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03] 우리말) 찾다와 뒤지다

조회 수 3307 추천 수 73 2008.12.04 09:39:06
'뒤지다'는
"책 따위를 한 장씩 들추어 넘기거나 한 권씩 살피다."는 뜻입니다.
가방을 뒤지다, 형사들이 집 안을 샅샅이 뒤지다, 동네방네를 이 잡듯이 뒤지다처럼 씁니다.

'찾다'는
"현재 주변에 없는 것을 얻거나 사람을 만나려고 여기저기를 뒤지거나 살피다."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7:29, KBS2 자막에
'계약을 해지 할 수...'라는 게 나왔습니다.
일부 이름씨(명사) 뒤에 붙어 움직씨(동사)를 만드는 뒷가지(접미사) '하다'는 앞말과 붙여 씁니다.
공부하다, 생각하다, 사랑하다처럼 써야 바릅니다.
'계약을 해지할 수...'라고 써야 합니다.
작은 실수겠죠? ^^*

어제는 오랜만에 영어 사전을 좀 뒤적였습니다.
미국에서 500만 개의 일자리를 만드는 기술에 대한 보고서로
일주일쯤 전에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자에게 보고되었다는 보고서입니다.
일자리를 만드는 기술로 5가지를 꼽았는데 그 가운데 두 가지가 제 일터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어서
그 내용을 좀 번역하려고 했습니다.
오랜만에 영어 사전을 보니 기분이 새롭더군요. ^^*

흔히,
뭔가 모르는 낱말이 나오면 사전을 찾아보라고 합니다.
저는 우리말 편지에서 가끔 '찾아보다'라고 안 하고' 뒤져보다'라고 합니다.
어떤 낱말의 뜻을 알고자 사전에 오른 낱말의 뜻을 살펴보는 것이 '뒤지다'일까요 '찾다'일까요?

오늘은 뒤지다와 찾다를 갈라볼게요.
'뒤지다'는
"책 따위를 한 장씩 들추어 넘기거나 한 권씩 살피다."는 뜻입니다.
가방을 뒤지다, 형사들이 집 안을 샅샅이 뒤지다, 동네방네를 이 잡듯이 뒤지다처럼 씁니다.

'찾다'는
"현재 주변에 없는 것을 얻거나 사람을 만나려고 여기저기를 뒤지거나 살피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사전을 찾는다'고 하면
사전이 가방 속에 있는지 책상 위에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고,
'사전을 뒤진다'고 하면
사전 안에 있는 '나눔'이라는 낱말이 어디에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입니다.

그러니 모르는 낱말이 나오면 '사전을 뒤진다'고 해야 맞습니다.
그렇죠? ^^*

실은 20년 전까지는 그랬습니다.
1988년 국립국어원에서 표준국어대사전을 만들면서
'찾다'의 풀이에
"모르는 것을 알아내려고 책 따위를 뒤지거나 컴퓨터를 검색하다."는 뜻을 더 넣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모르는 낱말의 뜻을 알고자 사전을 살피는 것을 두고,
사전을 뒤진다고 해도 맞고 사전을 찾는다고 해도 맞습니다.

우리말에 멋진 낱말이 참 많습니다.
(집안 어디엔가 있을)사전을 '찾아' 멋진 낱말을 '찾거나' '뒤져'보면 어떨까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이대일 >> 이 대 일]

짜릿한 역전승 보셨죠?
참 멋진 경기였습니다.

요즘 국민의 모든 신경이 월드컵 경기에 가 있는 것 같습니다.
부화뇌동(附和雷同)하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이번 기회에 경기와 관련 있는 우리말이나 맞춤법을 소개하는 것도 뜻깊은 일인 것 같아,
월드컵 기간에는 그런 우리말이나 맞춤법을 중심으로 우리말편지를 쓸게요.

다음 경기도 '이대일'로 이기길 빌면서,
오늘은 '이대일'의 띄어쓰기를 알아볼게요.

여기에 쓰인 '대'는,
대할 대(對), 또는 상대 대 자로,
'사물과 사물의 대비나 대립을 나타내는 말'을 뜻합니다.
민주주의 대 공산주의, 개인 대 개인, 지상 대 공중, 청군 대 백군처럼 앞 낱말과 띄어 씁니다.

따라서,
이대일도,
'이 대 일'로 띄어 써야 합니다.

다음 경기도,
이 대 일로 이기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19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792
1256 [2014/01/06] 우리말) 원체 머니북 2014-01-06 3514
1255 [2017/01/09] 우리말) 멀찍이와 가직이 머니북 2017-01-09 3514
1254 [2017/01/13] 우리말) 옥의 티 머니북 2017-01-13 3514
1253 [2007/05/30] 우리말) 세리머니가 아니라 뒤풀이입니다 id: moneyplan 2007-05-30 3515
1252 [2016/11/01] 우리말) 우렁잇속 머니북 2016-11-01 3515
1251 [2007/05/01] 우리말) 두남두다 id: moneyplan 2007-05-02 3516
1250 [2007/08/14] 우리말) '벼리'와 비슷한 뜻의 낱말 id: moneyplan 2007-08-14 3516
1249 [2008/02/11] 우리말) 조문기 선생님의 빈소 id: moneyplan 2008-02-11 3516
1248 [2010/02/26] 우리말) 헝겁과 헝겊 id: moneyplan 2010-02-26 3516
1247 [2017/08/11]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 머니북 2017-08-16 3516
1246 [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id: moneyplan 2007-09-27 3517
1245 [2008/12/01] 우리말) 알심 id: moneyplan 2008-12-01 3517
1244 [2013/01/29] 우리말) 왔다리갔다리 머니북 2013-01-29 3517
1243 [2017/03/07] 우리말) 혹은과 또는 머니북 2017-03-08 3517
1242 [2007/07/30] 우리말) 담백한 게 아니라 깔끔한 것 입니다 id: moneyplan 2007-07-31 3518
1241 [2009/09/28] 우리말) 주말에 본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9-28 3518
1240 [2013/05/24] 우리말) 서식과 자생 머니북 2013-05-24 3518
1239 [2016/02/12] 우리말) 어제그저께 머니북 2016-02-12 3518
1238 [2009/06/04] 우리말) 피로야 제발 가라... id: moneyplan 2009-06-04 3519
1237 [2010/11/23] 우리말) 골덴과 코르텐 moneybook 2010-11-23 3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