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3/18] 우리말) 사람 소개하는 방법

조회 수 3108 추천 수 135 2009.03.18 09:19:27
그냥 쉽게 생각해서,
윗분에게 먼저 말할 기회를 드린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어제는 제 일터에서 주관하는 세미나가 있었습니다.
외부에서 오신 손님들과 제 일터의 직원들이 서로 소개하는 방법이 참으로 여러 가지더군요.

오늘은 사람 소개하는 것을 이야기해 볼게요.
제가 누군가를 처음 뵈면 당연히 "처음 뵙겠습니다. 저는 농촌진흥청에서 일하는 성제훈입니다."라고 인사하면 됩니다.
그건 문제가 안 되는데, 제가 누군가를 다른 사람에게 소개할 때는 좀 헷갈립니다.

신규 직원 홍길동 씨를 제가 일하는 과의 과장님께 소개하고자 할 때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과장님! 이번에 우리 과로 발령받은 홍길동 씨입니다."라고 해야 할까요,
아니면,
"홍길동 씨, 이분이 우리 과 과장님이십니다."이렇게 소개해야 할까요?

답은
아랫사람을 윗사람에게 먼저 소개하는 게 맞습니다.
"과장님! 신입 사원 홍길동입니다."처럼 윗사람인 과장님에게 아랫사람인 신입사원을 소개하고,
과장님을 나중에 소개하는 게 맞습니다.

자기가 잘 아는 사람이라고
"야, 이분이 우리 과장님이시다. 인사드려라."처럼 하시면 안 됩니다.

그냥 쉽게 생각해서,
윗분에게 먼저 말할 기회를 드린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랫사람을 윗사람에게 먼저 소개해야 윗사람이 "반갑습니다."나 "어서오세요."라고 말 할 수 있잖아요.

남자와 여자의 소개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여성에게 기회를 먼저 준다고 생각하시고,
남자를 여자에게 먼저 소개하면 됩니다.

여러분,
행복해서 웃는 게 아니라 웃어서 행복한 거라고 하죠?
오늘도 많이 웃읍시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 입니다.


[택배가 느리게 왔어요]

이제 곧 한가위입니다.
요즘 택배 회사들이 바쁘다죠?
한가위 이바지를 나르느라 정신없이 바쁜가 봅니다.
저도 한가위 이바지 몇 개를 택배로 보냈는데요.
택배 회사 직원이 "요즘은 배달 물량이 많이 좀 느리게 들어갈 수도 있다."고 하더군요.
이왕이면 느리게 들어가지 말고 빨리 들어가지...

오늘은 '느리다'와 '늦다'를 갈라보겠습니다.
먼저, 빠르다와 이르다의 차이는 말씀드렸죠?
빠르다는 속도와 관련되고 이르다는 시기와 관련된다고 말씀드렸었습니다.
이 '느리다'와 '늦다'도 마찬가집니다.

느리다는 속도와 관련되고, 늦다는 시기와 관련됩니다.
따라서,
느리다의 반대말은 빠르다고, 늦다의 반대말은 이르다입니다.

이렇게 갈라놓고 보면 쉽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두 가지를 혼동해서 껜?경우가 많습니다.

택배 배달 물량이 많아 선물이 한가위 뒤에 들어가는 것은,
느리게 들어가는 게 아니라 늦게 들어가는 겁니다.
정해진 때보다 지나서 들어가니 늦게 들어가는 거죠.
택배가 느리게 들어가는 것은,
배달을 하는 아저씨가 천천히 걸어가면서 가다 쉬고, 또 가다 쉬고 하면서 느긋하게 배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느리다와 늦다를 가르실 수 있죠?

오늘도 좋은 생각 많이 하시고,
행복한 일만 많이 생기시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4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71
716 [2014/07/15] 우리말) 강담/죽담 머니북 2014-07-15 3097
715 [2014/07/16] 우리말) 담/담장 머니북 2014-07-16 3314
714 [2014/07/17] 우리말) 까대기 머니북 2014-07-17 3577
713 [2014/07/18] 우리말) 즈런즈런 머니북 2014-07-18 2975
712 [2014/07/21] 우리말) 누가 '전기세'를 걷나? 머니북 2014-07-21 4274
711 [2014/07/23] 우리말) 무등/목마/목말 머니북 2014-07-23 3537
710 [2014/07/24] 우리말) 사투리와 표준말 머니북 2014-07-25 3486
709 [2014/07/25] 우리말) 안전하지 않은 안전사고 머니북 2014-07-25 3162
708 [2014/07/28] 우리말) 일찍이 머니북 2014-07-28 3438
707 [2014/07/29] 우리말) 맨드리 머니북 2014-07-29 3325
706 [2014/07/29] 우리말) 안전하지 않은 안전사고 머니북 2014-07-29 3322
705 [2014/07/30] 우리말) 발맘발맘 머니북 2014-07-30 4413
704 [2014/07/31] 우리말) 비게질 머니북 2014-07-31 3284
703 [2014/08/06] 우리말) 호치키스와 마사무네 머니북 2014-08-06 4409
702 [2014/08/07] 우리말) 해까닥과 회까닥 머니북 2014-08-11 3678
701 [2014/08/08] 우리말) 딸따니 머니북 2014-08-11 6079
700 [2014/08/11] 우리말) "찻잔 속의 태풍"은 바른 말일까? 머니북 2014-08-11 6599
699 [2014/08/12] 우리말) 비로소/비로서 머니북 2014-08-12 3617
698 [2014/08/13] 우리말) 머리숱 머니북 2014-08-13 3114
697 [2014/08/14] 우리말) 교황이 가시는 광화문 머니북 2014-08-14 3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