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1/1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조회 수 3181 추천 수 162 2008.11.18 09:23:32
여기서 오늘 문제를 내겠습니다.
소나무 밑동을 보면 금이 쩍쩍 벌어져 있고, 물고기 비늘 모양의 굵은 껍데기가 더덕더덕 붙어 있는데요.
그 껍데기를 잡고 힘껏 떼 내면 한 조각씩 떨어져 나옵니다. 그 떨어져 나오는 껍데기를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무척 춥네요. 옷 잘 챙겨 입으셨죠?

오늘은 문제를 내겠습니다.
지난 주말에 네 살배기 아들 녀석과 시제에 다녀왔습니다.
저는 제사상을 차리는데 아들은 할 일이 없어서 큰 소나무 앞에 가서 비늘 모양으로 덮여 있는 겉껍질을 뜯거나
바로 옆 밭에 가서 고구마와 무를 캐더군요. 힘이 남아돌아 그냥 힘쓰는 거죠. ^^*

나중에 집에 돌아와서 보니 언제 가져왔는지 산에서 가져온 소나무 껍데기를 물에 띄워놓고 놀고 있었습니다.
그게 가벼워서 물에 잘 뜬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는지 모르겠습니다.

여기서 오늘 문제를 내겠습니다.
소나무 밑동을 보면 금이 쩍쩍 벌어져 있고, 물고기 비늘 모양의 굵은 껍데기가 더덕더덕 붙어 있는데요.
그 껍데기를 잡고 힘껏 떼 내면 한 조각씩 떨어져 나옵니다. 그 떨어져 나오는 껍데기를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설마 목피라고 답하시는 분은 안 계시겠죠?

맨 먼저 정답을 보내신 분께 갈피표 선물을 드리겠습니다.
댓글을 달아주시는 분과 답장을 보내주시는 분 두 분께 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잔반/짭밥 >> 대궁]

오늘은 제 딸내미 이야기 좀 드릴게요.
요즘 30개월 된 딸내미가 혼자서도 밥을 잘 먹는데요.
밥을 잘 먹다가 어른들이 밥을 다 먹고 숟가락을 놓으면,
딸내미도 따라서 같이 숟가락을 놔 버립니다.
밥이 아직 남았는데도...

"이렇게 밥을 먹다가 남기면 어떻게 하니?"
"......"
"네 아빠가 농사꾼인데 네가 밥을 남기면 되겠어? 이 대궁은 누가 먹으라고?"
"......"
"너 다 먹을 때까지 아빠가 옆에 앉아있을 테니까 한 톨도 남김없이 다 먹어라. 알았지?"
"(마지못해) 예..."
거의 날마다 딸내미와 나누는 이야깁니다.

여러분, '대궁'이 뭔지 아세요?
"먹다가 그릇에 남긴 밥."을 뜻하는 순 우리말이 바로 '대궁'입니다.
군대에서 많이 들었던 '짬밥'이 바로 '대궁'입니다.

'짬밥'은 실은 '잔반(殘飯, ざんぱん[장방])'이라는 일본말에서 왔습니다.
국립국어원 표준대사전에서 '잔반'을 찾아보면,
"먹고 남은 밥."이라고 풀어놓고,
'남은 밥', '음식 찌꺼기'로 바꾸도록 했습니다.

'잔반'이건 '짬밥'이건 다 버리고,
'대궁'이라는 낱말을 쓰면 어떨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5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592
2356 [2016/05/02] 우리말) 토끼풀과 클로버 머니북 2016-05-02 3240
2355 [2016/04/29] 우리말) 주접스럽다 머니북 2016-04-29 3164
2354 [2016/04/28] 우리말) '~다시피'와 '~다싶이' 머니북 2016-04-29 3488
2353 [2016/04/27] 우리말) 에누리와 차별 머니북 2016-04-29 3348
2352 [2016/04/26] 우리말) 얘기와 예기 머니북 2016-04-27 3719
2351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829
2350 [2016/04/22] 우리말) 생사여부 머니북 2016-04-22 4024
2349 [2016/04/21] 우리말) 곡우 머니북 2016-04-22 4328
2348 [2016/04/20] 우리말) 쭉신 머니북 2016-04-22 2899
2347 [2016/04/19] 우리말) 신문 기사를 잇습니다 머니북 2016-04-22 3092
2346 [2016/04/18] 우리말) 쓰임새 많은 바둑 용어 머니북 2016-04-19 3055
2345 [2016/04/15] 우리말) 아름다운 바라지 머니북 2016-04-16 3065
2344 [2016/04/14] 우리말) 수도가 -> 수돗가 머니북 2016-04-16 3244
2343 [2016/04/12] 우리말) 발표할 때... 머니북 2016-04-16 3082
2342 [2016/04/11] 우리말) 이울다 머니북 2016-04-11 3160
2341 [2016/04/08] 우리말) 떡볶이와 떡볶기 머니북 2016-04-11 3718
2340 [2016/04/07] 우리말) 어연번듯하다 머니북 2016-04-07 3175
2339 [2016/04/06] 우리말) 감치다(2) 머니북 2016-04-06 4055
2338 [2016/04/05] 우리말) 대로/데로 머니북 2016-04-05 4534
2337 [2016/04/04] 우리말) 만발 -> 활짝 머니북 2016-04-05 3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