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3/20] 우리말) 칠 대 일

조회 수 3356 추천 수 91 2009.03.23 10:24:04
따라서 민주주의 대 공산주의, 개인 대 개인, 지상 대 공중, 청군 대 백군처럼 앞 낱말과 띄어 씁니다.


안녕하세요.

아침 일찍 서울에 다녀오느라 편지가 늦었습니다.

어제 세 시간 동안이라 시험을 봤더니 힘이 쭉 빠지네요.
185명이 시험을 보고 이 가운데 41명이 승진하게 됩니다.
분야별로 경쟁률이 좀 다른데, 제가 일하는 분야는 한 명 뽑는데 일곱 명이 시험을 봤습니다.
다음 주 초에 직원들이 평가하는 다면평가를 하고,
다음 주 중반에 인터뷰 평가를 한 다음, 주말쯤 결과가 나오나 봅니다.

한 명 뽑는데 일곱 명이 겨루면 그 경쟁률은 '칠대일'입니다.
오늘은 '칠대일'의 띄어쓰기를 알아볼게요.

여기에 쓰인 '대'는,
대할 대(對), 또는 상대 대 자로,
"사물과 사물의 대비나 대립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매인이름씨(의존명사)입니다.
따라서 민주주의 대 공산주의, 개인 대 개인, 지상 대 공중, 청군 대 백군처럼 앞 낱말과 띄어 씁니다.

칠대일도
'칠 대 일'로 띄어 써야 합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 입니다.


[우리말 훼방꾼? 우리말 헤살꾼]

뉴스를 보니 북한이 기어이 핵실험을 했군요.

핵은 핵이고,
오늘이 한글날이라서 하나 더 보냅니다.
그냥 지나치자니 오후가 편할 것 같지 않아서...

인터넷 뉴스를 보니, 며칠 전에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에서
'우리말 지킴이와 훼방꾼'을 발표했네요.
참 잘하는 일입니다.
이렇게나마 우리말을 아끼고 지키는 사람을 칭찬하며 우러르고,
우리말을 더럽히는 사람을 꾸짖고 나무라야 합니다.

다만,
굳이 흠을 잡자면,
'지킴이'라고 좋은 우리말을 써 놓고
그 뒤에 '훼방꾼'이라는 말을 쓴 까닭을 모르겠습니다.
훼방은 毁謗으로 헐뜯을 훼 자와 헐뜯을 방 자를 씁니다.
끽연(喫煙)이나 만끽(滿喫)만큼 어려운 한자입니다.

훼방이 '남을 헐뜯어 비방함. 또는 그런 비방'이라고 국어사전에 나와있긴 합니다.
그러니 훼방이라는 낱말을 쓴다고 뭐랄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이왕 우리말 지킴이를 뽑고 그 반대되는 단체나 사람을 뽑는다면,
훼방꾼보다는 헤살꾼이 낫지 않을까요?
사전에서 헤살꾼을 찾아보면,
'남의 일에 짓궂게 훼방을 놓는 사람.'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저라면,
'우리말 지킴이와 훼방꾼'이 아니라,
'우리말 지킴이와 헤살꾼'이라고 쓰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5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71
1936 [2009/04/08] 우리말) 해님과 햇님 id: moneyplan 2009-04-08 3341
1935 [2012/03/27] 우리말) 먼산바라기 머니북 2012-03-27 3341
1934 [2014/03/19] 우리말) 누꿈하다 머니북 2014-03-19 3341
1933 [2008/09/20] 우리말) 코스모스는 왜 코스모스일까요? id: moneyplan 2008-09-20 3342
1932 [2013/06/17] 우리말) 자장면과 짜장면(2) 머니북 2013-06-17 3342
1931 [2017/06/21] 우리말) 거덜나다 머니북 2017-06-22 3342
1930 [2011/02/21] 우리말) 수우미양가 moneybook 2011-02-21 3344
1929 [2013/01/18] 우리말) 해 질 녁 머니북 2013-01-18 3344
1928 [re] 아침에 드린 편지에 틀린 내용이 있습니다 moneybook 2010-08-08 3345
1927 [2010/12/03] 우리말) 착한 몸매? moneybook 2010-12-03 3345
1926 [2015/02/12] 우리말) 애오라지 머니북 2015-02-12 3345
1925 [2009/09/25] 우리말) 대중요법과 대증요법 id: moneyplan 2009-09-25 3346
1924 [2011/02/07] 우리말) 매듭 moneybook 2011-02-07 3346
1923 [2012/03/29] 우리말) 한글날을 공휴일로 머니북 2012-03-29 3346
1922 [2017/07/27] 우리말) 굴레와 멍에 머니북 2017-07-27 3346
1921 [2009/02/11] 우리말) 두껍다와 얇다 id: moneyplan 2009-02-12 3347
1920 [2012/11/19] 우리말) 낙엽과 진 잎 머니북 2012-11-19 3347
1919 [2009/07/29] 우리말) 감기다 id: moneyplan 2009-07-29 3348
1918 [2010/09/30] 우리말) 돕다와 거들다 moneybook 2010-09-30 3348
1917 [2014/06/26] 우리말) 탄하다와 탓하다 머니북 2014-06-26 3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