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7/17] 우리말) 예전에 보낸 지킴이 인사말

조회 수 2973 추천 수 79 2009.07.17 12:50:45
예전에 보낸 편지를 붙입니다.


안녕하세요.

아침부터 정신없이 바쁘네요.
7시에 일터에 나와 이제야 책상에 앉았습니다.

오늘도 편지 쓸 시간이 없어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마침, 2007년에 한글학회와 문화관광부에서 지킴이로 지정받았을 때 했던 인사말을 보낼 차례네요.
아래에 붙입니다.

오늘도 중부지방에 비가 많이 내릴 거라고 합니다.
다들 피해 없기를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지킴이 인사말]

안녕하세요.

방금 우리 말글 지킴이가 된 성제훈입니다.
저는 농촌진흥청에서 일하고 있는데요. 국립국어원에 학예연구사가 있듯이, 저는 농촌진흥청에서 일하는 농업연구사입니다.
어찌 보면 국어, 우리말과 전혀 상관이 없는 것 같은 제가 우리 말글 지킴이가 되었습니다.

몇 년 전에 어떤 배우가 상을 받으면서 "감독님과 배우들이 잘 차려놓은 밥상에서 저는 맛있게 먹기만 했는데, 이런 큰 상을 받게 되었다"라고 말했습니다.
지금 제가 딱 그 꼴입니다. 제가 아침마다 편지를 보내기는 하지만, 국어학자들이 만든 문법을 책에서 따오고, 문법에 맞게 쓴 보기를 사전에서 따와서 편지를 씁니다.
다만, 편지에 제 식구 이야기나 일터이야기를 버무려 보낼 뿐입니다. 그러니 남들이 잘 차려놓은 밥상에서 제가 맛있게 먹은 것뿐이죠.

또, 시상 자리에서 자주 듣는 말이, 별로 한 것도 없는데 이렇게 큰 상을 주셔서 고맙습니다. 더 열심히 하라는 뜻으로 알고 고맙게 받겠습니다... 뭐 이런 말입니다.
이 말도 지금 저에게 딱 어울리는 말입니다. 농업연구자가 농업기술이나 농업 상식을 다른 사람에게 쉽게 알리고자 우리말 공부를 시작했고, 그것을 주위 분들과 나누고 있을 뿐인데 이런 큰 상을 주셨습니다.
그러니 별로 한 것도 없는데 큰 상을 받았고, 앞으로도 꾸준히 하라는 격려와 다독거림일 수밖에요. 고맙습니다.

요즘을 흔히 정보화 사회라고 합니다. 몇 십 년 전에는 산업화 사회라고 했죠. 그러나 이것은 고작 100년 전입니다. 그 이전에는 농경 사회였습니다.
우리 조상도 수천수만 년 농사를 지으면서 살았습니다. 그래서 농업에는 우리 선조의 얼과 넋이 녹아 있습니다. 농업의 중요성을 꼭 먹을거리를 만드는 데서만 찾으면 안 됩니다. 우리 문화의 보물창고가 바로 농업입니다.
마침 제가 농업을 하고 있기에, 농업 속에 서려 있는 우리 조상의 숨결과 얼, 넋을 찾아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나누겠습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우리말 편지를 보내면서 우리말, 우리글, 우리 문화를 찾아 알리는데 힘쓰겠습니다.

끝으로, 오늘 이 자리는, 저에게 큰 영광이자 기쁨이지만, 한편 무척 부담스럽기도 합니다.
부담은 사랑하는 제 아내와 함께 짊어져 반으로 나누고, 기쁨은 제 아들딸과 함께 나눠 몇 배로 뻥튀기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1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79
2556 [2009/04/10] 우리말) 파렴치와 몰염치 id: moneyplan 2009-04-10 2970
2555 [2014/04/15] 우리말) 배지는 보람으로 머니북 2014-04-15 2972
2554 [2015/07/08] 우리말) 하굿둑(2) 머니북 2015-07-08 2972
2553 [2012/04/24] 우리말) 송춘종 어르신이 방송인에게 보낸 편지 머니북 2012-04-24 2973
» [2009/07/17] 우리말) 예전에 보낸 지킴이 인사말 id: moneyplan 2009-07-17 2973
2551 [2016/01/18] 우리말) 안틀다 머니북 2016-01-19 2976
2550 [2010/07/15] 우리말) 본데와 본때 moneybook 2010-07-15 2979
2549 [2016/04/04] 우리말) 만발 -> 활짝 머니북 2016-04-05 2980
2548 [2008/12/08] 우리말) 숫눈 id: moneyplan 2008-12-08 2982
2547 [2015/07/21] 우리말) 개발과 계발 머니북 2015-07-22 2983
2546 [2016/06/21] 우리말) 꼬리는 말고 꽁지는 빠지고 머니북 2016-06-26 2984
2545 [2015/11/09] 우리말) 이제야와 이제사 머니북 2015-11-09 2985
2544 [2010/03/25] 우리말) 가위 id: moneyplan 2010-03-25 2987
2543 [2014/12/31] 우리말) 요즘 쓸 말 머니북 2014-12-31 2989
2542 [2012/12/28] 우리말) 매무시와 매무새 머니북 2012-12-28 2990
2541 [2015/05/22] 우리말) 코르크 머니북 2015-05-26 2991
2540 [2016/10/19] 우리말) 굵어진 팔뚝 머니북 2016-11-01 2992
2539 [2014/11/10] 우리말) 어겹되다 머니북 2014-11-10 2993
2538 [2015/04/16] 우리말) 애성이 머니북 2015-04-16 2994
2537 [2009/03/24] 우리말) 나라비 id: moneyplan 2009-03-24 2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