니 잣거니'입니다.
앞에서 잘 설명해 놓고 막상 저는 틀렸네요. ^^*

3.
권커니 잣거니를 설명하면서
잣거니는 아마도 작(酌)에서 온 말 같다고 했는데,
어떤 분이 혹시 '자시거니'에서 온 말이 아니냐는 분이 계시네요.
정확한 말뿌리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왕 편지를 쓴 김에 하나 짚고 갈게요.

오늘이 시월의 마지막 밤입니다.
이 날은 이용의 '잊혀진 계절'때문에 이름을 탄 것 같습니다.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시월의 마지막밤을... 뭐 이런 노래 있잖아요.

이 노래 제목인 잊혀진 계절은 맞춤법에 맞지 않습니다.
잊다의 입음꼴(피동형)은 잊혀지다가 아니라 잊히다입니다.
오래전에 잊힌 일들을 다시 얘기할 필요는 없다, 이 사건은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차츰 잊혀 갔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잊혀진 계절이 아니라 잊힌 계절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문법을 보면,
'잊히다'가 '잊다'의 입음꼴인데,
여기에 부사형 연결어미 '-어'가 오고 그 뒤에
앞말이 뜻하는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말인 '지다'가 한 번 더 합쳐졌기 때문에 이중피동이 됩니다.

쓰다보니 편지가 좀 길어졌네요.
빨리 일 마치고 들어가야 겠네요.

주말 잘 쉬시길 빕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통털어 >> 통틀어]

아침마다 일터에 나오면서 아파트 앞 가게에 들러 담배를 한 갑 사는데,
오늘은 깜빡 잊고 지갑을 챙겨오지 않았네요. 그냥 나왔죠...

사무실에서 서랍에 있는 동전을 찾아보니,
통털어 2,300원...
200원이 모자라는데...쩝...
이 핑계로 오늘 담배 좀 참아보자!!

앞에서 쓴,
'통털어 2,300원'은 잘못된 겁니다.

'통째로 탈탈 털어'라는 말이 줄어들어 '통털어'가 된 게 아닙니다.
"있는 대로 모두 합하여"라는 뜻의 부사는,
'통틀어'입니다.
'내가 가진 돈은 통틀어 오백 원뿐이다, 우릴 통틀어 경멸하는 소리는 삼가 줘'처럼 씁니다.

'통털어'가 '통틀어'보다 입에 더 익어 있더라도,
표준말은 '통틀어'입니다.

그나저나,
서랍 모퉁이 어디에 백 원짜리 두 개 없나?
200원만 더 있으면 되는데...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5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84
616 [2008/05/31] 우리말) 가는 5월이 아쉬워...(핏줄 쓰이다) id: moneyplan 2008-06-03 3994
615 [2007/02/03] 우리말) 기상 예보의 정밀도? 정확도? id: moneyplan 2007-02-05 3995
614 [2007/03/27] 우리말) 이자는 길미로... id: moneyplan 2007-03-27 3996
613 [2012/07/27] 우리말) 화이팅/파이팅 머니북 2012-07-27 4001
612 [2012/06/11] 우리말) 집념과 집착 머니북 2012-06-11 4005
611 [2008/10/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22 4007
610 [2017/08/09] 우리말) 비빈밥’과 ‘덧밥’ 머니북 2017-08-09 4009
609 [2012/10/15] 우리말) 과일주와 과실주 머니북 2012-10-15 4011
608 [2007/02/09] 우리말) 이르다와 빠르다고 모르는 국정홍보처 id: moneyplan 2007-02-12 4012
607 [2007/08/16] 우리말) 썩이다와 썩히다 id: moneyplan 2007-08-16 4014
606 [2013/02/06] 우리말) 시가와 싯가 머니북 2013-02-06 4014
605 [2016/02/29] 우리말) 이와 이빨 머니북 2016-02-29 4014
604 [2008/01/10] 우리말) 범털과 개털 id: moneyplan 2008-01-10 4016
603 [2015/09/16] 우리말) 정의 -> 뜻매김 머니북 2015-09-16 4018
602 [2007/08/30] 우리말) 알토란 id: moneyplan 2007-08-30 4019
601 [2007/05/09] 우리말) 천벌 받을... id: moneyplan 2007-05-09 4035
600 [2013/07/25] 우리말) 3.0 읽기 머니북 2013-07-25 4036
599 [2014/02/21] 우리말) 텃새/텃세 머니북 2014-02-21 4041
598 [2011/06/27] 우리말) 늦동이와 늦둥이 머니북 2011-06-27 4042
597 [2014/08/18] 우리말) 우리 머니북 2014-08-19 4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