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1/26] 우리말) 어리눅다

조회 수 3232 추천 수 110 2008.12.01 22:03:30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고 했습니다.
가진 사람이 가진 티 안 내고 어려운 사람과 함께 나누고,
똑똑한 사람이 너무 잘난 체하지 않고 남의 말을 잘 들어주고,
얼굴과 마음이 모두 아름답지만 남 앞에서 너무 뽐내지 않는 게 좋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는 저녁에 일터 동료와 소주를 한잔했습니다. 오랜만에 함께한 자리였습니다.
어제도 느낀 거지만, 저는 복이 참 많습니다. 제 동료는 다들 겸손하고 착하거든요.
흙과 함께 사니 다들 이렇게 마음씨가 곱고 바르나 봅니다.

오늘은 겸손 이야기를 해 볼게요.
우리 선조는 나보다 남을 먼저 생각하는 겸양을 미덕으로 삼았습니다.
그래서 잘난척하고 으스대는 사람이 오히려 바보취급 당하기 일쑤였죠.

우리말에 '어리눅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일부러 어리석은 체하다."는 뜻입니다.
실은 잘났으면서도 짐짓 못난 체하는 것이죠.
제 동료가 다 그렇습니다.
살아 있는 풀과 나무를 다루고, 말 못하는 숨탄것과 같이 살다 보면 다 그렇게 되나 봅니다.
(숨탄것 : 숨을 받은 것이라는 뜻으로, 여러 가지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고 했습니다.
가진 사람이 가진 티 안 내고 어려운 사람과 함께 나누고,
똑똑한 사람이 너무 잘난 체하지 않고 남의 말을 잘 들어주고,
얼굴과 마음이 모두 아름답지만 남 앞에서 너무 뽐내지 않는 게 좋다고 봅니다.

아무리 제 잘난 맛에 산다고 하지만 스스로 자기가 잘났다고 으스대는 것은 어리석다고 봅니다.
사람은 때에 따라 어리눅게 움직이거나 말할 필요가 있지 싶습니다.
그렇다고 언제나 그러면 진짜로 어리석은 사람 취급받을 수 있으니 조심해야죠. ^^*


어제 중국에서 귀한 선물을 받았습니다.
중국에서 무역을 하고 계시는 분인데,
허리 보호대 100개를 보내셨네요.
이웃 어르신께 드리거나 우리말 편지에서 선물을 드릴 때 쓰라면서요.

그 선물을 나눠드리고자 내일 문제를 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한창/한참]

며칠 전에 모내기가 한창이라면서 벼농사 이야기를 보내드렸는데요.
오늘은 그때 쓴, '한창'과 '한참'을 구별해 볼게요.

'한창'은,
'어떤 일이 가장 활기 있고 왕성하게 일어나는 때. 또는 어떤 상태가 가장 무르익은 때.'를 말합니다.
'공사가 한창인 아파트, 요즘 앞산에는 진달래가 한창이다.'처럼 씁니다.
'한참'은,
'시간이 상당히 지나는 동안.'을 뜻합니다.
'한참 뒤, 한참 동안 기다리다, 그는 한참 말이 없었다.'처럼 씁니다.

이렇게 '한창'과 '한참'은 발음은 비슷해도 뜻은 전혀 다릅니다.

잘 구별해서 쓰셔야 합니다.

요즘 논에서는 모내기가 '한참이다'고 하면 안 되고, 모내기가 '한창이다'고 해야 합니다.

새로운 월요일입니다.
이번 주도 좋은 생각 많이 하시고,
좋은 일 많이 만드시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6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89
636 [2014/12/01] 우리말) 도 긴 개 긴 머니북 2014-12-01 3028
635 [2014/12/02] 우리말) 추켜세우다/치켜세우다 머니북 2014-12-02 2973
634 [2014/12/04] 우리말) 도 긴 개 긴/도찐개찐 머니북 2014-12-04 3126
633 [2014/12/05] 우리말) 도 긴 개 긴/도찐개찐(3) 머니북 2014-12-08 3459
632 [2014/12/08] 우리말) 기프트 카 머니북 2014-12-08 3037
631 [2014/12/09] 우리말) 씨밀레·아띠… 사전에도 없는 말 쓰는 공공기관 머니북 2014-12-09 3238
630 [2014/12/10] 우리말) 사전에도 없는 말 쓰는 공공기관, 댓글 머니북 2014-12-10 3797
629 [2014/12/11] 우리말) 군드러지다 머니북 2014-12-11 3044
628 [2014/12/12] 우리말) 놈팽이와 놈팡이 머니북 2014-12-12 2906
627 [2014/12/17] 우리말) 삐지다와 삐치다 머니북 2014-12-17 3699
626 [2014/12/18] 우리말) 2014년 표준어 추가 머니북 2014-12-18 3198
625 [2014/12/19] 우리말) 말뿌리 몇 가지 머니북 2014-12-19 3199
624 [2014/12/21] 우리말) 2014년에 읽은 책을 소개합니다. 머니북 2014-12-22 3377
623 [2014/12/22] 우리말) 빌리다와 빌다 머니북 2014-12-22 3115
622 [2014/12/23] 우리말) 수동형과 능동형 머니북 2014-12-23 3205
621 [2014/12/26] 우리말) 피로해소/원기회복 머니북 2014-12-29 3366
620 [2014/12/29] 우리말) 삐치다와 삐지다 머니북 2014-12-29 4140
619 [2014/12/30] 우리말) 소나기술과 벼락술 머니북 2014-12-30 3037
618 [2014/12/31] 우리말) 요즘 쓸 말 머니북 2014-12-31 2999
617 [2015/01/02] 우리말) 지루하다/지리하다 머니북 2015-01-02 3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