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래 제목인 잊혀진 계절은 맞춤법에 맞지 않습니다.
잊다의 입음꼴(피동형)은 잊혀지다가 아니라 잊히다입니다.
오래전에 잊힌 일들을 다시 얘기할 필요는 없다, 이 사건은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차츰 잊혀 갔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잊혀진 계절이 아니라 잊힌 계절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시월의 마지막 밤인데,
아직도 집에 못 가고 일터에서 남을 일과 싸우고 있습니다.
눈이 감겨와 우리말편지를 쓰면 좀 나을 것 같아서...

어제 편지에서 몇 가지 실수가 있었네요.

1.
어제는 오랜만에 옛 동료를 만나 저녁에 한 잔 했습니다.
라는 월을 보시고,
딱 한 잔만 했냐고 하시는 분이 계시네요.
한잔은 간단하게 한 차례 마시는 술이고,
한 잔은 딱 한 잔이라는 뜻입니다.
저는 어제 '한 잔' 한 게 아니라 '한잔' 했습니다. ^^*

2.
어제 편지 끝머리에
옛 동료와 만나 권커니 잣커니할 때는 '소주'보다는 '쐬주'가 더 어울리거든요. ^^*
라고 했는데,
'권커니 잣커니'가 아니라 '권커니 잣거니'입니다.
앞에서 잘 설명해 놓고 막상 저는 틀렸네요. ^^*

3.
권커니 잣거니를 설명하면서
잣거니는 아마도 작(酌)에서 온 말 같다고 했는데,
어떤 분이 혹시 '자시거니'에서 온 말이 아니냐는 분이 계시네요.
정확한 말뿌리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왕 편지를 쓴 김에 하나 짚고 갈게요.

오늘이 시월의 마지막 밤입니다.
이 날은 이용의 '잊혀진 계절'때문에 이름을 탄 것 같습니다.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시월의 마지막밤을... 뭐 이런 노래 있잖아요.

이 노래 제목인 잊혀진 계절은 맞춤법에 맞지 않습니다.
잊다의 입음꼴(피동형)은 잊혀지다가 아니라 잊히다입니다.
오래전에 잊힌 일들을 다시 얘기할 필요는 없다, 이 사건은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차츰 잊혀 갔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잊혀진 계절이 아니라 잊힌 계절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문법을 보면,
'잊히다'가 '잊다'의 입음꼴인데,
여기에 부사형 연결어미 '-어'가 오고 그 뒤에
앞말이 뜻하는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말인 '지다'가 한 번 더 합쳐졌기 때문에 이중피동이 됩니다.

쓰다보니 편지가 좀 길어졌네요.
빨리 일 마치고 들어가야 겠네요.

주말 잘 쉬시길 빕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통털어 >> 통틀어]

아침마다 일터에 나오면서 아파트 앞 가게에 들러 담배를 한 갑 사는데,
오늘은 깜빡 잊고 지갑을 챙겨오지 않았네요. 그냥 나왔죠...

사무실에서 서랍에 있는 동전을 찾아보니,
통털어 2,300원...
200원이 모자라는데...쩝...
이 핑계로 오늘 담배 좀 참아보자!!

앞에서 쓴,
'통털어 2,300원'은 잘못된 겁니다.

'통째로 탈탈 털어'라는 말이 줄어들어 '통털어'가 된 게 아닙니다.
"있는 대로 모두 합하여"라는 뜻의 부사는,
'통틀어'입니다.
'내가 가진 돈은 통틀어 오백 원뿐이다, 우릴 통틀어 경멸하는 소리는 삼가 줘'처럼 씁니다.

'통털어'가 '통틀어'보다 입에 더 익어 있더라도,
표준말은 '통틀어'입니다.

그나저나,
서랍 모퉁이 어디에 백 원짜리 두 개 없나?
200원만 더 있으면 되는데...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95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494
876 [2013/09/26] 우리말) 윈도우와 윈도 머니북 2013-09-26 3803
875 [2012/07/20] 우리말) 시계 돌아가는 소리 머니북 2012-07-20 3803
874 [2013/03/28] 우리말) 늙수그레 머니북 2013-03-28 3804
873 [2010/07/21] 우리말) 후더분한 날씨 moneybook 2010-07-21 3805
872 [2011/05/12] 우리말) 달뜨다와 주니 moneybook 2011-05-12 3805
871 [2012/05/21] 우리말) 마사토(2) 머니북 2012-05-21 3805
870 [2007/07/04] 우리말) 후덥지근과 후텁지근 id: moneyplan 2007-07-04 3807
869 [2010/06/30] 우리말) 안과 밖 moneybook 2010-06-30 3807
868 [2016/07/22] 우리말) 도쿠리, 도꾸리, 도꼬마리 머니북 2016-08-10 3807
867 [2016/12/23] 우리말) 잉꼬부부와 원앙부부 머니북 2016-12-25 3807
866 [2007/05/21] 우리말) 보라 id: moneyplan 2007-05-21 3808
865 [2017/04/11] 우리말) '그것참'인데, '그거참 머니북 2017-04-11 3808
864 [2007/10/27] 우리말) 오늘은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7-10-27 3809
863 [2011/11/23] 우리말) 백발 머니북 2011-11-23 3809
862 [2010/04/15] 우리말) 코털이 세다 id: moneyplan 2010-04-15 3810
861 [2017/07/04] 우리말) 장애인과 불구 머니북 2017-07-06 3810
860 [2015/12/11] 우리말) 팔순잔치 머니북 2015-12-14 3811
859 [2007/11/02] 우리말) 강추위와 强추위 id: moneyplan 2007-11-02 3812
858 [2014/12/10] 우리말) 사전에도 없는 말 쓰는 공공기관, 댓글 머니북 2014-12-10 3812
857 [2015/07/07] 우리말) 하굿둑 머니북 2015-07-07 3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