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래 제목인 잊혀진 계절은 맞춤법에 맞지 않습니다.
잊다의 입음꼴(피동형)은 잊혀지다가 아니라 잊히다입니다.
오래전에 잊힌 일들을 다시 얘기할 필요는 없다, 이 사건은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차츰 잊혀 갔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잊혀진 계절이 아니라 잊힌 계절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시월의 마지막 밤인데,
아직도 집에 못 가고 일터에서 남을 일과 싸우고 있습니다.
눈이 감겨와 우리말편지를 쓰면 좀 나을 것 같아서...

어제 편지에서 몇 가지 실수가 있었네요.

1.
어제는 오랜만에 옛 동료를 만나 저녁에 한 잔 했습니다.
라는 월을 보시고,
딱 한 잔만 했냐고 하시는 분이 계시네요.
한잔은 간단하게 한 차례 마시는 술이고,
한 잔은 딱 한 잔이라는 뜻입니다.
저는 어제 '한 잔' 한 게 아니라 '한잔' 했습니다. ^^*

2.
어제 편지 끝머리에
옛 동료와 만나 권커니 잣커니할 때는 '소주'보다는 '쐬주'가 더 어울리거든요. ^^*
라고 했는데,
'권커니 잣커니'가 아니라 '권커니 잣거니'입니다.
앞에서 잘 설명해 놓고 막상 저는 틀렸네요. ^^*

3.
권커니 잣거니를 설명하면서
잣거니는 아마도 작(酌)에서 온 말 같다고 했는데,
어떤 분이 혹시 '자시거니'에서 온 말이 아니냐는 분이 계시네요.
정확한 말뿌리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왕 편지를 쓴 김에 하나 짚고 갈게요.

오늘이 시월의 마지막 밤입니다.
이 날은 이용의 '잊혀진 계절'때문에 이름을 탄 것 같습니다.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시월의 마지막밤을... 뭐 이런 노래 있잖아요.

이 노래 제목인 잊혀진 계절은 맞춤법에 맞지 않습니다.
잊다의 입음꼴(피동형)은 잊혀지다가 아니라 잊히다입니다.
오래전에 잊힌 일들을 다시 얘기할 필요는 없다, 이 사건은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차츰 잊혀 갔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잊혀진 계절이 아니라 잊힌 계절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문법을 보면,
'잊히다'가 '잊다'의 입음꼴인데,
여기에 부사형 연결어미 '-어'가 오고 그 뒤에
앞말이 뜻하는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말인 '지다'가 한 번 더 합쳐졌기 때문에 이중피동이 됩니다.

쓰다보니 편지가 좀 길어졌네요.
빨리 일 마치고 들어가야 겠네요.

주말 잘 쉬시길 빕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통털어 >> 통틀어]

아침마다 일터에 나오면서 아파트 앞 가게에 들러 담배를 한 갑 사는데,
오늘은 깜빡 잊고 지갑을 챙겨오지 않았네요. 그냥 나왔죠...

사무실에서 서랍에 있는 동전을 찾아보니,
통털어 2,300원...
200원이 모자라는데...쩝...
이 핑계로 오늘 담배 좀 참아보자!!

앞에서 쓴,
'통털어 2,300원'은 잘못된 겁니다.

'통째로 탈탈 털어'라는 말이 줄어들어 '통털어'가 된 게 아닙니다.
"있는 대로 모두 합하여"라는 뜻의 부사는,
'통틀어'입니다.
'내가 가진 돈은 통틀어 오백 원뿐이다, 우릴 통틀어 경멸하는 소리는 삼가 줘'처럼 씁니다.

'통털어'가 '통틀어'보다 입에 더 익어 있더라도,
표준말은 '통틀어'입니다.

그나저나,
서랍 모퉁이 어디에 백 원짜리 두 개 없나?
200원만 더 있으면 되는데...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6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75
2674 [2013/10/28] 우리말) 틀리기 쉬운 높임말 머니북 2013-10-28 424312
2673 [2014/01/10] 우리말) 사물 존대 동영상 머니북 2014-01-10 144007
2672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99682
2671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5817
2670 [2010/01/12] 우리말) 한판과 한 판 id: moneyplan 2010-01-12 52213
2669 [2011/12/15] 우리말)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머니북 2011-12-16 20378
2668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9665
2667 [2008/03/07] 우리말) 발췌, 발취, 발초 id: moneyplan 2008-03-07 18260
2666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8144
2665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871
2664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7425
2663 [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머니북 2011-12-19 17146
2662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6305
2661 [2006/08/18] 우리말) '당분간'이 아니라 '얼마 동안' id: moneyplan 2006-08-18 16283
2660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757
2659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5281
2658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4179
2657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4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