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20] 우리말) 깨단하다

조회 수 3488 추천 수 98 2009.08.21 07:16:39
우리말에 '깨단하다'는 움직씨(동사)가 있습니다.
"오랫동안 생각해 내지 못하던 일 따위를 어떠한 실마리로 말미암아 깨닫거나 분명히 알다."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위성을 쏘지 못했네요. 왜 이리 안타까운 일이 많이 일어나는지 모르겠습니다.

돌아가신 분에 대한 평가도 참으로 여러 가지네요.
저는 안타까운 마음이 하늘을 찌를 정도지만, 그렇지 않으신 분도 계시고, 그런 제가 밉게 보이는 분도 계시나 봅니다.

우리말 편지는 어디까지나 개인이 보내는 편지이므로, 그냥 제 개인으로만 봐 주십시오.
돌아가신 김대중 전 대통령을 안타까워하는 마음도 제 마음일 뿐입니다. 남들에게 강요하고자 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말에 '깨단하다'는 움직씨(동사)가 있습니다.
"오랫동안 생각해 내지 못하던 일 따위를 어떠한 실마리로 말미암아 깨닫거나 분명히 알다."는 뜻입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을 왜 인동초라고 하는지 이제야 깨단할 수 있다,
그가 남북통일에 얼마나 정성을 쏟았는지 돌아가신 다음에 내 놓은 다른 나라의 평가를 듣고야 깨단할 수 있었다처럼 씁니다.

올 들어 부쩍 커버린 느낌입니다.
김수환 추기경 돌아가실 때 많이 반성했고, 노무현 전 대통령 돌아가실 때 크게 후회했었는데,
이번에는 허전한 마음을 억누르기 어려워 갈피를 못잡겠네요.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금새와 금세]

어제 제가 엄살을 좀 부렸더니,
많은 분이 걱정해 주셨네요.
여러분의 답장을 받으니 금세 힘이 솟습니다.
일이 아무리 많아도 여러분의 사랑을 믿고 열심히 하겠습니다.
역시 저는 복이 참 많습니다. ^^*

어제 보내주신 사랑에 제가 금세 힘이 솟았기에,
오늘은 금세를 알아볼게요.

금세는 "지금 바로"라는 뜻으로 '금시(今時)에'가 줄어든 말입니다.
소문이 금세 퍼졌다, 약을 먹은 효과가 금세 나타났다처럼 씁니다.

이 '금세'의 '새'를 '사이'의 준말 정도로 생각해
'금새'라고 쓰시는 분이 계십니다.
아닙니다.
'금세'는 '금시에'가 줄어서 된 낱말이므로 '금세'가 맞습니다.

금새는
"물건의 값"을 뜻하는 이름씨로
물건 값의 비싸고 싼 정도를 이릅니다.

'에'와 '애' 소리를 달리 내지 못해 벌어진 일이겠지만,
금세와 금새는 소리(발음)도 다르고 쓰는 것도 다릅니다.

제가 뭘 금세 잊어먹긴 하지만,
우리말을 사랑하는 여러분의 마음은 마음속 깊은 곳에 잘 간직하고 있습니다.
그건 절대 잊어버리지 않습니다.
저는 여러분이 한 말씀 해 주시면
아무리 힘이 없다가도 금세 힘이 나거든요.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18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729
1016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815
1015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4121
1014 [2013/03/07] 우리말) 가축하다와 눈부처 머니북 2013-03-07 4403
1013 [2013/03/08] 우리말) 감장하다 머니북 2013-03-08 3773
1012 [2013/03/11] 우리말) 명함 영문이름 머니북 2013-03-11 7981
1011 [2013/03/12] 우리말) 로마자 표기법 머니북 2013-03-12 3991
1010 [2013/03/12] 우리말)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머니북 2013-03-12 4115
1009 [2013/03/13] 우리말) 사달과 오두방정 머니북 2013-03-13 5045
1008 [2013/03/1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3-14 4778
1007 [2013/03/15] 우리말) 낯빛과 안색 머니북 2013-03-16 8218
1006 [2013/03/18] 우리말) 조선시대, 6~7살 이후는 아버지가 키워? 머니북 2013-03-18 3995
1005 [2013/03/19] 우리말) 바다나물과 먼산나물 머니북 2013-03-19 4070
1004 [2013/03/20] 우리말) '가사 피고가 경락을 경료해'가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머니북 2013-03-20 9694
1003 [2013/03/21] 우리말) 표준국어대사전 머니북 2013-03-21 3992
1002 [2013/03/22] 우리말) 약 머니북 2013-03-25 5664
1001 [2013/03/25] 우리말) 비몽사몽과 어리마리 머니북 2013-03-25 10439
1000 [2013/03/26] 우리말) 입찬말 머니북 2013-03-26 4101
999 [2013/03/27] 우리말) 독도에 '한국 땅' 새긴다 머니북 2013-03-27 3781
998 [2013/03/28] 우리말) 늙수그레 머니북 2013-03-28 3834
997 [2013/03/29] 우리말) 셋째 태어나고 아내에게 쓴 편지 머니북 2013-03-29 3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