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15] 우리말) 수화와 손짓말

조회 수 3223 추천 수 92 2009.04.15 09:45:03
평생 한 번 만나기도 어려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외국어는 열심히 배우면서도,
우리와 더불어 사는 청각장애인의 언어는 배우려고 하지 않았구나 하는 반성을 해 봅니다.
수화, 손짓말도 우리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저녁에 텔레비전 자막 틀린 거 몇 개를 적어 뒀는데 아침에 깜빡 잊고 가져오지 않았네요.
내일 가져와서 소개하겠습니다.

어제는 애들과 함께 텔레비전을 봤습니다.
어제 다섯 살 배기 제 아들이
뉴스 오른쪽 밑에 나오는 수화를 보고 저게 뭐냐고 묻더군요.
듣지 못하는 사람에게 손으로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말해줬더니,
왜 듣지 못하냐고 다시 묻더군요.
다섯 살 배기에게는 아직 청각장애인을 이해하기가 어렵나 봅니다.

수화(手話)는 손으로 말하는 것입니다.
곧, 청각 장애인과 언어 장애인들이 구화를 대신하여 몸짓이나 손짓으로 표현하는 의사 전달 방법입니다.
손가락이나 팔로 그리는 모양, 그 위치나 움직임, 표정이나 입술의 움직임을 두루 써서 만듭니다.
수화를 '손짓말'이라고도 합니다.
'수어'라고도 사전에 올라 있네요.
수화로 의사 표현을 하다, 그는 농아들과 대화를 하고자 수화를 배웠다, 정규 뉴스 시간에는 청각 장애인을 위해 구화와 수화 방송을 동시에 한다처럼 씁니다.

평생 한 번 만나기도 어려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외국어는 열심히 배우면서도,
우리와 더불어 사는 청각장애인의 언어는 배우려고 하지 않았구나 하는 반성을 해 봅니다.
수화, 손짓말도 우리말입니다.
안녕하세요, 고맙습니다, 어서오세요, 사랑합니다, 미안합니다, 이쪽입니다 정도는 손짓말로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안타깝게 저도 그런 수화를 모릅니다.

40년이 넘도록 깨닫지 못한 것을 다섯 살 배기 아들이 깨우쳐 주네요.
그래서 애들에게도 배울 게 있다고 그러나 봅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구화(口話)는
"언어 장애인이나 청각 장애인이 특수한 교육을 받아 상대가 말하는 입술 모양 따위로 그 뜻을 알아듣고, 자기도 그렇게 소리 내어 말함"이라는 뜻입니다.
시화(視話)라고도 합니다.
구화를 익히다, 구화로 의사소통을 하다처럼 씁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반거들충이]

안녕하세요.

벌써 금요일입니다.
별로 한 것도 없는데 이렇게 시간만 흘러가네요.
다음 주는 12월이고... 왠지 가슴이 답답해집니다. 해 놓은 일이 없어서...

'반거들충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무엇을 배우다가 중도에 그만두어 다 이루지 못한 사람."을 뜻하죠.
게으른 놈은 언제나 반거들충이 밖에 안 된다처럼 씁니다.

제가 그런 것 같습니다.
연구소에서 일하다 잠시 이곳으로 와서 일 좀 배운다는 게 벌써 2년입니다.
이제는 돌아가야 하는데...
이곳 일에 재미를 붙여 한두 해 더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고 나서 돌아가면 연구 감각이 많이 떨어진텐데...
반거들충이가 되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모도리'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빈틈없이 아주 여무진 사람", "조금도 빈틈없이 썩 모이게 생긴 사람."입니다.
그는 아주 당찬 모도리여서 남에게 사기당하지는 않을 것이다처럼 씁니다.

제가
모도리는 못되더라도 반거들충이는 되지 않아야 하는데...
11월의 마지막, 곧 한 해의 마지막 달을 맞으려니 괜히 그런 생각이 듭니다.
이러면서 나이가 드는 거겠죠? 쩝...^^*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44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972
2316 [2009/12/30] 우리말) 댓글 소개 id: moneyplan 2009-12-30 3229
2315 [2010/05/24] 우리말) 서털구털 id: moneyplan 2010-05-24 3229
2314 [2014/02/04] 우리말) 말갈망 머니북 2014-02-04 3229
2313 [2014/02/21] 우리말) 야로/개염/더펄이 머니북 2014-02-21 3229
2312 [2016/03/10] 우리말) 알파고 머니북 2016-03-11 3229
2311 [2008/01/21] 우리말) 지금부터와 지금으로부터 id: moneyplan 2008-01-21 3230
2310 [2010/04/28] 우리말) 떨구다와 떨어뜨리다 id: moneyplan 2010-04-28 3230
2309 [2010/07/16] 우리말) 날개짓과 날갯짓 moneybook 2010-07-19 3230
2308 [2013/06/18] 우리말) 개문냉방 머니북 2013-06-18 3230
2307 [2010/12/27] 우리말) 새날이 도래 moneybook 2010-12-27 3231
2306 [2009/04/06] 우리말) 로켓과 로케트 id: moneyplan 2009-04-06 3232
2305 [2010/01/19] 우리말) 거덜나다 id: moneyplan 2010-01-19 3232
2304 [2010/04/09] 우리말) 진돗개와 진도견 id: moneyplan 2010-04-09 3232
2303 [2013/11/28] 우리말) 오지랖 머니북 2013-11-28 3232
2302 [2012/12/14] 우리말) 가시버시 머니북 2012-12-14 3232
2301 [2015/03/16] 우리말) 불과 뒷불 머니북 2015-03-16 3232
2300 [2016/01/07] 우리말) 마을/마실 머니북 2016-01-09 3232
2299 [2010/11/30] 우리말) 구제역 moneybook 2010-11-30 3233
2298 [2014/09/16] 우리말) 매다와 메다 머니북 2014-09-16 3233
2297 [2016/11/02] 우리말) 속도 단위 머니북 2016-11-02 3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