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30] 우리말) 보다 빠르게...

조회 수 4964 추천 수 177 2008.12.30 09:25:07
이렇게 '보다'를 토씨로도 쓸 수 있고 부사로도 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다 빠른 주차'라고 써도 됩니다.
문법만 따지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편지에 있는 '보다 빠른 주차...'를 보시고 댓글을 다신 분이 많으시네요.
오늘은 '보다'를 볼게요. ^^*

먼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보면
어찌씨(부사)로 "어떤 수준에 비하여 한층 더"라는 뜻을 달고
보다 높게, 보다 빠르게 뛰다를 보기로 들었습니다.
토씨(조사)로는
서로 차이가 있는 것을 비교하는 경우, 비교의 대상이 되는 말에 붙어 '-에 비해서'의 뜻을 나타내는 격 조사라고 풀고
내가 너보다 크다, 그는 누구보다도 걸음이 빠르다를 보기로 들었습니다.

민중서림에서 나온 국어사전을 보면
어찌씨로는 "한층 더"라 풀고 보다 나은 생활,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을 보기로 들었습니다.
토씨로는 체언 뒤에 붙어서 둘을 비교할 때 쓰는 부사격 조사라 풀고 작년보다 훨씬 춥다, 보기보다 어렵다를 보기로 들었습니다.

그러나 한글학회에서 만든 우리말큰사전에 보면
'보다'를 토씨로만 풀었습니다.

이렇게 '보다'를 토씨로도 쓸 수 있고 부사로도 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다 빠른 주차'라고 써도 됩니다.
문법만 따지면 맞습니다.

문제는 어찌씨로 쓰는 쓰임이 우리말법이 아니라는 겁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보다'가 일본말 より와 영어 'more' 번역하면서 생긴 것으로 봅니다.
우리말 '보다'는 두 가지를 서로 견주는 데 쓰는 토씨이지 '더'를 뜻하는 어찌씨가 아니었는데
일본말과 영어의 영향으로 어찌씨로도 쓰인다는 겁니다.
저도 그렇게 봅니다.
인터넷 일본어 사전을 보니 より를 토씨로만 쓰고 있네요.

학교 다닐 때 보다 빠르게, 보다 높게, 보다 힘차게를 배우셨죠? 올림픽 때마다 들었던 말이고 책에도 나왔습니다.
그 말은 라틴어로 'Citius, Altius, Fortius'이고 영어로는 'Swifter, Higher, Stronger'입니다.
이를 누군가 '보다 빠르게, 보다 높게, 보다 힘차게'로 번역했습니다.
더 빠르게, 더 높게, 더 힘차게라고 번역하면 될 것을 '더'를 쓰지 않고 '보다'를 쓴 겁니다.
이런 잘못된 번역이 다른 사람들의 '말버릇'를 바꿔버립니다.
그러다 보니 지금은 '보다'를 어찌씨로 쓰는 게 사전에 까지 올라있습니다.

'보다'를 어찌씨로 쓰는 게 바른가요?
어찌씨로 쓰는 게 우리말의 쓰임을 키웠다고 볼 수도 있나요?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 입니다.






[야식 >> 밤참]

비가 많이 옵니다. 건강조심하세요.

이제 월드컵 광풍이 거의 끝나가네요. 빨리 제자리로 돌아와야 할텐데...
그사이 밤새 축구 경기를 보는 사람이 많아,
덩달아 야식도 많이 팔렸다죠?

오늘은 '야식' 이야기입니다.

몸에 좋지도 않은 이 야식은,
우리말이 아닙니다.
夜食, やしょく[야쇽]이라는 일본말에서 왔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밤참'으로 바꾼 지 옛날입니다.

축구 경기 보면서 출출할 때는,
야식 드시지 마시고,
밤참 드세요.
그게 바로 주전부리하시는 겁니다.
드실 때 뱃살도 좀 걱정하시고요.

오늘 우리말편지는 간단해서 좋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8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10
256 [2007/06/26] 우리말) 판사는 ㄷㄹ지고 ㄷㄸ야합니다 id: moneyplan 2007-06-26 3406
255 [2007/06/25] 우리말) 제 아들이 ㄴㄱ네요 id: moneyplan 2007-06-25 3741
254 [2007/06/24] 우리말) 놀금 id: moneyplan 2007-06-25 3466
253 [2007/06/22] 우리말) 넘지 말아야 할 금도? id: moneyplan 2007-06-22 3665
252 [2007/06/21] 우리말) '몽골어'와 '몽골 어' id: moneyplan 2007-06-21 3846
251 [2007/06/20] 우리말) 벼룩시장 id: moneyplan 2007-06-20 3478
250 [2007/06/19] 우리말) 가족과 식구 id: moneyplan 2007-06-19 4127
249 [2007/06/19] 우리말) 다대기가 아니라 다지기입니다 id: moneyplan 2007-06-19 3712
248 [2007/06/18] 우리말) 맏과 맏이 id: moneyplan 2007-06-18 3480
247 [2007/06/14] 우리말) 담합이 아니라 짬짜미 id: moneyplan 2007-06-15 3588
246 [2007/06/14] 우리말) 암돼지가 아니라 암퇘지입니다 id: moneyplan 2007-06-14 3541
245 [2007/06/13] 우리말) 기일 엄수가 아니라 날짜를 꼭 지키는 겁니다 id: moneyplan 2007-06-14 3444
244 [2007/06/12] 우리말) 산통을 깨다 id: moneyplan 2007-06-12 3749
243 [2007/06/11] 우리말) 오늘은 수수께끼가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6-11 3596
242 [2007/06/08] 우리말) 버벅거리다 id: moneyplan 2007-06-08 3454
241 [2007/06/07] 우리말) 함박꽃 id: moneyplan 2007-06-07 3572
240 [2007/06/05] 우리말) 최대값과 최댓값 id: moneyplan 2007-06-05 3414
239 [2007/06/04] 우리말) 간인과 사잇도장 id: moneyplan 2007-06-04 4087
238 [2007/06/01] 우리말) 쌩얼과 민낯 id: moneyplan 2007-06-01 3383
237 [2007/06/01] 우리말) 맹세와 다짐 id: moneyplan 2007-06-01 3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