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04] 우리말) 피로야 제발 가라...

조회 수 3547 추천 수 89 2009.06.04 09:53:5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난치병은 올라 있지만, 희귀병과 희소병은 올라 있지 않습니다.
제발 바라건데, 희귀병을 표제어로 올리지는 말아주십시오.
방송에서 언죽번죽 희귀병을 떠든다고 사전까지 그렇게 따라가서는 안 되잖아요.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7:33, MBC뉴스에서 '봄꽃 만개'라고 하면서 '야생화'이야기를 했습니다.
'봄꽃 만개'보다는 '봄꽃 활짝'이 좋고, '야생화'보다는 들꽃이 좋습니다.
같은 말이지만 이왕이면 한자말이 아닌 순 우리말이 좋습니다. ^^*

어제 낮 11:48에 97.3MHz에서 '피로회복제'에 대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사회자와 출연자가 '피로를 회복하는 방법'에 대해 여러 가지 이야기를 나누더군요.
저는 도대체 알 수가 없습니다. 그놈의 피로를 회복해서 어디에 쓰실 건지...
피로는 없애버릴, 해소해야 할 대상 아닌가요?
그걸 살려서, 그걸 회복해서 어쩌겠다는 거죠?

오뚜기식품에서 오뚝이를 오뚜기라 쓰는 것은 회사이름으로 쓰는 고유명사니 그렇다 치고,
안성에서 맞춤을 안 쓰고 안성마춤을 쓰는 것도 상표권을 등록해서 그렇다고 칠 수 있습니다.
동아제약에서 박카스를 광고하면서 예전부터 쓰던 '피로회복'을 쓰는 것도 개인 회사이니 봐 줄 수 있다 칩시다.
그러나 아무리 양보해도, 공영방송에서 '피로회복'이라고 떠드는 것은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당연히 피로해소, 원기회복이라 써야 하지 않을까요?

내친김에 자주 말씀드리는 '희귀병'도 한 번 더 짚고 갈게요.
아시는 것처럼 '희귀'는 드물 희(稀) 자에 귀할 귀(貴) 자를 써서
"드물어서 매우 진귀하다"는 뜻입니다.
그럴 때 쓰는 낱말인 '희귀'를 써서 '희귀병'이라고 하면,
"세상에 별로 없는 귀한 병"이라는 낱말이 돼버립니다.
아무리 세상에 별로 없고 귀하기로서니 그 병이 귀하기까지 하겠어요?
세상물정 모르는 애들에게 걸린 그 병이 그렇게 귀해요?
그렇게 귀하면 '희귀병'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다 가져가면 되겠네요. 애먼 애들 괴롭히지 말고...

혹시 모르겠습니다. 의사가 연구목적으로 세상에 별로 없는 어떤 병을 찾는다면 그건 희귀병이라고 할 수 있을지 모릅니다.
그러나 치료약도 없고 치료방법도 모르는 병에 걸린 사람에게 희귀병에 걸렸다고 하면
그건 그 병에 걸린 사람과 그 식구를 욕하는 겁니다.
말뜻을 몰라 실수로 아픈 사람을 우롱하고 조롱하며 비꼰 게 아니라
말 한마디 잘못 써서 그 사람들 가슴에 평생 대못을 박는 겁니다.

굳이 그런 낱말을 만들고 싶으면 '희소병'이라고 하는 게 좋을 겁니다.
'희소'는
드물 희(稀) 자에 적을 소(少) 자를 써서
"매우 드물고 적음"이라는 뜻이므로 '희소병'은 말이 되죠.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난치병은 올라 있지만, 희귀병과 희소병은 올라 있지 않습니다.
제발 바라건데, 희귀병을 표제어로 올리지는 말아주십시오.
방송에서 언죽번죽 희귀병을 떠든다고 사전까지 그렇게 따라가서는 안 되잖아요.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손대기]

안녕하세요.

어젯밤 KBS비타민에서 '피로 회복'이라고 했습니다.
'원기'라면 몰라도 '피로'를 회복해서 어디에 쓰시려는지 모르겠습니다.
'피로 해소'나 '원기 회복'이 맞을 것 같은데...

저는 제 딸을 참 좋아합니다.
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함함하다고 한다죠?
누가 뭐래도 저는 못생긴 제 딸이 참 예쁘고 사랑스럽습니다.

며칠 전이 다섯 살 되는 생일이었습니다. 이제는 제법 손대기 노릇도 합니다.
그래서 어제 나라말지키기서명운동에 데리고 갔습니다.
아빠가 하는 일도 보고, 우리말 사랑이 뭔지도 직접 느껴보고,
또, 손대기로 저를 좀 도와주기도 하고...^^*

우리말에 '손대기'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이름씨(명사)로 "잔심부름을 할 만한 아이"라는 뜻입니다.

제 딸내미는 제법 말귀를 알아들으니
어제 서명받을 때 손대기 노릇을 톡톡히 했습니다.

이런 제 딸 지안이가 저는 참 좋습니다.
사랑한다 지안아!
그리고 이 아빠를 찾아와 줘서 정말 고맙다 지안아! ^_____^*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6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02
1476 [2012/07/0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2-07-04 3609
1475 [2008/12/01] 우리말) 알심 id: moneyplan 2008-12-01 3609
1474 [2012/06/08] 우리말) 센티미터 머니북 2012-06-08 3608
1473 [2010/11/23] 우리말) 골덴과 코르텐 moneybook 2010-11-23 3608
1472 [2010/02/26] 우리말) 헝겁과 헝겊 id: moneyplan 2010-02-26 3608
1471 [2008/04/17] 우리말) 눈가에 생긴 잔주름 id: moneyplan 2008-04-18 3608
1470 [2015/07/09] 우리말) 너무 머니북 2015-07-10 3607
1469 [2008/02/20] 우리말) 빚쟁이 id: moneyplan 2008-02-20 3607
1468 [2008/01/16] 우리말) 캐주얼을 우리말로 하면? id: moneyplan 2008-01-16 3607
1467 [2007/07/30] 우리말) 담백한 게 아니라 깔끔한 것 입니다 id: moneyplan 2007-07-31 3607
1466 [2017/03/29] 우리말) 씨양이질 머니북 2017-03-30 3606
1465 [2008/08/13] 우리말) 나부끼다와 나붓기다 id: moneyplan 2008-08-13 3606
1464 [2014/09/22] 우리말) 야식과 밤참 머니북 2014-09-22 3605
1463 [2012/10/17] 우리말) 편지 두 개 소개 머니북 2012-10-17 3605
1462 [2007/09/28] 우리말) 고바위에 오르다? id: moneyplan 2007-09-28 3605
1461 [2017/04/21] 우리말) 맑순 주세요 머니북 2017-04-22 3604
1460 [2013/08/09] 우리말) 공골차다 머니북 2013-08-12 3603
1459 [2011/12/21] 우리말) 종군위안부(2) 머니북 2011-12-21 3603
1458 [2014/01/21] 우리말) 사전 머니북 2014-01-21 3603
1457 [2013/11/19] 우리말) 웬과 왠지 머니북 2013-11-19 3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