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11] 우리말) 주책과 주착, 채비와 차비

조회 수 3400 추천 수 93 2009.06.11 09:07:45
표준어 규정 제19항을 보면
"어감이 차이를 나타내는 단어 또는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차비'와 '채비'는 모두 표준어로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무척 더울 거라고 하네요. 잘 견디시길 빕니다. ^^*

아마도 오늘이나 내일쯤 제 일터에 인사가 있으려나 봅니다.
제가 이곳 본청으로 온 지 벌써 3년이 지났으니 이제 연구실로 돌아갈 때가 된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슬슬 돌아갈 채비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은 채비와 차비의 다른 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어떤 일을 하는 데 필요한 물건, 자세 따위를 미리 갖추어 차림. 또는 그 물건이나 자세를 '채비'라고도 하고 '차비'라고도 합니다.
어떤 게 맞을까요?

실은, 차비(差備)는 채비의 본딧말입니다.
'차비'가 음운변화를 일으켜 '채비'로 굳어진 겁니다.
표준어 규정 제19항을 보면
"어감이 차이를 나타내는 단어 또는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차비'와 '채비'는 모두 표준어로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둘 가운데 아무거나 쓰셔도 됩니다.

제가 주책이네요. 아직 발령도 안 났는데 벌써 짐 옮길 생각이나 하고 있으니... ^^*
'주책'은 '주착(主着)'에서 왔습니다.
그러나 주착보다는 주책이 훨씬 자주 쓰이기에 주착을 버리고 주책만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제가 주책이네요. ^^*

그래도 얼른 편지 써 놓고 돌아갈 채비를 해야겠네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가없는 사랑]

안녕하세요.

고향에 잘 다녀오셨나요?
저는 갈 때는 쉽게 갔는데 올 때는 무려 열다섯 시간이나 걸렸습니다.
해남... 정말 멀더군요. ^^*

그렇게 어렵게 고생하며 간 고향이지만 그래도 어머니 손 한번 잡고 오면 다시 힘이 납니다.
또 올라올 때 어머니가 이것저것 바리바리 싸 주시잖아요.
꾸준히 뭔가를 주시고도 또 주시는 것이 바로 부모님의 사랑인가 봅니다.

흔히,
부모님의 큰 사랑을 말할 때 '가이없는 사랑'이라고 합니다.
아닙니다. '가없는 사랑'이 맞습니다.

'가'는
"경계에 가까운 바깥쪽 부분"이라는 뜻입니다. 곧 '가장자리'라는 뜻이죠.
따라서 '가없다'는
끝을 알 수 없다는 뜻이 됩니다.
부모님의 사랑이 그만큼 넓고 깊다는 뜻일 겁니다.

고향에 가셔서 부모님 뵙고,
삶에 찌든 때를 다 벗기고 오셨으니
이제 새롭게 시작합시다. ^^*

저도 아침에 결재 들어가려고 한 시간쯤 전에 나와서
벌써 한 건 해치웠네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 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02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592
776 [2016/12/21] 우리말) 첫걸음 머니북 2016-12-23 3803
775 [2017/07/11] 우리말) 부처님 오신 날 머니북 2017-07-11 3803
774 [2011/07/1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1-07-15 3804
773 [2010/12/01] 우리말) 두껍다/두텁다 moneybook 2010-12-01 3805
772 [2011/08/24] 우리말) 잘코사니 머니북 2011-08-24 3807
771 [2008/12/31] 우리말) 중동무이 id: moneyplan 2008-12-31 3809
770 [2012/05/24] 우리말) 주스 머니북 2012-05-24 3809
769 [2013/02/27] 우리말) 진돗개와 진도견 머니북 2013-02-27 3812
768 [2017/01/18] 우리말) 정지훈/정 지훈 머니북 2017-01-19 3812
767 [2007/03/05] 우리말) 노총을 아세요? id: moneyplan 2007-03-05 3814
766 [2007/03/08] 우리말) 껄쩍지근한 CNN id: moneyplan 2007-03-09 3814
765 [2007/06/28] 우리말) 워크샵과 워크숍 id: moneyplan 2007-06-28 3814
764 [2017/10/26] 우리말) 제비 머니북 2017-11-06 3814
763 [2008/09/01] 우리말) 선탠을 우리말로 하면? id: moneyplan 2008-09-01 3817
762 [2013/06/04] 우리말) 후순위와 차순위 머니북 2013-06-04 3818
761 [2009/01/12]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1-12 3819
760 [2010/01/05] 우리말) 첫과 처음 id: moneyplan 2010-01-05 3819
759 [2007/04/11] 우리말) 비빔밥을 버무리다 id: moneyplan 2007-04-11 3820
758 [2007/06/21] 우리말) '몽골어'와 '몽골 어' id: moneyplan 2007-06-21 3820
757 [2008/06/09] 우리말) 능놀다 id: moneyplan 2008-06-09 3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