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5/19] 우리말) 넙치와 광어

조회 수 3041 추천 수 87 2009.05.19 11:11:27
횟집에서 회로 드시는 게 광어와 도다리입니다.
도다리는 순 우리말로 쓰면서 광어는 왜 넙치라고 쓰지 않는지 모르겠습니다.
'넙치'를 두고 '광어'라는 한자말을 쓸 아무런 까닭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SBS 뉴스에서 '100여 만원'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100여만 원'이 맞습니다.

요즘은 버스 안에서도 텔레비전을 볼 수 있네요.
오늘 아침 7시 20분쯤 KBS2에서 '광어'이야기를 했습니다.
7:22에 '광어 못 잡으면 부인에게 쫓겨난다'는 자막을 내 보냈습니다.
'부인'은 "남의 아내를 높여 이르는 말"입니다.
광어를 잡지 못하면 도대체 누구에게 쫓겨난다는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설사 인터뷰하는 사람이 그렇게 말해도 자막에는 '아내'로 바꿔서 쓰시는 게 맞다고 봅니다.

여기서 더 짚고 싶은 게 바로 '광어'입니다.
횟집에서 회로 드시는 게 광어와 도다리입니다.
도다리는 순 우리말로 쓰면서 광어는 왜 넙치라고 쓰지 않는지 모르겠습니다.
'넙치'를 두고 '광어'라는 한자말을 쓸 아무런 까닭이 없습니다.
설마하니, '넙치'라고 하면 회 맛이 떨어지고,
'광어'라고 해야 회 맛이 나는 것은 아니겠죠?

오늘 아침에 텔레비전에 소개된 것처럼 '광어 축제'도 많다고 합니다.
이 '광어 축제'를 '넙치 잔치'라고 하면 안 될까요?
사전에 보면 광어는 넙치라고 나와 있고, 축제는 잔치라고 나와 있는데,
왜 '넙치 잔치'는 없고 '광어 축제'만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어제 편지에서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를 갈음하여 신문 기사를 소개해 드렸습니다.
백배 천배 좋은 내용이라고 하면서...
거기서 단위 명사인 '배'를 앞말과 띄어 써 '백 배 천 배'라고 하지 않은 까닭은
'백배'와 '천배'는 견줄 수 없을 만큼 아주 많은 수량이나 정도를 이르는 합성어로 한 낱말이기 때문입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가시버시]

안녕하세요.

어제 저녁 7:02에 한 텔레비전에서 '간발의 차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간발(間髮, かんはつ[간바쯔])은 사이 간 자와 터럭 발 자를 써서
"터럭 하나 차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차이를 뜻하는 일본어투 말입니다.
간발의 차이로 빗나간 게 아니라 아깝게 빗나간 겁니다.

어제 편지에서 소개한 '가리산지리산'을 처음 들어보신 분들이 많으셨네요.
우리말에는 그런 게 많습니다.
미주알고주알, 가시버시, 에구데구, 흥이야항이야, 곤드레만드레, 다짜고짜, 뒤죽박죽, 부랴사랴, 왁다글닥다글 따위가 그런 건데요.
이런 낱말에도 재밌는 게 숨어 있습니다.

'미주알고주알'은 '미주알'만 있고 '고주알'은 없습니다.
미주알은
"항문을 이루는 창자의 끝 부분"이지만,
고주알은 미주알에 가락을 맞추는 것일 뿐입니다.
그러나 '미주알고주알'은
"아주 사소한 일까지 속속들이"라는 뜻의 어찌씨입니다.

'가시버시'도 '가시'만 있고 '버시'는 없습니다.
가시는
아내를 뜻하는 앞가지(접두사)이지만,
버시는 아무 뜻이 없이 가시에 가락을 맞출 뿐입니다.
(남편을 뜻하는 낱말이 아닙니다.)
그러나 '가시버시'는
"부부"를 낮잡아 이르는 한 낱말입니다.

'곤드레만드레'도 '곤드레'만 있고 '만드레'는 없습니다.
'뒤죽박죽'도 '뒤죽'만 있고 '박죽'은 없고,
'부랴서랴'도 '부랴(불이야)'만 있고 '서랴'는 없습니다.

한편
'가리산지리산'은
'가리산'이 있고 '지리산'도 있습니다.
'왁다글닥다글'도
'왁다글'도 있고 '닥다글'도 있습니다.

그러나
'다짜고짜'는
'다짜'도 없고 '고짜'도 없습니다.
다만 '다짜고짜'만 있을 뿐입니다.

어지럽네요.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0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71
2496 [2014/04/11] 우리말) 멋쟁이를 만드는 멋장이 머니북 2014-04-11 3029
2495 [2009/10/23] 우리말) 하루가 되기는 싫습니다 id: moneyplan 2009-10-23 3030
2494 [2015/10/16] 우리말) 사열/빠름 머니북 2015-10-16 3032
2493 [2016/09/19] 우리말) 한가위 머니북 2016-11-01 3032
2492 [2009/07/23] 우리말) 옷깃 id: moneyplan 2009-07-23 3033
2491 [2009/01/29] 우리말) 높임말 id: moneyplan 2009-01-29 3035
2490 [2015/10/02] 우리말) 객쩍다 머니북 2015-10-02 3035
2489 [2014/01/08] 우리말) 옴짝달싹 머니북 2014-01-08 3037
2488 [2016/01/28] 우리말) 일다/이다 머니북 2016-01-28 3037
2487 [2016/07/06] 우리말) 어수룩해지려고 귀촌하는가? 머니북 2016-07-06 3037
» [2009/05/19] 우리말) 넙치와 광어 id: moneyplan 2009-05-19 3041
2485 [2015/10/15] 우리말) 헌화/꽃 바침 머니북 2015-10-16 3044
2484 [2015/06/03] 우리말) 늦장과 늑장 머니북 2015-06-03 3047
2483 [2016/06/08] 우리말) 나달 머니북 2016-06-10 3047
2482 [2010/08/03] 우리말) 미덥다와 구덥다 moneybook 2010-08-03 3048
2481 [2015/05/06] 우리말) 이팝나무 머니북 2015-05-06 3049
2480 [2009/08/10]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9-08-14 3051
2479 [2015/01/13] 우리말) 에라, 잘코사니라 머니북 2015-01-13 3052
2478 [2016/03/15] 우리말) 남을 먼저 생각하는 말 머니북 2016-03-17 3052
2477 [2016/04/12] 우리말) 발표할 때... 머니북 2016-04-16 3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