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우리말 편지를 쉬고 밀린 일부터 처리해야겠습니다.
저도 가끔은 좀 쉬고 싶을 때고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어제는 새벽에 집을 나서 목포와 전주를 다녀왔습니다.
책상 위에 일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네요.

오늘은 우리말 편지를 쉬고 밀린 일부터 처리해야겠습니다.
저도 가끔은 좀 쉬고 싶을 때고 있답니다. ^^*

어제 문제 답은 '허우룩하다'입니다.
모두 31명이 댓글을 달아주셨네요.
순서에 따라 열 분께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오늘도 잘 보내시고,
주말도 잘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굽실대다]

어제 인터넷 뉴스에
'당돌한 직장후배 대처방법'이라는 꼭지의 글이 있더군요.
예전에는 무조건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굽실거렸는데 지금은 그게 아닌가 봅니다.
오히려 윗사람이 아랫사람 눈치를 봐야 한다니...

항상 굽실거리라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예의를 갖추는 것은 중요한데...

굽실거리다와 굽신거리다...
어떤 게 맞죠?
몸(身)을 구부리는 것이니까 '굽신'이 맞겠죠?

아니요.
대한민국 국어사전에 '굽신'이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고개나 허리를 자꾸 가볍게 구푸렸다 펴다."나
"남의 비위를 맞추느라고 자꾸 비굴하게 행동하다."는 뜻의 낱말은
'굽신'이 아니라 '굽실'입니다.
굽실거리다, 굽실대다처럼 쓰죠.

내친 김에,
'곱실'이라는 말 들어보셨어요?
'굽실'이 아니라 '곱실'.
또 '꼽실'은요?

굽실, 곱실, 꼽실 모두 같은 뜻입니다.
다만, 꼽실은 곱실에 견줘 센 느낌이 있습니다.
그러면 꼽실보다 더 센 느낌의 말을 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설마 꼽실꼽실?

맞습니다.
꼽실꼽실, 곱실곱실, 굽실굽실 모두 국어사전에 올라 있는 낱말입니다.
한번 쓸 때 보다 더 센 느낌으로 말하고 싶을 때 쓰시면 됩니다.

남의 비위를 맞추느라고 좀스럽고 비굴하게 곱실거릴 필요는 없지만,
윗사람을 보자마자 먼저 꼽실 인사를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고개나 허리를 자꾸 가볍게 구푸렸다 펴다."에서
'구푸리다'는 "몸을 앞으로 구부리다."는 뜻입니다.
'구부리다'는 "한쪽으로 구붓하게 굽히다"는 뜻이고,
'구붓하다'는 "약간 굽은 듯하다"는 뜻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2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39
2476 [2006/11/22] 우리말) 메꾸다 >> 메우다 id: moneyplan 2006-11-22 5481
2475 [2006/09/22] 우리말) 햇땅콩이 아니라 해땅콩입니다 id: moneyplan 2006-09-22 5469
2474 [2017/11/03]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머니북 2017-11-06 5448
2473 [2006/12/07] 우리말) 자선냄비 id: moneyplan 2006-12-07 5443
2472 [2007/05/16] 우리말) 바리캉, 포클레인, 제록스, 스카치테이프, 나일론, 무스, 본드, 스티로폼 id: moneyplan 2007-05-16 5433
2471 [2017/11/20] 우리말) 롱 패딩 머니북 2017-11-20 5414
2470 [2006/10/17] 우리말) 천상 제날짜에 가야지... id: moneyplan 2006-10-17 5412
2469 [2011/10/18] 우리말) 끼적거리다와 끄적거리다 머니북 2011-10-18 5400
2468 [2006/11/02] 우리말) 제 아들에게 먼지떨음을 했습니다 id: moneyplan 2006-11-02 5386
2467 [2006/11/09] 우리말) 한무릎공부 id: moneyplan 2006-11-09 5381
2466 [2013/08/19] 우리말) 잘못된 높임말 머니북 2013-08-19 5362
2465 [2017/06/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7-06-08 5360
2464 [2017/11/16] 우리말) 통음 머니북 2017-11-16 5343
2463 [2017/11/08] 우리말) 제기? 머니북 2017-11-08 5327
2462 [2006/11/03] 우리말) 제고와 재고를 재고해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1-03 5320
2461 [2014/04/04] 우리말) 사이시옷 머니북 2014-04-08 5312
2460 [2008/02/28] 우리말) 제치다와 제끼다 id: moneyplan 2008-02-28 5309
2459 [2006/09/26] 우리말) 허접 쓰레기? 허섭스레기 id: moneyplan 2006-09-26 5307
2458 [2017/11/17] 우리말) 패러다임 머니북 2017-11-17 5291
2457 [2007/01/18] 우리말) 두루말이 화장지/두루마리 화장지 id: moneyplan 2007-01-19 5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