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22] 우리말) 마음고름

조회 수 3504 추천 수 132 2008.12.22 08:57:23
우리말에 '마음고름'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고름은 '옷고름'의 준말입니다.
고름이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깃 끝과 그 맞은편에 하나씩 달아 양편 옷깃을 여밀 수 있도록 한 헝겊 끈을 뜻하므로
마음고름은 마음을 단단히 여미고 다잡는 것을 뜻할 겁니다.
사전에 보면 "마음속을 드러내지 않으려고 단단히 매어 둔 다짐"이라고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오랜 옛 동료를 만나 오구탕치며 재밌게 놀았습니다. ^^*

오늘 아침 7:12, KBS2에서
'다른 아기랑 조금 틀려요.'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아직도 '다르다'와 '틀리다'를 가르지 못하는 방송사... 어떻게 봐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7:47, KBS1, 뉴스 영상에서는 '일몰'이라는 제목으로 영상을 보여주더군요.
'해넘이'를 두고 굳이 일몰을 고집한 까닭을 모르겠습니다.

아침에 길이 얼어있어 운전하기가 무척 어려웠습니다.
제가 쓰는 우리말 편지도 빙판길 운전만큼 조심스럽습니다.
편지에 잘못이 있으면 제 개인이 잘못한 것입니다.
이것을 굳이 제 일터와 연관시켜 농촌진흥청에서 일하는 사람이 저따위 생각을 하고 있다고 보시면 안 됩니다.

지난 주말에 노무현 전 대통령이 저와 사진을 찍어주셔야 한다는 편지를 보냈는데 반응이 무척 다양했습니다.
저는 우리말 편지에서 되도록 정치이야기와 종교 이야기는 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지난 토요일에 보낸 편지는 정치이야기는 아니라고 생각해서 보냈는데...
댓글 가운데는 앞으로 편지를 받지 않겠다며 수신거부 하신다는 분도 계시고, 처음으로 편지를 휴지통에 바로 집어 넣어버렸다는 분도 계시네요.

거듭 말씀드리지만 저는 어떤 정치적인 뜻이나 생각이 있어서 노무현 대통령 생가 이야기를 한 게 아닙니다.
단지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인 미터 이야기를 했을 뿐입니다.

우리말에 '마음고름'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고름은 '옷고름'의 준말입니다.
고름이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깃 끝과 그 맞은편에 하나씩 달아 양편 옷깃을 여밀 수 있도록 한 헝겊 끈을 뜻하므로
마음고름은 마음을 단단히 여미고 다잡는 것을 뜻할 겁니다.
사전에 보면 "마음속을 드러내지 않으려고 단단히 매어 둔 다짐"이라고 나옵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 보면 이 낱말이 나와 있지 않고
'표준'이 아닌 네이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나옵니다.
고운 우리말을 실은 사전을 표준으로 봐야 할지 싣지 않은 사전을 표준으로 봐야 할지는 모르겠습니다.

지난 주말에 보낸 편지의 댓글을 보고
우리말편지에서 정치 이야기나 종교 이야기로 오해받을만한 글을 쓰지 않아야겠다는 마음고름을 다시 해 봅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심판에게 야로가 있었을까요?]

아직도 분이 안 풀리네요.
스위스전 때 심판이 오프사이드 판정을 내리지 않은 것은 분명 잘못된 겁니다.
FIFA 규정을 봐도 그렇고...

이건 뭔가 야로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고서야 국제심판이라는 사람이 어찌 그런...
아무리 자질이 딸리기로서니...

다른 경기에서는 그따위 짓거리 하지 말길 길며,
그 심판에게 연민의 정을 담아 오늘 편지를 씁니다.

"남에게 드러내지 아니하고 우물쭈물하는 속셈이나 수작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 '야로'입니다.
이 일에는 무슨 야로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처럼 씁니다.

이 낱말은 일본어 냄새가 물씬 풍기죠?
やろ[야로]에서 온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러나 이 '야로'는 우리말입니다.
일부 사전에서 속어로 처리했지만,
속어로 보건 안보건, 뜻이 속되건 아니건 간에,
일본어와는 전혀 상관없는 아름다운 우리말입니다.

스위스전 때 심판에게 정말 야로가 있었을까요?

우리말123
  

우리말 편지를 누리집에 올리시는 분입니다.

자주 드리는 말씀이지만,
제가 보내드리는 우리말 편지는 여기저기 누리집에 맘껏 올리셔도 됩니다.
더 좋게 깁고 보태서 쓰셔도 되고, 여러분이 쓰신 글이라며 다른데 돌리셔도 됩니다.
맘껏 쓰세요. ^^*

아래는
꾸준히 우리말편지를 누리집에 올리고 계시는 곳입니다.
이런 누리집이 더 있다면 알려주십시오.
여기에 주소를 넣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전국 국어 운동 대학생 동문회
http://www.hanmal.pe.kr/bbs/zboard.php?id=ulimal

우물 안 개구리
http://blog.joins.com/media/index.asp?uid=jtbogbog&folder=36

구산거사
http://blog.daum.net/wboss

서울요산산악회
http://cafe.daum.net/yosanclimb

도르메세상
http://blog.daum.net/dorme47

함께 걸어가는 세상
http://blog.naver.com/uninote1

머니플랜 가계부
http://www.webprp.com/bbs/zboard.php?id=urimal123

푸른초장,쉴만한물가"
http://cafe.daum.net/A-J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7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615
1036 [2010/07/13] 우리말) 족집게 moneybook 2010-07-13 3808
1035 [2010/07/12] 우리말) 진검승부와 자매결연 [1] moneybook 2010-07-12 3275
1034 [2010/07/09] 우리말) 틀린 낱말 몇 개 moneybook 2010-07-09 2955
1033 [2010/07/08] 우리말) 처서가 아니라 소서 moneybook 2010-07-08 3136
1032 [2010/07/07] 우리말) 얼굴2 moneybook 2010-07-07 3852
1031 [2010/07/06] 우리말) 얼굴 moneybook 2010-07-06 2999
1030 [2010/07/05] 우리말) 무척 덥다 moneybook 2010-07-05 3330
1029 [2010/07/02] 우리말) 굴지와 불과 moneybook 2010-07-02 3285
1028 [2010/07/01] 우리말) 아침 뉴스를 보면서... moneybook 2010-07-01 4200
1027 [2010/06/30] 우리말) 안과 밖 moneybook 2010-06-30 3834
1026 [2010/06/29] 우리말) 큰소리와 큰 소리 moneybook 2010-06-29 3960
1025 [2010/06/25] 우리말) 잊힌 전쟁과 잊혀진 전쟁 moneybook 2010-06-25 3529
1024 [2010/06/24] 우리말) 한켠과 한편 moneybook 2010-06-24 3150
1023 [2010/06/23] 우리말) 도가니 moneybook 2010-06-23 3344
1022 [2010/06/22] 우리말) 차두리와 덧두리 moneybook 2010-06-22 3143
1021 [2010/06/21] 우리말) 물은 셀프 moneybook 2010-06-21 2961
1020 [2010/06/18] 우리말) 승리욕과 승부욕 moneybook 2010-06-18 3313
1019 [2010/06/17] 우리말) 승패와 성패 moneybook 2010-06-17 4042
1018 [2010/06/16] 우리말) 허점과 헛점 moneybook 2010-06-16 3519
1017 [2010/06/16] 우리말) 16강은 떼 논 당상 moneybook 2010-06-16 3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