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06] 우리말) 올해와 올여름

조회 수 3443 추천 수 85 2009.01.06 15:49:26
쉽게 갈라서,
'올해'을 뜻하는 '올'은 다른 낱말과 함께 쓰면 띄어 쓰지만,
계절과 붙으면 붙여 씁니다.


안녕하세요.

어젯밤에는 오랜만에 운동을 했습니다.
땀을 빼고 목운동을 하니 더 잘 넘어가더군요. ^^*

어제 올겨울 이야기했는데 내친김에 하나 더 짚고 갈게요.

'올해'는 "지금 지나가고 있는 이 해"를 뜻합니다. 줄임말은 '올'입니다.
이 '올'이 계절과 붙으면 한 낱말이 됩니다.
올봄, 올여름, 올가을, 올겨울은 한 낱말로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그러나
올 크리스마스에 만나자나, 올 연말에는 송년회를 좀 줄이자처럼
다른 낱말에 붙으면 한 낱말이 아니므로 띄어 써야 합니다.

쉽게 갈라서,
'올해'을 뜻하는 '올'은 다른 낱말과 함께 쓰면 띄어 쓰지만,
계절과 붙으면 붙여 씁니다.

'올'에는 앞가지(접두사)로 "빨리 자란"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제철보다 일찍 여무는 밤이 '올밤'이고,
제철보다 일찍 여무는 콩이 '올콩'이며,
제철보다 일찍 여무는 벼가 '올벼'입니다.
제철보다 일찍 되는 감자는 당연히 '올감자'입니다.
우리 옆에는 우리가 모르는 이런 좋은 낱말이 참 많습니다.

올해는 여러분 모두에게 좋은 일이 많이 일어나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 입니다.






[세간살이 =>> 세간/살림/살림살이]

비가 많이 오네요.
아무쪼록 큰 피해가 없기를 빕니다.

텔레비전에 이번 비로 세간이 많이 상한 집이 나오네요.
하나같이 손때 묻은 살림살이일텐데...

오늘은,
그런 아까운 살림살이를 생각하면서 글을 씁니다.

흔히,
"집안 살림에 쓰는 온갖 물건"을 두고,
'세간살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틀린 겁니다.
그것은 '세간'이나 '세간붙이'라고 해야 합니다.

이와 비슷한 '살림'은,
"한집안을 이루어 살아가는 일"이라는 뜻도 있지만,
"집 안에서 주로 쓰는 세간"이라는 뜻도 있어,
살림이 늘어나다, 살림을 장만하다처럼 쓸 수 있습니다.

'살림살이'는,
"살림을 차려서 사는 일"인데,
여기에도,
"숟가락, 밥그릇, 이불 따위의 살림에 쓰는 세간"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부엌 살림살이, 그 사이에 살림살이가 많이 늘어났구나처럼 쓰죠.

정리하면,
집안 살림에 쓰는 물건은,
세간, 살림, 살림살이라고 하나,
'세간살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아무쪼록,
이번 비에,
못쓰게 되는 세간이나 살림이 없기를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29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829
1976 [2014/08/08] 우리말) 딸따니 머니북 2014-08-11 6093
1975 [2014/08/07] 우리말) 해까닥과 회까닥 머니북 2014-08-11 3728
1974 [2014/08/06] 우리말) 호치키스와 마사무네 머니북 2014-08-06 4414
1973 [2014/07/31] 우리말) 비게질 머니북 2014-07-31 3326
1972 [2014/07/30] 우리말) 발맘발맘 머니북 2014-07-30 4521
1971 [2014/07/29] 우리말) 안전하지 않은 안전사고 머니북 2014-07-29 3388
1970 [2014/07/29] 우리말) 맨드리 머니북 2014-07-29 3354
1969 [2014/07/28] 우리말) 일찍이 머니북 2014-07-28 3463
1968 [2014/07/25] 우리말) 안전하지 않은 안전사고 머니북 2014-07-25 3191
1967 [2014/07/24] 우리말) 사투리와 표준말 머니북 2014-07-25 3516
1966 [2014/07/23] 우리말) 무등/목마/목말 머니북 2014-07-23 3562
1965 [2014/07/21] 우리말) 누가 '전기세'를 걷나? 머니북 2014-07-21 4388
1964 [2014/07/18] 우리말) 즈런즈런 머니북 2014-07-18 3017
1963 [2014/07/17] 우리말) 까대기 머니북 2014-07-17 3631
1962 [2014/07/16] 우리말) 담/담장 머니북 2014-07-16 3349
1961 [2014/07/15] 우리말) 강담/죽담 머니북 2014-07-15 3162
1960 [2014/07/14] 우리말) 날떠퀴 머니북 2014-07-14 3308
1959 [2014/07/09] 우리말) 새집 머니북 2014-07-09 2957
1958 [2014/07/08] 우리말) 너더댓새 머니북 2014-07-08 2957
1957 [2014/07/07] 우리말) 사리 머니북 2014-07-07 3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