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3/23] 우리말) 와이셔츠

조회 수 3553 추천 수 94 2009.03.23 10:24:54
일본말에
猥談(외담)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외설을 다룬 이야기를 뜻합니다.
바로 이 낱말을 일본어로 わいだん이라 쓰고 소리를 [와이당]이라 냅니다.
와이담은 여기서 온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같이 본청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주말에도 꼭 일터에 나옵니다.
아침 일찍 나와서 밤늦게 들어가는 것은 아니고, 옷도 양복이 아닌 편한 옷을 입고 나오지만
하루도 빠지지 않고 꼭 나옵니다.

오늘은 옷 이야기를 해 볼게요.
먼저,
양복저고리 안에 받쳐 입는 옷을 셔츠라고 합니다.
영어 shirt에서 온 말입니다.

양복을 입을 때 셔츠 깃 밑으로 둘러 매듭을 지어 앞으로 늘어뜨리거나 나비 모양으로 매듭을 만드는 천을 넥타이라고 합니다.
목에 거는 끈이라는 뜻의 necktie에서 왔습니다.
'타이'라고만 해도 '넥타이'라고 알아먹습니다.
'넥타이'의 준말로 '타이'가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셔츠에 넥타이를 매면 Y자 모양이 나옵니다. 그리고 셔츠의 옷깃도 Y자 모양입니다.
여기에서 온 말이 Y셔츠라고 알고 계시는 분이 있습니다.
아닙니다.
와이셔츠는 로마자 Y와 아무 상관 없습니다.

와이셔츠는 영어 white shirts에서 온 말로 화이트의 '트'가 줄어서 된 말입니다.
'화이트 셔츠'가 '화이셔츠'로, 이게 다시 '와이셔츠'로 된 거죠.

와이셔츠를 이야기하니 생각나는 게 하나 있습니다.
'와이담'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죠?
'Y담'이라 쓰기도 합니다.
Y가 사타구니를 닮아 그쪽 이야기, 곧 야한 이야기를 '와이담'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또한 잘못된 겁니다.
Y가 사타구니를 닮아 Y담이 야한 이야기를 뜻하는 게 아닙니다.

일본말에
猥談(외담)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외설을 다룬 이야기를 뜻합니다.
바로 이 낱말을 일본어로 わいだん이라 쓰고 소리를 [와이당]이라 냅니다.
와이담은 여기서 온 말입니다.
일본말로 음담, 음란한 이야기라는 뜻입니다.

좋은 우리말을 이렇게 이상하게 쓰면 안 된다고 봅니다.
언젠가 말씀드린 뒷담화도 비슷한 겁니다.
아름답고 소중한 우리말을 우리가 아끼지 않으면 다른 나라 사람들은 거들떠보지도 않습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오늘은 며칠 전에 받은 답장을 공유합니다.

김진규 님(gus???)

성박사님 안녕하세요.

작년부터 선생님의 편지를 받습니다.
늘 감사하는 마음으로 열어봅니다.

오늘 편지에서 틀린 표현이 있는 것 같아서 말씀드립니다.

'민주주의 대 공산주의'라는 말을 혹시 반대어로 생각하고 쓰셨다면, 이는 틀린 말입니다.

교과서에서도 아이들에게 민주주의의 반대 개념을 '사회주의'나 '공산주의'로 가르칩니다.
잘못된 것입니다. 오랫동안 고쳐지지 않고 있습니다.

민주주의는 정치 용어고, 공산주의는 경제 용어입니다.
민주의 반대는 독재죠.
공산주의나 사회주의의 반대 개념은 자본주의입니다.

사회주의는 자본주의의 사적 소유를 철폐하고,
공동 생산 공동 분배를 목표로 합니다. 물론 현실과는 다르지만,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소비하는 사회로
자본주의 경제체제와 정반대입니다.

'자본주의 대 사회주의(공산주의)'
'민주주의 대 파시즘'
'민주주의 대 독재' 따위로 써야 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나 '사회주의 사회'에서나
또는 '사회민주주의 사회', 그 어디서라도  
민주주의는 누구나 추구해야 할 가치인 것입니다.

'여자 대 할아버지'라고 하면 이상하죠.
'여자 대 남자' '처녀 대 총각' 또는
'할머니 대 할아버지'라고 해야 합니다.
동일 범주의 반대어가 아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민주주의 대 공산주의'는 마치
'여자 대 할아버지'와 같이 이상한 말입니다.

벚꽃이 튀밥처럼 일순간 터져 그늘마저 눈부신 날입니다.
환한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5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27
1376 [2014/04/02] 우리말) 다좆치다 머니북 2014-04-02 3536
1375 [2011/01/19] 우리말) 굴레와 멍에 moneybook 2011-01-19 3537
1374 [2011/05/16] 우리말) 내로라하는 가수 moneybook 2011-05-16 3538
1373 [2010/03/02] 우리말) 물끄러미와 풀리다 id: moneyplan 2010-03-02 3539
1372 [2011/04/27] 우리말) 국어사전 moneybook 2011-04-27 3541
1371 [2012/04/05] 우리말) 한식 머니북 2012-04-05 3541
1370 [2013/07/12] 우리말) 마음눈 머니북 2013-07-15 3542
1369 [2015/10/29] 우리말) 으레/의례 머니북 2015-10-29 3542
1368 [2016/11/23] 우리말) 야코죽다 머니북 2016-11-23 3542
1367 [2008/07/08] 우리말) 모찌와 찹쌀떡 id: moneyplan 2008-07-08 3543
1366 [2012/02/13] 우리말) 쏜살같다 머니북 2012-02-13 3543
1365 [2017/04/24] 우리말) 국어를 잘 배우자 머니북 2017-04-24 3543
1364 [2008/11/11] 우리말) 겹말 id: moneyplan 2008-11-11 3544
1363 [2016/06/13] 우리말) 손 없는 날 머니북 2016-06-15 3544
1362 [2010/11/24] 우리말) 금도 moneybook 2010-11-24 3545
1361 [2009/06/04] 우리말) 피로야 제발 가라... id: moneyplan 2009-06-04 3546
1360 [2010/03/31] 우리말) 뉘 id: moneyplan 2010-03-31 3546
1359 [2012/01/18] 우리말) 설빔과 세뱃돈 머니북 2012-01-18 3546
1358 [2012/11/15] 우리말) 올겨울과 이번겨울(2) 머니북 2012-11-15 3546
1357 [2014/11/04] 우리말) 늘키다 머니북 2014-11-04 3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