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3/24] 우리말) 나라비

조회 수 3042 추천 수 90 2009.03.24 09:23:17
나라비라 하지 않고,
한 줄로 세웠다나 나란히 세웠다고 하면 됩니다.
나라비를 세웠다고 해야 공무원의 체면이 서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일본말 하나 알아볼게요.

공무원 들이 하는 일 가운데 많은 부분이 일정한 기준에 따라 순서를 매기고 예산 범위에서 어느 선까지 지원해 주는 것일 겁니다.
쉽게 말해 점수에 따라 나란히 줄을 세운 후 위에 있는 순서대로 지원하는 것이죠.
이런 것을 두고 흔히 '나라비세웠다'고 합니다.
제 경험으로 사회에서는 별로 쓰지 않는데 유독 공무원들이 많이 쓰는 낱말 같습니다.
이것도 공무원들의 권위 의식인지는 모르지만,
어쨌든 공무원들이 자주 쓰는 낱말입니다.

나라비는 일본말 び로 ならび[나라비]라 읽습니다.
늘어섬, 늘어선 모양을 뜻하는 이름씨 입니다.

나라비라 하지 않고,
한 줄로 세웠다나 나란히 세웠다고 하면 됩니다.
나라비를 세웠다고 해야 공무원의 체면이 서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내일은 오랜만에 문제를 내겠습니다.
문제를 내는 날은 9:00에 편지가 배달됩니다. ^^*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배추 뿌리, 배추꼬랑이]

어머니가 집에 계시니 항상 반찬이 푸짐해서 좋습니다.
어제는 누나 집에서 배추 몇 포기 가져다가 김치를 담그셨네요.
아침에 어머니가 부엌에서 뭔가를 내 오시면서,
“이거 배추꼬랑지다 오랜만에 먹으면 맛있을 거다”라고 하시더군요.
그러면서 내 주시는 접시 위에 배추 뿌리 댓 개가 있더군요.
먹어보니 정말 달았습니다.
배추 뿌리가 단지, 어머니 정성이 단지는 모르지만...^^*

배추꼬랑지 아시죠? 배추 뿌리 말이에요.
실은 이 낱말은 '배추꼬랑이'가 표준말입니다.
배추 뿌리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겠지만, 그것은 한 낱말은 아니고,
배추 뿌리를 뜻하는 한 낱말은 '배추꼬랑이'입니다.
흔히 배추꼬랑지라고도 하지만 그것은 틀린 말입니다.

배추가 나온 김에 몇 가지 더 알아볼게요.
배추를 세는 단위가 뭐죠?
'포기'? '폭'?
우스갯소리로, '포기'는 배추를 셀 때나 쓴다는 말이 있죠?
맞습니다. 배추를 세는 단위는 '포기'입니다.
흔히, 한 폭, 두 폭 하지만,
한 포기, 두 포기가 맞습니다.

말 나온 김에,
무청이 뭔지 아세요?
'무의 잎과 잎줄기'를 뜻합니다.
'뭇줄거리'라고도 하죠?

시래기는
'무청이나 배추의 잎을 말린 것.'인데,
새끼 따위로 엮어 말려서 보관하다가 볶거나 국을 끓이는 데 쓰면 참 좋죠.

우거지는,
'푸성귀를 다듬을 때에 골라 놓은 겉대'를 말합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32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854
2556 [2016/08/05] 우리말) 드디어 헤어졌나? 끝내 헤어졌나? 머니북 2016-08-10 3030
2555 [2014/04/15] 우리말) 배지는 보람으로 머니북 2014-04-15 3032
2554 [2016/01/18] 우리말) 안틀다 머니북 2016-01-19 3034
2553 [2016/05/17] 우리말) 억장 openmind 2016-05-18 3038
2552 [2009/07/17] 우리말) 예전에 보낸 지킴이 인사말 id: moneyplan 2009-07-17 3040
2551 [2015/12/27]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8 3041
» [2009/03/24] 우리말) 나라비 id: moneyplan 2009-03-24 3042
2549 [2012/12/28] 우리말) 매무시와 매무새 머니북 2012-12-28 3043
2548 [2014/11/10] 우리말) 어겹되다 머니북 2014-11-10 3043
2547 [2015/10/30] 우리말) 무료로 주고 공짜로 받고 머니북 2015-11-02 3044
2546 [2015/07/21] 우리말) 개발과 계발 머니북 2015-07-22 3045
2545 [2015/04/01] 우리말) 누룽지튀각과 눌은밥튀각 머니북 2015-04-01 3046
2544 [2016/08/25] 우리말) 물, 말 머니북 2016-08-29 3046
2543 [2014/12/31] 우리말) 요즘 쓸 말 머니북 2014-12-31 3051
2542 [2015/11/09] 우리말) 이제야와 이제사 머니북 2015-11-09 3051
2541 [2016/06/21] 우리말) 꼬리는 말고 꽁지는 빠지고 머니북 2016-06-26 3053
2540 [2015/07/16] 우리말) 밥맛없다와 밥맛 없다 머니북 2015-07-16 3054
2539 [2015/12/02] 우리말) 속박이 머니북 2015-12-02 3054
2538 [2016/10/17] 우리말) 오늘 하루도 즐겁게 머니북 2016-11-01 3057
2537 [2016/05/03] 우리말) 밖에 없다/뿐이다 머니북 2016-05-03 3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