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17] 우리말) 땅보탬

조회 수 3408 추천 수 187 2008.12.17 09:05:06
우리말에 '땅보탬'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사람이 죽어서 땅에 묻힘을 이르는 말입니다.
어찌 보면 죽음마저도 자연과 하나 되는 것으로 보는 우리 조상의 생각이 담긴 멋진 말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편지가 돌아온 게 또 있네요.
中浙江省市端...
Little Texas In. Apt 000 Austin

둘 다 국제우편이네요.
이렇게 우편물이 돌아오면 돈 낭비이기도 하지만 저도 힘이 빠집니다.
국내우편도 가끔 되돌아옵니다.
이왕이면 주소를 정확히 써 주시고,
우편번호까지 써 주시면 이런 일이 없을텐데...
주소 쓰는 연습을 해 보시라고 내일 아침에 문제를 내겠습니다. ^^*


지난 주말에 어머니가 올라오셨습니다.
오랜만에 오셨는데,
누나 집에서 하루, 저희 집에서 딱 이틀 주무시고 어제 아침에 해남으로 가셨습니다.
손자 재롱 보시면서 좀더 계시라고 해도 막무가내십니다.
제가 불편하게 해 드린 것 같지도 않은데, 그저 가시겠답니다.

"내가 땅보탬하기 전에는 내 힘으로 고향을 지키겠다"라는 게 어머니 뜻입니다.
뭐라 말릴 수 없네요.
그저 제가 자주 찾아뵙는 거 밖에는...

우리말에 '땅보탬'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사람이 죽어서 땅에 묻힘을 이르는 말입니다.
어찌 보면 죽음마저도 자연과 하나 되는 것으로 보는 우리 조상의 생각이 담긴 멋진 말 같습니다.

꼭 땅에 직접 묻는 것만 땅보탬으로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화장하는 것도 넓은 뜻으로 보면 땡보탬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차피 죽으면 흙으로 돌아가는 것이니 이 또한 땅보탬이죠.

저도 땅보탬하기 전에 열심히 살고, 열심히 나누고, 열심히 사랑하도록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스위스 넘어 16강으로...]

내일 새벽이죠?
우리가 열심히 응원해서,
스위스를 넘어 16강으로 가야죠?
우리나라 국가대표 선수들이 스위스를 꺾고 16강에 안착하길 빌며,
오늘도 월드컵 기념 우리말편지를 보내드립니다.

'스위스를 넘어 16강으로...'할 때,
'넘어'가 맞을까요, '너머'가 맞을까요?

'너머'와 '넘어'는 발음이 같고 뜻도 비슷해 헷갈릴 수 있는데요.
간단히 가르는 방법이 있습니다.

'넘어'는 '넘다'라는 동사에서 온 것입니다.
일정한 수치에서 벗어나 지나다, 높은 부분의 위를 지나가다,
경계를 건너 지나다, 일정한 기준, 정도 따위를 벗어나 지나다는 뜻이 있죠.
적군은 천 명이 훨씬 넘었다, 산을 넘다, 그의 노래 실력은 아마추어 수준을 넘지 못한다처럼 씁니다.

그러나
'너머'는,
"높이나 경계로 가로막은 사물의 저쪽. 또는 그 공간."을 뜻하는 명사로,
공간적인 위치를 나타냅니다.
고개 너머, 산 너머처럼 쓰이죠.

정리하면,
'넘어'는 '넘다'라는 동사의 '-아/어'형 어미가 연결된 것으로 품사는 동사이고,
'너머'는 명사로 공간적인 위치를 나타냅니다.

우리는 스위스를 넘어 16강으로 갑니다.

대~한민국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93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517
1416 [2007/09/10] 우리말) 파란하늘 id: moneyplan 2007-09-10 3457
1415 [2016/12/15] 우리말) 혼밥, 혼술, 혼영, 혼말? 머니북 2016-12-19 3456
1414 [2015/06/24] 우리말) 마음속/맘속 머니북 2015-06-25 3456
1413 [2012/01/18] 우리말) 설빔과 세뱃돈 머니북 2012-01-18 3456
1412 [2008/12/12] 우리말) 거북하다와 보깨다 id: moneyplan 2008-12-12 3456
1411 [2015/05/04] 우리말) '집안'과 '집 안' 머니북 2015-05-04 3455
1410 [2008/07/22] 우리말) 나지막하다 id: moneyplan 2008-07-22 3455
1409 [2008/04/29] 우리말) 맑다와 곱다 id: moneyplan 2008-04-29 3455
1408 [2011/05/16] 우리말) 내로라하는 가수 moneybook 2011-05-16 3454
1407 [2010/03/15] 우리말) 세단기와 세절기 id: moneyplan 2010-03-15 3454
1406 [2014/05/28] 우리말) 그을리다와 그슬리다(2) 머니북 2014-05-28 3453
1405 [2011/01/28] 우리말) 행안부와 까도남의 다른점 moneybook 2011-01-28 3453
1404 [2017/02/22] 우리말) 역시 머니북 2017-02-22 3452
1403 [2014/11/21] 우리말) 발밭다 머니북 2014-11-21 3452
1402 [2015/02/16] 우리말) 새털과 쇠털 머니북 2015-02-16 3451
1401 [2007/09/03] 우리말) 선글라스 맨 id: moneyplan 2007-09-03 3451
1400 [2010/02/26] 우리말) 헝겁과 헝겊 id: moneyplan 2010-02-26 3450
1399 [2009/01/19]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1-19 3450
1398 [2007/10/18]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id: moneyplan 2007-10-18 3450
1397 [2013/11/05] 우리말) 동거동락 머니북 2013-11-06 3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