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11] 우리말) 주책과 주착, 채비와 차비

조회 수 3450 추천 수 93 2009.06.11 09:07:45
표준어 규정 제19항을 보면
"어감이 차이를 나타내는 단어 또는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차비'와 '채비'는 모두 표준어로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무척 더울 거라고 하네요. 잘 견디시길 빕니다. ^^*

아마도 오늘이나 내일쯤 제 일터에 인사가 있으려나 봅니다.
제가 이곳 본청으로 온 지 벌써 3년이 지났으니 이제 연구실로 돌아갈 때가 된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슬슬 돌아갈 채비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은 채비와 차비의 다른 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어떤 일을 하는 데 필요한 물건, 자세 따위를 미리 갖추어 차림. 또는 그 물건이나 자세를 '채비'라고도 하고 '차비'라고도 합니다.
어떤 게 맞을까요?

실은, 차비(差備)는 채비의 본딧말입니다.
'차비'가 음운변화를 일으켜 '채비'로 굳어진 겁니다.
표준어 규정 제19항을 보면
"어감이 차이를 나타내는 단어 또는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차비'와 '채비'는 모두 표준어로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둘 가운데 아무거나 쓰셔도 됩니다.

제가 주책이네요. 아직 발령도 안 났는데 벌써 짐 옮길 생각이나 하고 있으니... ^^*
'주책'은 '주착(主着)'에서 왔습니다.
그러나 주착보다는 주책이 훨씬 자주 쓰이기에 주착을 버리고 주책만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제가 주책이네요. ^^*

그래도 얼른 편지 써 놓고 돌아갈 채비를 해야겠네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가없는 사랑]

안녕하세요.

고향에 잘 다녀오셨나요?
저는 갈 때는 쉽게 갔는데 올 때는 무려 열다섯 시간이나 걸렸습니다.
해남... 정말 멀더군요. ^^*

그렇게 어렵게 고생하며 간 고향이지만 그래도 어머니 손 한번 잡고 오면 다시 힘이 납니다.
또 올라올 때 어머니가 이것저것 바리바리 싸 주시잖아요.
꾸준히 뭔가를 주시고도 또 주시는 것이 바로 부모님의 사랑인가 봅니다.

흔히,
부모님의 큰 사랑을 말할 때 '가이없는 사랑'이라고 합니다.
아닙니다. '가없는 사랑'이 맞습니다.

'가'는
"경계에 가까운 바깥쪽 부분"이라는 뜻입니다. 곧 '가장자리'라는 뜻이죠.
따라서 '가없다'는
끝을 알 수 없다는 뜻이 됩니다.
부모님의 사랑이 그만큼 넓고 깊다는 뜻일 겁니다.

고향에 가셔서 부모님 뵙고,
삶에 찌든 때를 다 벗기고 오셨으니
이제 새롭게 시작합시다. ^^*

저도 아침에 결재 들어가려고 한 시간쯤 전에 나와서
벌써 한 건 해치웠네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 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7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01
1716 [2015/05/21] 우리말) 사전에 이런 말도... 머니북 2015-05-26 3427
1715 [2016/08/04] 우리말) 헤어지다/해어지다 머니북 2016-08-10 3427
1714 [2007/10/02] 우리말) 청설모가 아니라 청서 id: moneyplan 2007-10-02 3428
1713 [2008/01/03] 우리말) 풋낯 id: moneyplan 2008-01-03 3428
1712 [2013/08/07]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8-07 3428
1711 [2008/12/03] 우리말) 찾다와 뒤지다 id: moneyplan 2008-12-04 3429
1710 [2010/10/19] 우리말) 끼적이다 moneybook 2010-10-19 3429
1709 [2012/11/13] 우리말) 자배기 머니북 2012-11-13 3429
1708 [2010/03/09] 우리말) 독장수셈 id: moneyplan 2010-03-09 3430
1707 [2010/05/25] 우리말) 나와바리 id: moneyplan 2010-05-25 3430
1706 [2012/04/20]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써야 합니다 머니북 2012-04-20 3430
1705 [2013/01/16] 우리말) 야미 머니북 2013-01-17 3430
1704 [2014/06/20] 우리말) 노랫말의 반칙 머니북 2014-06-20 3430
1703 [2008/02/21] 우리말) 농촌진흥청이 감치도록 야젓하게 일할 겁니다 id: moneyplan 2008-02-21 3431
1702 [2009/08/04] 우리말) 지긋이와 지그시 id: moneyplan 2009-08-04 3431
1701 [2012/06/26] 우리말) '폭염'과 '불볕더위' 머니북 2012-06-26 3431
1700 [2012/10/30] 우리말) 이르다와 빠르다 머니북 2012-10-30 3431
1699 [2007/07/05] 우리말) 잔불과 뒷불 id: moneyplan 2007-07-05 3432
1698 [2009/11/02] 우리말) 대강 넘기려고... id: moneyplan 2009-11-02 3433
1697 [2012/12/06] 우리말) 이면도로 머니북 2012-12-06 3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