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04] 우리말) 지긋이와 지그시

조회 수 3354 추천 수 88 2009.08.04 11:25:33
소리는 같지만 뜻은 다른 지긋이, 지그시...

나이가 지긋할수록 자주 지그시 눈을 감고 하루 일을 정리하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날씨가 무척 더울 것 같습니다.

저는 보통 7:40분쯤 일터에 나옵니다.
나오자마자 의자에 앉아 지그시 눈을 감고 아침에 할 일과 오늘 해야 할 일을 정리합니다.
그러고 나서 맨 처음 하는 일이 지금 하는 우리말편지를 쓰는 겁니다. ^^*

오늘이 '지그시'와 '지긋이'를 갈라보겠습니다.
소리(발음)가 같이 많은 분이 헷갈리시더군요.

'지그시'는 부사로 "슬며시 힘을 주는 모양"과 "조용히 참고 견디는 모양"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지그시 밟다, 지그시 누르다, 눈을 지그시 감다, 아픔을 지그시 참다처럼 씁니다.

'지긋이'는 '지긋하다'의 부사로
"나이가 비교적 많아 듬직하다."는 뜻입니다.
나이가 지긋하다, 나이가 지긋한 어르신처럼 씁니다.
"참을성 있게 끈지다."는 뜻도 있어
그는 어디를 가나 지긋하게 앉아 있지 못하고 금방 가자고 조른다처럼 씁니다.

소리는 같지만 뜻은 다른 지긋이, 지그시...

나이가 지긋할수록 자주 지그시 눈을 감고 하루 일을 정리하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말이 되나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비거스렁이]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전북에서 놀다왔습니다. ^^*

오늘 아침 무척 쌀쌀하죠?
주말에 비가 내렸고,
그 뒤에 이렇게 바람이 불고 기온이 낮아졌네요.
바로 이런 현상을 나타내는 우리말이 있습니다.
우리말 편지에서 몇 번 소개한
'비거스렁이'라는 이름씨가 바로 그 낱말입니다.
"비가 갠 뒤에 바람이 불고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으로
비가 그치고 난 뒤, 비거스렁이를 하느라고 바람이 몹시 매서웠다처럼 씁니다.

이런 좋은 낱말을 아침 뉴스에서 들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날씨가 쌀쌀해질 것 같으니 옷을 잘 챙겨 입으시라는 말씀보다는
비거스렁이 할 것 같으니 옷을 잘 챙겨 입으시라는 말씀이 더 멋지지 않나요?

고맙습니다.

이번 주도 부지런히 일하고 주말에는 열심히 놀아야죠?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34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963
1656 [2009/07/21] 우리말) 체면치레 id: moneyplan 2009-07-21 3366
1655 [2010/12/13] 우리말) 희소병 moneybook 2010-12-13 3366
1654 [2010/12/22] 우리말) 못 잊다 moneybook 2010-12-22 3366
1653 [2008/06/03] 우리말) 떠나는 순자 씨가 아쉬워서...... id: moneyplan 2008-06-05 3367
1652 [2012/01/19] 우리말) 알뜰 주유소 머니북 2012-01-19 3367
1651 [2012/11/13] 우리말) 자배기 머니북 2012-11-13 3367
1650 [2009/06/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6-16 3368
1649 [2010/12/07] 우리말) 추스르다 moneybook 2010-12-07 3368
1648 [2011/05/06]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moneybook 2011-05-06 3368
1647 [2008/04/23] 우리말) 꽃잎이 떨어지더라도 아쉬워 말자 id: moneyplan 2008-04-23 3369
1646 [2008/07/01] 우리말) 리터당과 리터에... id: moneyplan 2008-07-02 3369
1645 [2009/01/23] 우리말) 어영부영 id: moneyplan 2009-01-23 3369
1644 [2009/10/19] 우리말) 가차없다 id: moneyplan 2009-10-19 3369
1643 [2011/12/27] 우리말) 짬 머니북 2011-12-27 3369
1642 [2012/11/09] 우리말) 내년부터 한글날 쉽니다(2) 머니북 2012-11-09 3369
1641 [2014/03/10] 우리말) 붚대다 머니북 2014-03-10 3369
1640 [2007/10/23] 우리말) 도저를 살려 쓰자고요? id: moneyplan 2007-10-23 3370
1639 [2008/02/02] 우리말) 뉘누리... id: moneyplan 2008-02-02 3370
1638 [2009/02/05] 우리말) 야멸치다와 야멸차다 id: moneyplan 2009-02-05 3370
1637 [2012/05/10] 우리말) 금실과 금슬 머니북 2012-05-10 3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