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02] 우리말) 냄비와 남비

조회 수 3522 추천 수 101 2008.12.02 09:37:09
사실 냄비는 순 우리말이 아닙니다.
노구솥 과(鍋) 자를 일본에서 なべ라 쓰고 [나베]라 읽습니다.
이 말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남비'로 바뀌어 표준말로 쓰였습니다.
그러다가 1988년 맞춤법 규정이 바뀌면서 '남비'를 버리고 '냄비'를 표준말로 삼았습니다.



안녕하세요.

때아닌 황사가 왔다고 합니다.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아침 뉴스에서 보니 최경주 선수는 무슨 골프대회에서 우승하고 언제나 그랬듯이 상금의 20%를 기부했다네요.
참 좋은 일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어제부터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이 시작되었죠?
올해는 구세군이 우리나라에 상륙한 지 100년 되는 해이며,
구세군 자선냄비가 등장한 지는 80년이라고 하네요.
1928년 구세군 냄비는 나무 막대기로 만든 지지대에 가마솥을 매단 것이었다고 합니다.
그 후 80년이 흐른 지금은 디지털 자선냄비까지 등장했습니다.
구세군 냄비에 교통카드를 대면 천 원씩 빠져나간다고 합니다.

요즘 다들 힘든 불경기지만
어려울 때일수록 자기보다 더 어려운 사람을 생각하는 마음을 갖고 살면 이 추위도 쉽게 견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실 냄비는 순 우리말이 아닙니다.
노구솥 과(鍋) 자를 일본에서 なべ라 쓰고 [나베]라 읽습니다.
이 말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남비'로 바뀌어 표준말로 쓰였습니다.
그러다가 1988년 맞춤법 규정이 바뀌면서 '남비'를 버리고 '냄비'를 표준말로 삼았습니다.
남비가 냄비로 된 것은 이모음역행동화인데요.
그런 보기를 보면
지팽이 -> 지팡이
정갱이 -> 정강이
곰팽이 -> 곰팡이
오래비 -> 오라비
아지랭이 -> 아지랑이
호랭이 -> 호랑이
에미 -> 어미
멕이다 -> 먹이다
쥑이다 -> 죽이다
괴기 -> 고기
따위입니다.
남비가 이모음역행동화로 냄비가 되었고 이 낱말이 표준말이지만,
지팽이, 정갱이 따위는 표준말이 아닙니다.
지팡이, 정강이 같은 게 맞습니다.

남과 나누자는 것을 남들에게 말할 게 아니라,
저부터 이번 주말에 애들 손잡고 빨간 자선냄비에 작은 마음을 나누겠습니다.

모두 어렵고 힘들지만
자선냄비 모금액수는 불경기를 타지 않기를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갈피표가 되돌아온 게 있네요.
경기도 과천시 별양동 주공아파트 701동   안 아무개 님
충북 청주시 흥덕구 비하동 계룡리슈빌 102동 백 아무개 님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께끼다]

어젯밤에 축구 보셨어요?
참으로 멋진 한편의 드라마였습니다.
역시 히딩크 감독입니다.

덕분에, 아니 그 핑계로 어제 오랜만에 노래방에까지 갔습니다.
저는 노래방에 가면,
엽전 열닷 냥, 고향무정, 흙에 살리라...뭐 이런 노래만 부릅니다.
제가 아는 노래가 그거밖에 없어서...
노래 부르는 저야 신이 나서 부르지만,
듣는 사람들은 좀 짜증 나겠죠.

급기야 어제는,
친구가 '어머나'를 선택해 놓고 저더러 무조건 그 노래를 하라더군요.
괜히 남들 기분 망치지 말고 이 노래하라면서...

'알았어, 그럼 이 노래를 부를 테니까 좀 께껴줘, 알았지?'
'뭐라고?'
'내가 잘 모르면 좀 거들어주라고...'

'께끼다'는 말 아세요?
국어사전에 보면 세 가지 뜻이 나옵니다.
1. 방아질이나 절구질을 할 때, 확의 가장자리로 올라오는 낟알 따위를 안으로 밀어 넣다.
2. 노래나 말 따위를 옆에서 거들어 잘 어울리게 하다.
3. 모르는 것을 옆에서 거들어 대어 주다.

제가 노래방에서,
'좀 께껴줘'라고 말한 것은,
'내가 이 노래를 잘 모르니 옆에서 좀 거들어주라'는 뜻입니다.

'남이 하는 일을 함께 하면서 돕다'는 뜻의 '거들다'도 좋은 우리말이지만,
'께끼다'도 그에 못지않은 좋은 우리말입니다.
가끔 써보세요.

참, 어제 부른 '어머나' 점수가 98점이었습니다.

오늘은 어디 가서 축구경기를 봐야 하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7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95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760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784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811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829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839
2671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854
2670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857
2669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867
2668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872
2667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876
2666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881
2665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885
2664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890
2663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895
2662 [2015/01/06] 우리말) 개개다와 개기다 머니북 2015-01-06 2898
2661 [2009/0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09 2901
2660 [2015/08/04] 우리말) 그러거나 말거나 머니북 2015-08-04 2904
2659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905
2658 [2016/07/04] 우리말) 욱여넣다 머니북 2016-07-06 2906
2657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