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7/03] 우리말) 시가와 싯가

조회 수 3261 추천 수 101 2009.07.03 08:55:14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이렇게 딱 여섯 가지 경우만 사이시옷을 쓰고 다른 한자어 - 한자어의 합성에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사이시옷은 고유어와 한자어의 합성에만 사용된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사이시옷 이야기 하나 더할게요.
우리말에 한자에서 온 게 많다 보니,
합성어도 그런 게 많습니다.
횟집에 가면 가격판에 '싯가'라고 쓰인 것을 보셨을 겁니다.
이는 시장에서 상품이 매매되는 가격인 시장(市場) 가격(價格)일겁니다.
이를 합쳐 市價가 된 거죠.
이를 '시가'라고 해야 할까요, '싯가'라고 해야 할까요?

소리는 비록 [시:까]로 나지만 '시가'라고 적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맞춤법 규정에 아래 여섯 가지 말고는 한자어 - 한자어의 합성어에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고 규정했기 때문입니다.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이렇게 딱 여섯 가지 경우만 사이시옷을 쓰고 다른 한자어 - 한자어의 합성에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무슨 수준 높은 논리가 있는지는 모르지만,
위에 있는 여섯 낱말 말고는 사이시옷을 쓰면 안 됩니다.
따라서 시가, 대가, 소수, 호수, 이점, 대수, 초점이라 써야 바릅니다.
시가가 市街인지 市價인지 모르겠고,
대가가 大家인지 代價인지,
소수가 小數인지 素數인지,
호수가 湖水인지 戶數인지,
이점이 二點인지 利點인지,
대수는 代數인지 臺數인지 나눌 수가 없습니다.

이런 애매한 규정 때문에, 한자 쓰기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자주 드는 보기가,
'소장이 법원에 갔다.'가 무슨 말이냐는 것입니다.
연구소 소장이 법원에 갔다는 말인지,
공소장을 법원으로 보냈다는 말인지 모르니 한자를 써서 뜻을 확실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죠.
이 문제만큼은 국어학자들도 할 말이 없을 겁니다. 제 생각에...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손대기]

안녕하세요.

어젯밤 KBS비타민에서 '피로 회복'이라고 했습니다.
'원기'라면 몰라도 '피로'를 회복해서 어디에 쓰시려는지 모르겠습니다.
'피로 해소'나 '원기 회복'이 맞을 것 같은데...

저는 제 딸을 참 좋아합니다.
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함함하다고 한다죠?
누가 뭐래도 저는 못생긴 제 딸이 참 예쁘고 사랑스럽습니다.

며칠 전이 다섯 살 되는 생일이었습니다. 이제는 제법 손대기 노릇도 합니다.
그래서 어제 나라말지키기서명운동에 데리고 갔습니다.
아빠가 하는 일도 보고, 우리말 사랑이 뭔지도 직접 느껴보고,
또, 손대기로 저를 좀 도와주기도 하고...^^*

우리말에 '손대기'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이름씨(명사)로 "잔심부름을 할 만한 아이"라는 뜻입니다.

제 딸내미는 제법 말귀를 알아들으니
어제 서명받을 때 손대기 노릇을 톡톡히 했습니다.

이런 제 딸 지안이가 저는 참 좋습니다.
사랑한다 지안아!
그리고 이 아빠를 찾아와 줘서 정말 고맙다 지안아! ^_____^*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46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994
536 [2011/03/17] 우리말) 방사선과 방사능 moneybook 2011-03-17 3287
535 [2010/07/12] 우리말) 진검승부와 자매결연 [1] moneybook 2010-07-12 3287
534 [2013/09/03] 우리말) 재미 머니북 2013-09-03 3286
533 [2013/10/10] 우리말) 시들다 머니북 2013-10-10 3286
532 [2010/08/19] 우리말) 민얼굴과 맨얼굴 moneybook 2010-08-19 3286
531 [2009/09/30] 우리말) 해쌀과 햅쌀 id: moneyplan 2009-09-30 3286
530 [2016/12/07] 우리말) 중앙일보 만평에 나온 낱말 머니북 2016-12-07 3285
529 [2010/12/10] 우리말) 책 소개 moneybook 2010-12-10 3285
528 [2010/09/14] 우리말) 머드러기와 도사리 moneybook 2010-09-14 3285
527 [2008/12/09] 우리말) 잔불과 뒷불 id: moneyplan 2008-12-09 3285
526 [2016/10/11] 우리말) 소수나다 머니북 2016-11-01 3284
525 [2009/12/17] 우리말) 빙그르르 id: moneyplan 2009-12-17 3282
524 [2014/10/31] 우리말) 큰물/시위/물마 머니북 2014-10-31 3281
523 [2015/11/02] 우리말) 생무지 머니북 2015-11-02 3280
522 [2015/02/13] 우리말) 올림픽 선수 로마자 이름 쓰기 머니북 2015-02-13 3280
521 [2010/12/15] 우리말) 올겨울과 이번 겨울 moneybook 2010-12-15 3280
520 [2009/12/01] 우리말) 덤터기 id: moneyplan 2009-12-01 3280
519 [2008/05/15]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8-05-15 3280
518 [2017/04/06] 우리말) 후리지아 -> 프리지어 머니북 2017-04-06 3279
517 [2010/10/0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0-10-04 3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