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08] 우리말) 정확과 적확

조회 수 3125 추천 수 82 2009.06.08 09:07:20
'적확'은 과녁 적(的) 자와 확실할 확(確) 자를 써서 "경우나 상황에 꼭 맞아 확실함", "정확하게 맞아 조금도 틀리지 아니하다."라는 뜻입니다.
'정확'은 바를 정(正) 자와 확실할 확(確) 자를 써서 바르고 확실하다는 뜻입니다.
뜻풀이가 비슷한 것 같지만 다릅니다.
적확은 적격 여부 판단에 쓰이고,
정확은 정오판단에 쓰인다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읽은 한국경제신문에 조문과 추모의 다른 점을 설명한 기사가 났네요.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060295401

그 기사를 마무리하는 끝 월이
'그것은 적확한 용어를 찾고 논리적 구사를 생명으로 하는 언어에서 자칫 '대충' 써도 통한다는 그릇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조심해야 할 일이다.'입니다.
참으로 옳으신 말씀입니다.

오늘은 앞 월에서 나온 '적확한 용어'에 쓰인 '적확'을 알아볼게요.

'적확'은 과녁 적(的) 자와 확실할 확(確) 자를 써서 "경우나 상황에 꼭 맞아 확실함", "정확하게 맞아 조금도 틀리지 아니하다."라는 뜻입니다.
'정확'은 바를 정(正) 자와 확실할 확(確) 자를 써서 바르고 확실하다는 뜻입니다.
뜻풀이가 비슷한 것 같지만 다릅니다.
적확은 적격 여부 판단에 쓰이고,
정확은 정오판단에 쓰인다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보기를 들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이것이 '적확'할 것이다,
2 더하기 3은 5가 되어야 '정확'한 답이 된다.

기사를 다시 보면,
'그것은 적확한 용어를 찾고...'는
'그것은 알맞은(또는 올바른) 용어를 찾고...'라는 뜻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조문과 추모이야기를 하다 보니 돌아가신 분이 또 생각나네요.
거듭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오늘 편지에서 소개한 기사는
정확과 적확의 다른 점을 보고자 소개한 것입니다.
기사의 내용과 제 생각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청설모가 아니라 청서]

안녕하세요.

아침에 일터에 나오자마자 얼토당토않은 소리를 들어서 언짢은데,
우리말 편지도 언짢은 소리로 시작하네요.

오늘 아침 7시 11분 KBS2에서 가평군 잣나무 이야기하면서
청설모가 잣을 다 따먹는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죽었다 깨나도 청설모는 잣을 따 먹을 수 없습니다.
청설모는 靑鼠毛로
붓을 매는 데 쓰는 날다람쥐의 털일 뿐입니다.
청설모는 털이지 동물이 아닙니다.
털이 무슨 재주로 잣을 따 먹나요?

아침 일찍이라 KBS 기계가 고장났었나 봅니다.
설마 KBS에 계시는 직원분들이 이런 것도 모를 리는 없잖아요.

몸빛은 잿빛 갈색이며 네 다리와 귀의 긴 털은 검은색인,
다람쥐처럼 생긴 동물은 청설모가 아니라 '청서'입니다.

푸를 청(靑) 자에 쥐 서(鼠) 자를 쓰는 靑鼠의 털이 청설모(靑鼠毛)입니다.
(왜 청서모가 아니라 청설모라고 읽는지는 모릅니다. )

오늘 하루가 재밌을 것 같습니다.
아침부터 뭔가 일이 터지기 시작하면 온종일 일이 터지더군요. ^^*
까짓것 어차피 해야 할 일 제대로 한 판 붙어보죠 뭐. ^___^*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03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593
776 [2011/07/1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1-07-15 3804
775 [2016/12/21] 우리말) 첫걸음 머니북 2016-12-23 3804
774 [2010/12/01] 우리말) 두껍다/두텁다 moneybook 2010-12-01 3805
773 [2015/03/09] 우리말) 봉오리와 봉우리 머니북 2015-03-09 3806
772 [2011/08/24] 우리말) 잘코사니 머니북 2011-08-24 3807
771 [2008/12/31] 우리말) 중동무이 id: moneyplan 2008-12-31 3809
770 [2012/05/24] 우리말) 주스 머니북 2012-05-24 3809
769 [2017/01/18] 우리말) 정지훈/정 지훈 머니북 2017-01-19 3812
768 [2013/02/27] 우리말) 진돗개와 진도견 머니북 2013-02-27 3813
767 [2007/03/05] 우리말) 노총을 아세요? id: moneyplan 2007-03-05 3814
766 [2007/03/08] 우리말) 껄쩍지근한 CNN id: moneyplan 2007-03-09 3814
765 [2007/06/28] 우리말) 워크샵과 워크숍 id: moneyplan 2007-06-28 3814
764 [2017/10/26] 우리말) 제비 머니북 2017-11-06 3814
763 [2008/09/01] 우리말) 선탠을 우리말로 하면? id: moneyplan 2008-09-01 3817
762 [2013/06/04] 우리말) 후순위와 차순위 머니북 2013-06-04 3818
761 [2010/01/05] 우리말) 첫과 처음 id: moneyplan 2010-01-05 3819
760 [2007/04/11] 우리말) 비빔밥을 버무리다 id: moneyplan 2007-04-11 3820
759 [2007/06/21] 우리말) '몽골어'와 '몽골 어' id: moneyplan 2007-06-21 3820
758 [2008/06/09] 우리말) 능놀다 id: moneyplan 2008-06-09 3820
757 [2009/01/12]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1-12 3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