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3/03] 우리말) 아뭏튼과 아무튼

조회 수 3419 추천 수 105 2009.03.03 16:21:33
"의견이나 일의 성질, 형편, 상태 따위가 어떻게 되어 있든"이라는 뜻의 어찌씨(부사)는
'아뭏튼'이 아니라 '아무튼'입니다.



안녕하세요.

웬 눈이 오네요. 가뭄에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은 하루에 전자우편을 몇 통이나 받으세요?
저는 한 이백 개는 받는 것 같습니다.

저는
편지를 받고 그 안에 담긴 따뜻한 내용을 보지, 맞춤법 틀린 곳이나 찾는 그런 차가운 사람이 아닙니다. ^^*
달을 가리키면 달을 봐야지 손가락 끝을 보면 안 되잖아요. ^^*

그래도 어제 받은 편지에서 틀린 게 있어 바로잡고자 합니다.

1.
'아뭏튼 와라'
"의견이나 일의 성질, 형편, 상태 따위가 어떻게 되어 있든"이라는 뜻의 어찌씨(부사)는
'아뭏튼'이 아니라 '아무튼'입니다.
아무튼 불행 중 다행이다, 낳기도 전이던가 아무튼 오래전에...처럼 씁니다.
어떻든에 끌려 아뭏튼이라 쓰시는 것 같습니다.

2.
'움추리고 살면'
"몸이나 몸 일부를 몹시 오그리어 작아지게 하다"는 뜻의 낱말은
'움추리다'가 아니라 '움츠리다'입니다.
너무나 민망해서 고개를 움츠렸다, 그는 한기에 몸을 움츠렸다처럼 씁니다.

저는 날마다 우리말 편지를 보냅니다.
제 몸이 아파도 '아무튼' 보냅니다.
비록 지금 눈이 내리지만 철은 봄입니다. 너무 '움츠리지' 말고 가슴을 활짝 펴고 삽시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지난 편지 댓글에서 함께하고 싶은 글을 골라 여기에 옮깁니다.


오늘부터 이 방 문을 닫습니다.
댓글을 아무도 올리지 않으시네요.
혹시 이 방에 올라갈까봐 댓글을 안 다시는 것 같아서... ^^*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 입니다.


[필자가 아니라 글쓴이]

저는 요즘 책 읽을 시간이 많네요.
병원에 있다 보면 딱히 뭐 할 게 없더군요.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책을 많이 봅니다.

어떤 책이라고 꼭 집어서 이야기할 수는 없지만,
많은 책에서 보이는 잘못을 좀 지적해 볼게요.

첫째,
뭔가를 설명하면서 '즉'이라는 낱말을 많이 쓰는데,
이는 '곧'으로 바꿔 쓰는 게 좋습니다.
뜻이 거의 같은데 굳이 한자인 즉(卽)을 쓸 까닭이 없죠.

둘째,
설명하면서 자주 나오는
"말할 것도 없음"이라는 뜻의 '물론'이라는 낱말은 일본어 勿論(もちろん[모찌롱])에서 왔습니다.
두말할 것도 없이 '말할 것도 없음'으로 바꿔 쓰시면 됩니다.

셋째,
'필자'라는 말입니다.
사전에는
"글을 쓴 사람. 또는 쓰고 있거나 쓸 사람."이라고 풀어져 있지만,
그 뜻은
그 책을 쓴 사람이 자신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제삼자가 글을 쓴 사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곧,
글쓴이가 "필자는 어떤 생각으로 이런 글을 썼고..."라는 것은 말이 안 되고,
글을 읽는 사람이 "필자는 어떤 생각으로 이런 글을 썼을 것이고..."라는 것만 말이 됩니다.

더 중요한 것은,
이 '필자'도 일본식 표현입니다.
筆者(ひっしゃ[핏샤])라는 일본어에서 왔거든요.

글을 쓴 사람이 자기 자신을 가리켜 필자라고 쓴 것은,
필자의 뜻을 제대로 몰랐거나,
가진 게 없어 뭔가 있는 것처럼 보이려고 한 것 일겁니다.

그냥 '글쓴이'라고 하면 누가 잡아가나요?
그 책의 값어치가 떨어질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3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561
1996 [2009/02/04] 우리말) 웨하스와 웨이퍼 id: moneyplan 2009-02-04 3166
1995 [2009/02/05] 우리말) 야멸치다와 야멸차다 id: moneyplan 2009-02-05 3522
1994 [2009/02/06] 우리말) 쌈빡하다와 삼박하다 id: moneyplan 2009-02-06 7716
1993 [2009/02/08] 우리말) 월파와 달물결 id: moneyplan 2009-02-09 3519
1992 [2009/02/09] 우리말) 쥐꼬리와 쥐 꼬리 id: moneyplan 2009-02-10 3221
1991 [2009/02/11] 우리말) 두껍다와 얇다 id: moneyplan 2009-02-12 3377
1990 [2009/02/1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2-12 2958
1989 [2009/02/13] 우리말) 오늘도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2-13 3371
1988 [2009/02/16] 우리말) 나름대로... id: moneyplan 2009-02-16 3792
1987 [2009/02/17] 우리말) 큰 별이 지셨네요 id: moneyplan 2009-02-17 3416
1986 [2009/02/18] 우리말) 바라건대/바라건데 id: moneyplan 2009-02-18 3273
1985 [2009/02/19] 우리말) 오지다 id: moneyplan 2009-02-19 3473
1984 [2009/02/20] 우리말) 계란말이/달걀말이/두루마리 id: moneyplan 2009-02-20 3698
1983 [2009/02/23] 우리말) 모람과 회원 id: moneyplan 2009-02-23 3346
1982 [2009/02/24] 우리말) 먼지잼 id: moneyplan 2009-02-24 3590
1981 [2009/02/25] 우리말) 점심과 식사 id: moneyplan 2009-02-25 3056
1980 [2009/02/26] 우리말) 대로와 데로 id: moneyplan 2009-02-26 3715
1979 [2009/02/27] 우리말) 일자리 나누기와 잡 셰어링 id: moneyplan 2009-02-27 3185
1978 [2009/03/02] 우리말) 스킨십 id: moneyplan 2009-03-03 3522
» [2009/03/03] 우리말) 아뭏튼과 아무튼 id: moneyplan 2009-03-03 3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