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3/05] 우리말) 임과 님

조회 수 3273 추천 수 94 2009.03.05 09:27:36
현재 맞춤법에서는 사모하는 사람을 '님'이라 하지 않고 '임'이라 해야 바릅니다.
임을 그리는 마음, 임을 기다리다, 임을 못 잊다, 임과 이별하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경칩이라네요.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깬다는 경칩...
바야흐로 이제 봄인가 봅니다. 이게 곧 꽃도 피겠죠? ^^*

우리 익은말(속담)에
'꽃 피자 님 온다.'는 말이 있습니다.
때맞추어 반가운 일이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그런 좋은 일이 많이 일어나면 좋겠습니다. ^^*

익은말에서는 사모하는 사람을 '임'이라 하지 않고 '님'이라 썼습니다.
현재 맞춤법에서는 사모하는 사람을 '님'이라 하지 않고 '임'이라 해야 바릅니다.
임을 그리는 마음, 임을 기다리다, 임을 못 잊다, 임과 이별하다처럼 씁니다.

속담에
'임 없는 밥은 돌도 반 뉘도 반'이라는 게 있고,
우리가 잘 아는
'임도 보고 뽕도 딴다'도 있잖아요.
이런 속담에는 모두 '임'이라고 쓰는데,
'님'이라고 쓰는 속담이 몇 개 있습니다.
고와도 내 님 미워도 내 님(좋으나 나쁘나 한번 정을 맺은 다음에야 말할 것이 없다는 말)
내 님 보고 남의 님 보면 심화 난다(자기 님이 더 훌륭하기를 바라는 뜻에서 잘난 남의 님을 보면 마음이 편치 아니하다는 말)
꽃 피자 님 온다(때맞추어 반가운 일이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이 바로 그런 보기입니다.

속담까지 맞춤법에 맞춰 '님'을 '임'으로 다 바꿔야 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냥 그런 속담이 있다는 것을 말씀드릴 뿐입니다.

봄입니다.
저도 제 임과 함께 즐겁게 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 김영조 소장님이
아침마다 우리문화를 소개하는 편지를 보내주십니다.
어제치 편지를 소개합니다.
김영조 소장님의 편지를 받으시려면 sol119@empal.com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내일(토박이말 올제)은 겨울잠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는 경칩입니다. 드디어 봄이
         온 것이지요. 하지만, 아직 이른 봄이어서 “꽃샘바람”, 살 속을 기어드는 맵고 찬
         “소소리바람”이나 “살바람”이 붑니다. 그래도 머지않아 그 바람은 보드랍고 화창한
         “명지바람(명주바람)”과 솔솔 부는 “실바람”이 불어오겠지요. 그런 봄에 부는
         바람들은 모두 남쪽에서 불어오는 “마파람”일 것입니다.



         그런가 하면 가을에도 여러 가지 바람이 있습니다. 초가을에 남쪽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건들마”, 동쪽에서 부는 “강쇠바람”, 신선한 “색바람”이 있으며, 서리 내린
         아침에 부는 “서릿바람”도 있지요. 어떤 바람이든 살을 에는 듯 독하게 부는
         “고추바람”이나 좁은 곳으로 가늘게 불어오지만 매우 춥게 느껴지는 “황소바람”만
         아니면 좋을 것입니다. 뒤에서 불어오는 “꽁무니바람”은 재미있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 입니다.


[게슴츠레 졸린 눈]

많은 분이 걱정해 주신 덕분에
오늘 어머니가 퇴원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제 와서 하는 말이지만,
병원에서 자는 거, 그거 정말 힘들더군요.
자리도 불편한데다 자꾸 들락거리는 사람들 때문에...

날마다 병원에서 자면서, 처음에는 인기척만 있어도 자다가 일어났는데,
나중에는 게슴츠레 눈을 뜨고 눈치를 본 뒤 다시 자고,
어떤 때는 잠에 취해 거의 감은 듯 거슴츠레 눈을 떴다가 감고,
또 어떤 때는 졸린 눈을 비비며 가슴츠레 떴다가 또 감고...
이러다 보면 하룻밤이 금방 지나가고 어슴푸레 날이 밝아오죠.
여태 힘들었지만, 몇 년 지나면 그때의 일이 아슴푸레 떠오르겠죠?

어쨌든 이제는 어머니가 다시 병원에 입원하셔서
제가 그 옆에서 가슴졸이며 자는 일이 없기를 빕니다.

여러분 사랑합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게슴츠레, 거슴츠레, 가슴츠레 : 졸리거나 술에 취해서 눈이 정기가 풀리고 흐리멍덩하며 거의 감길 듯한 모양.

어슴푸레, 아슴푸레 : 빛이 약하거나 멀어서 조금 어둑하고 희미한 모양,
또렷하게 보이거나 들리지 아니하고 희미하고 흐릿한 모양,
기억이나 의식이 분명하지 못하고 조금 희미한 모양.

거슴푸레 : 대한민국 국어사전에 그런 낱말 없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28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825
1976 [2010/09/27] 우리말) 박수치다와 손뼉치다 moneybook 2010-09-27 3952
1975 [2007/02/02] 우리말) 터줏대감 id: moneyplan 2007-02-05 3951
1974 [2011/07/25] 우리말) 이승잠과 영피다 머니북 2011-07-25 3950
1973 [2009/09/14] 우리말) 궁글다 id: moneyplan 2009-09-14 3949
1972 [2013/01/15] 우리말) 사돈 머니북 2013-01-15 3948
1971 [2007/02/23] 우리말) 경위의 순 우리말은 맹문 id: moneyplan 2007-02-27 3944
1970 [2010/03/23] 우리말) 천세나다 id: moneyplan 2010-03-23 3943
1969 [2017/04/19] 우리말) 젬뱅이와 손방 머니북 2017-04-21 3942
1968 [2016/12/21] 우리말) 첫걸음 머니북 2016-12-23 3941
1967 [2017/03/17] 우리말) 나무 심기 좋은 때 머니북 2017-03-17 3940
1966 [2010/05/28] 우리말) 쎄쎄쎄 id: moneyplan 2010-05-28 3940
1965 [2016/02/12] 우리말) 어제그저께 머니북 2016-02-12 3939
1964 [2011/11/11] 우리말) 수산용어 다듬기 머니북 2011-11-11 3939
1963 [2010/05/14] 우리말) 접수와 등록 id: moneyplan 2010-05-14 3939
1962 [2011/06/21]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1-06-22 3938
1961 [2008/01/15] 우리말) '찝찝해요'의 발음 id: moneyplan 2008-01-15 3937
1960 [2013/01/30] 우리말) 입지전/입지전적 머니북 2013-01-30 3936
1959 [2015/11/11] 우리말) 빼빼로 데이 머니북 2015-11-12 3934
1958 [2012/03/14] 우리말) 축하합니다와 축하드립니다 머니북 2012-03-14 3934
1957 [2012/11/02] 우리말) 높이다와 제고 머니북 2012-11-02 3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