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24] 우리말) 짝꿍과 맞짱

조회 수 3079 추천 수 93 2009.06.24 08:36:08
짝꿍은 몇 년 전까지는 '짝궁'이 표준말이었습니다.
그러나 맞춤법 규정에 '말의 본래 의미가 사라진 말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
'짝궁'이 아니라 '짝꿍'으로 적는 게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새로운 일터로 온 지 이제 겨우 10일 남짓 되었는데,
옛 일터가 무척 그립네요.
같이 손발 맞추면서 일했던 짝꿍도 보고 싶고...
이승돈 박사! 나 없어도 잘 살아? 나는 날마다 네가 보고 싶은데, 너는 나 안 보고 싶어?

일을 할 때 "짝을 이루는 동료"를 짝꿍이라고 합니다.
뜻이 맞거나 매우 친한 사람을 이르는 말이기도 합니다.
10여 일 전까지 제 짝꿍이 이승돈 박사였습니다.

짝꿍은 몇 년 전까지는 '짝궁'이 표준말이었습니다.
그러나 맞춤법 규정에 '말의 본래 의미가 사라진 말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
'짝궁'이 아니라 '짝꿍'으로 적는 게 바릅니다.

말 나온 김에 하나 더 하죠.
흔히 일대일로 맞서 싸우는 것을 속되게 이를 때 '맞짱'이라고 합니다.
맞짱 뜨다나 맞짱 까다고 하죠.
이 맞짱도 '맞장'이 아니라 '맞짱'이 표준말입니다.
1988년 표준국어대사전을 만들 때는 표제어가 아니었으나 언제부터인가 인터넷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표준말로 올라 있습니다.
이 또한 '말의 본래 의미가 사라진 말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
'맞장'이 아니라 '맞짱'이라 써야 바릅니다.

내 짱꿍 이 박사!
보고 싶다 친구야...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비거스렁이]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전북에서 놀다왔습니다. ^^*

오늘 아침 무척 쌀쌀하죠?
주말에 비가 내렸고,
그 뒤에 이렇게 바람이 불고 기온이 낮아졌네요.
바로 이런 현상을 나타내는 우리말이 있습니다.
우리말 편지에서 몇 번 소개한
'비거스렁이'라는 이름씨가 바로 그 낱말입니다.
"비가 갠 뒤에 바람이 불고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으로
비가 그치고 난 뒤, 비거스렁이를 하느라고 바람이 몹시 매서웠다처럼 씁니다.

이런 좋은 낱말을 아침 뉴스에서 들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날씨가 쌀쌀해질 것 같으니 옷을 잘 챙겨 입으시라는 말씀보다는
비거스렁이 할 것 같으니 옷을 잘 챙겨 입으시라는 말씀이 더 멋지지 않나요?

고맙습니다.

이번 주도 부지런히 일하고 주말에는 열심히 놀아야죠?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2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51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698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711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755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763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763
2671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791
2670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794
2669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802
2668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802
2667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805
2666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817
2665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818
2664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828
2663 [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머니북 2016-08-10 2832
2662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834
2661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836
2660 [2016/01/25] 우리말) 망고하다 머니북 2016-01-26 2839
2659 [2016/07/04] 우리말) 욱여넣다 머니북 2016-07-06 2839
2658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840
2657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