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2/27] 우리말) 일자리 나누기와 잡 셰어링

조회 수 3137 추천 수 79 2009.02.27 14:12:46
일자리를 나누는 것을 두고 왜 잡 셰어링이라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좋게 '일자리 나누기'하면 되지 않나 싶습니다.
제가 전과(?)가 있어 말하기가 무척 조심스럽네요.
어쨌든,
잡 셰어링보다는 일자리 나누기가 훨씬 좋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편지에 쓴 '한잔'과 '한 잔'의 다른 점을 물어오신 분이 많으시네요.
'한 잔'은 글자 그대로 딱 한 잔이고,
'한잔'은 간단하게 마시는 술입니다.
띄어쓰기에 따라 그 뜻이 달라집니다.

요즘 일자리가 하늘의 별따기처럼 어렵다고 합니다.
그래서 서로 조금씩 양보해서 일자리를 나누자는 운동이 일고 있네요.
저는 개인적으로 찬성합니다.
나는 조금 나눠주는 것이지만,
이것을 모아서 받는 사람은 큰 선물일 수 있잖아요.

문제는,
일자리를 나누는 것을 두고 왜 잡 셰어링이라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좋게 '일자리 나누기'하면 되지 않나 싶습니다.
제가 전과(?)가 있어 말하기가 무척 조심스럽네요.
어쨌든,
잡 셰어링보다는 일자리 나누기가 훨씬 좋다고 봅니다.

언제부턴가 서울에서 'Hi Seoul'을 들고나오니까
부산은 Dynamic Busan을 들고 나오고,
수원은 Happy Suwon을 들고나왔습니다.
안산은 Bravo Ansan이라고 합니다.

우리는 왜 이리 영어를 좋아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제는 동사무소를 주민센터로까지 바꿨습니다.
이건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이런 것을 바로잡고자 힘쓰는 사람들이 모인 단체가 한글문화연대입니다.
http://www.urimal.org 에 한번 들러보세요.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1. job sharing이라는 낱말이 외국에서 쓰이는지는 모르겠습니다.
2. '직업 공유'라고 안 해서 천만다행입니다. '일자리 나눔'이 참 좋습니다.
3. sharing은 share에서 왔습니다. share라는 낱말을 보면 저는 쟁기의 '보습'이 떠오릅니다. 제가 농사꾼이잖아요.
4. 외래어표기법 영어의 표기 제1절제3항에
어말의 [ ](s를 위아래로 길게 늘여놓은 것처럼 보이는 것)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 ]]는 '슈'로, 모음 앞의 [ ]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고 나와 있습니다.
따라서 sharing 은 [쉐어링]이나 [세어링]이 아니라 [셰어링]이 맞습니다.


  

지난 편지 댓글에서 함께하고 싶은 글을 골라 여기에 옮깁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 입니다.


[휭하니 ==>> 힁허케]

어젯밤에 한 축구 보셨나요?
시원한 경기였습니다.
특히 전반 3분쯤에 설기현 선수가 쏜살같이 힁허케 달려가 넣은 골이 참 멋있었습니다.

배구나 축구 따위의 공을 다루는 경기에서,
지체함이 없이 재빠른 동작으로 공격함. 또는 그런 공격을 '속공'이라고 합니다.

속공할 때는 공을 몰고 쏜살같이 달려가죠?
"중도에서 지체하지 아니하고 곧장 빠르게 가는 모양."을 뜻하는 우리말이 '힁허케'입니다.
한눈팔지 말고 힁허케 다녀오너라처럼 쓰죠.

이 낱말을
'휭하니'로 알고 계시는 분이 많습니다.
휭하니 밖으로 나가버렸다, 휭하니 다녀오거라...

그러나 이 휭하니는 '힁허케'를 잘못 쓰고 있는 겁니다.
힁허케 밖으로 나가버렸다, 힁허케 다녀오거라처럼 쓰셔야 합니다.
어젯밤에 설기현 선수가 힁허케 달려들어 첫 골을 넣은 거죠.

다음 경기에서도 우리 선수가 공을 잡자마자 상대편을 향해 힁허케 달려가 멋진 골을 넣길 빕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52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115
716 [2009/03/24] 우리말) 나라비 id: moneyplan 2009-03-24 2955
715 [2009/03/23] 우리말) 와이셔츠 id: moneyplan 2009-03-23 3485
714 [2009/03/20] 우리말) 칠 대 일 id: moneyplan 2009-03-23 3241
713 [2009/03/19] 우리말) 현안 문제 id: moneyplan 2009-03-19 3045
712 [2009/03/18] 우리말) 사람 소개하는 방법 id: moneyplan 2009-03-18 3037
711 [2009/03/17] 우리말) 우연하다와 우연찮다 id: moneyplan 2009-03-17 2999
710 [2009/03/16] 우리말) 주야장천 id: moneyplan 2009-03-16 3046
709 [2009/03/13] 우리말) skinship 정의 id: moneyplan 2009-03-13 3256
708 [2009/03/12] 우리말) 시쁘다와 시뻐하다 id: moneyplan 2009-03-12 3554
707 [2009/03/11] 우리말) 노란자와 노른자 id: moneyplan 2009-03-11 3762
706 [2009/03/10] 우리말) 스킨십도 외래어? id: moneyplan 2009-03-10 2999
705 [2009/03/09] 우리말) 낯익다와 귀 익다 id: moneyplan 2009-03-09 3112
704 [2009/03/07] 우리말) 어머니 글(예전에 보낸 편지) id: moneyplan 2009-03-09 3028
703 [2009/03/06] 우리말) 엥꼬와 엔꼬 id: moneyplan 2009-03-06 3759
702 [2009/03/05] 우리말) 임과 님 id: moneyplan 2009-03-05 3187
701 [2009/03/04] 우리말) 막장은 희망입니다 id: moneyplan 2009-03-04 3117
700 [2009/03/03] 우리말) 아뭏튼과 아무튼 id: moneyplan 2009-03-03 3230
699 [2009/03/02] 우리말) 스킨십 id: moneyplan 2009-03-03 3390
» [2009/02/27] 우리말) 일자리 나누기와 잡 셰어링 id: moneyplan 2009-02-27 3137
697 [2009/02/26] 우리말) 대로와 데로 id: moneyplan 2009-02-26 3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