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7/15] 우리말) 이따가와 있다가

조회 수 3180 추천 수 102 2009.07.15 08:27:59
쉽게 갈라보면,
어딘가에 존재한다는 뜻이 있으면 '있다가'를 쓰고,
그렇지 않으면 '이따가'를 쓴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웬 비가 이리 많이 오는지 모르겠습니다.
다들 피해가 없기를 빕니다.

요즘 제가 하는 일은 예전부터 하던 일이 아니라 모든 일이 무척 긴장됩니다.
제가 실수하면 제가 속한 기관이 실수한 게 되니 더 부담이 됩니다.
정신 바짝 차리고 살려고 하는데, 이놈의 건망증은 어쩔 수 없네요.

그제는
점심 먹으러 가려고 차 열쇠를 찾는데, 아무리 찾아도 없는 겁니다.
아마도 10분 넘게 책상을 뒤졌을 겁니다.
그때 누군가 전화를 하더군요.
"지금 어디 나갈 거야? 왜 차 시동은 걸어놨어?"
허걱... 제가 차에서 내리면서 열쇠를 안 빼고 그냥 나온 겁니다.

어제는
오전까지 잘 썼던 휴대전화가 안 보이는 겁니다.
은행 현금지급기에 가도 없고, 차에도 없고, 전화를 걸어도 아무도 안 받고...
나중에 알고 보니 강당 의자 위에 올려져 있더군요.
쩝... 제가 이렇습니다.

전화기 두 대를 잡고 통화하거나 쪽지창(메신저)을 하면서 통화할 때는 습관적으로 "이따 연락할게!"라고 말해 놓고는 금방 잊어버립니다.
제가 생각해도 보통 심각한 게 아닙니다.
벌써 이렇게 건망증이 심해서 어떡하려고 이러는지 모르겠습니다.

건망증이 없어지길 빌며 오늘 편지를 씁니다. ^^*
[이따가]로 소리 나는 말은 '있다가'와 '이따가'가 있습니다.
'있다가'는 '있'에 씨끝(어미) '다가'가 붙은 것으로 '있다'는 뜻과 '다가'라는 뜻이 같이 들어 있습니다.
밥을 먹다가 신문을 봤다나, 오다가 만났다, 집에 있다가 들켰다처럼 씁니다.

그러나
'이따가'는 "조금 지난 뒤에"라는 뜻의 어찌씨(부사)입니다.
준말이 '이따'입니다.
있다, 없다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쉽게 갈라보면,
어딘가에 존재한다는 뜻이 있으면 '있다가'를 쓰고,
그렇지 않으면 '이따가'를 쓴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이따가 갈게'에는 존재의 뜻이 없이 잠시 뒤라는 뜻만 있으므로 '이따가'를 쓰고,
'동치미는 이따가 입가심할 때나 먹고'에서도 존재의 뜻이 없으므로 '이따가'를 씁니다.

'굴속에 느긋하게 있다가 밤에 돌아다녀라.'나
'2년여를 병상에 누워 있다가 2003년 눈을 감았다.'는
어디에 존재한다는 뜻이 있으므로 '있다가'를 씁니다.

쉽게 가르실 수 있죠?

'이따가' 저녁에 술자리가 있는데 걱정이네요.
요즘은 술을 많이 마시면 가끔 기억 줄을 놓거든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선글라스 맨]

안녕하세요.

며칠 전에 탈레반에 잡혀 있던 우리나라 사람들이 풀려났죠? 참으로 다행입니다.
탈레반과 협상할 때, 검은색 안경을 쓴 우리나라 협상 대표가 인상적이었는데요.
누리집에 보니 '선글라스 맨'이라는 꼭지로 사진이 돌아다니고 있네요.

우리는 보통 [썬그라스]라고 하는데 왜 '선글라스'라고 쓰죠?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이루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곧, 외래어 단어 두 개가 모여 하나의 단어가 되었을 때는
각각의 단어 발음을 그대로 쓰는 것이죠.

따라서,
sunglass는 태양이라는 sun[선]과 유리라는 glass[글라스]가 합쳐진 말이므로,
'선글라스'라고 쓰는 게 맞습니다.

이런 게 또 있습니다.
얼마 전에 소개해 드린 highlight입니다.
high의 발음이 [하이]이고, light의 발음이 [라이트]라서,
highlight의 발음도 [하일라이트]가 아니라 [하이라이트]가 되는 겁니다.

또,
태양 sun이 [썬]이 아니라 [선]인 까닭도 외래어 표기법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외래어를 적을 때 원칙적으로 된소리를 쓰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미 굳어버린 빵, 껌 따위는 어쩔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쓰는 낱말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습니다.
그래서 뻐스가 아니라 버스고,
빠리가 아니라 파리고,
까페가 아니라 카페고,
씨스템이 아니라 시스템이고,
싸이클이 아니라 사이클이고,
르뽀가 아니라 르포고,
써비스가 아니라 서비스입니다.

'선그라스'라는 낱말 하나로도 이렇게 할 말이 많답니다. ^^*

이번 주도 많이 웃으시길 빕니다.
웃는 데는 돈이 들지 않습니다. ^____^*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표준국어대사전에따르면 '글라스'는 '유리잔'으로 다듬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60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175
796 [2009/07/28] 우리말) 졸리다와 졸립다 id: moneyplan 2009-07-28 3166
795 [2009/07/27] 우리말) 믿음으로와 믿으므로 id: moneyplan 2009-07-28 3122
794 [2009/07/24] 우리말) 직수굿하다 id: moneyplan 2009-07-24 3035
793 [2009/07/23] 우리말) 옷깃 id: moneyplan 2009-07-23 2962
792 [2009/07/22] 우리말) 한가하다와 느긋하다 id: moneyplan 2009-07-22 3188
791 [2009/07/21] 우리말) 체면치레 id: moneyplan 2009-07-21 3375
790 [2009/07/20]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7-20 3202
789 [2009/07/17] 우리말) 예전에 보낸 지킴이 인사말 id: moneyplan 2009-07-17 2938
788 [2009/07/16] 우리말) 외래어표기법 받침 id: moneyplan 2009-07-16 3617
» [2009/07/15] 우리말) 이따가와 있다가 id: moneyplan 2009-07-15 3180
786 [2009/07/14] 우리말) 세뇌 id: moneyplan 2009-07-14 3106
785 [2009/07/13] 우리말) 여러 가지 비 id: moneyplan 2009-07-13 3393
784 [2009/07/10] 우리말) 예전 편지로... id: moneyplan 2009-07-10 3163
783 [2009/07/09] 우리말) 도리기와 도르리 id: moneyplan 2009-07-09 3061
782 [2009/07/0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7-09 2815
781 [2009/07/07] 우리말) 붓날다와 새롱거리다 id: moneyplan 2009-07-07 3119
780 [2009/07/06] 우리말) 두절개 id: moneyplan 2009-07-06 3076
779 [2009/07/03] 우리말) 시가와 싯가 id: moneyplan 2009-07-03 3177
778 [2009/07/02] 우리말) 핑크빛과 핑크ㅅ빛 id: moneyplan 2009-07-02 3090
777 [2009/07/01] 우리말) 뒷풀이와 뒤풀이 id: moneyplan 2009-07-01 4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