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31]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조회 수 3412 추천 수 84 2009.08.31 08:45:26
같은 방송에서 곧이어 8:44에 '상당한 난이도의 문제'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난이도는 어렵고 쉬운 정도입니다. 상당하다는 어느 정도에 가깝거나 알맞다는 뜻인데,
'상당한 난이도'면 문제가 쉽다는 뜻인가요 어렵다는 뜻인가요?
저라면 그냥 '어려운 문제'라고 쓰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하늘이 참 맑고 깨끗하네요. 기분 좋게 한 주를 보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난 토요일 10:45, KBS에 보건복지부 직원이 나오셔서 인터뷰하시면서 '난임부부'라고 하셨습니다.
불임부부가 아닌 난임부부라고 말씀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일요일 아침 8:43, MBC에서 '쭉'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곧게 펴거나 벌리는 모양"은 '쭉'이 아니라 '죽'입니다.
네 활개를 죽 펴다, 허리를 죽 펴다처럼 써야 바릅니다.

같은 방송에서 곧이어 8:44에 '상당한 난이도의 문제'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난이도는 어렵고 쉬운 정도입니다. 상당하다는 어느 정도에 가깝거나 알맞다는 뜻인데,
'상당한 난이도'면 문제가 쉽다는 뜻인가요 어렵다는 뜻인가요?
저라면 그냥 '어려운 문제'라고 쓰겠습니다.

같은 방송에서 8:55에 '납골당'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납골당은 일본어투 말이라서 봉안당으로 다듬어야 할 말입니다.

9:14분에는 '뒷담화의 여왕'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대한민국 국어사전에 뒷담화라는 낱말은 없습니다.
뒷담화를 짚은 예전 편지를 붙입니다.

2분 뒤 '뱃속에서 축구'를 한다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뱃속은 마음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고,
태아가 있는 곳은 '배 속'입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뒷다마와 뒷담화]

어제저녁 7시 36분 MBC '불만제로'에서 사회자가
"날씨가 많이 더워졌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더위, 추위를 나타낼 때는 '많이'를 쓰면 안 되고 꽤, 무척, 상당히 등을 써야 합니다.


어제는 회사일로 태안에 다녀왔습니다.
가면서 차 안에서 라디오를 듣는데
아니나 다를까 또 제 귀를 의심하게 하는 말들이 나오더군요.
10시 30분 KBS2를 듣고 있는데,
회사 생활 이야기를 하면서 사회자가 '뒷다마'라는 말을 했습니다.
남 없는 자리에서 쑥덕거리는 것을 이야기하면서 나온 말입니다.
실수겠지 하면서 넘어갔습니다.

10분 뒤,
같은 사회자가 또 '뒷다마'라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뒷다마가 뭔지 다 아시죠?
이 말은 당구에서 나온 말 같습니다.
처음 치려고 했던 대로 맞지 않고 빗나갔던 공(다마)이 한 바퀴 더 돌아 맞는 것을 말합니다.
상대방이 봤을 때는 억울한 거죠.
여기서 나온 말로
상대방이 내 뒤통수에 대고 흉을 보는 것을 두고 뒷다마라고 합니다.

여기에 쓴 다마는 머리라는 뜻의 일본어 あたま[아타마]에서 왔거나
구슬이라는 뜻의 たま[타마]에서 왔을 겁니다. 머리를 구슬로 보고...
곧, 뒷다마는 뒷머리라는 뜻이고,
뒤통수를 치다는 뜻으로 쓰이는 것이죠.
당연히 국어사전에 없는 말입니다.

그런 말을 KBS 라디오에서 진행자가 한 겁니다.
그 사회자는 우리나라 국회의원을 지내신 분입니다.

얼마 전에 KBS 한 아나운서는 라디오 방송에서 '쿠사리'가 표준어라고 떼를 쓰다 곧바로 사과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도 그럴까 하고,
혹시나 하는 마음에 어제 그 방송을 끝까지 들었는데
사과 한마디 없더군요.
누리집에는 사과를 올렸는지 보려고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일부러 뒤져봤는데, 역시나 없더군요.
http://www.kbs.co.kr/radio/happyfm/hello/main.html

입이 근질거리기는 한데,
차마 심한 소리는 못 하겠네요. ^^*

우리말123


보태기)
그 방송은
'요일별 코너 참여'에서 <목요일엔 뒷담화>라는 꼭지가 있습니다.
'뒤 담화'일텐데
그런 낱말도 국어사전에 없습니다.

당연히 낱말이 필요하면 만들어야 합니다.
다만, 만들 때 품위있게 만들어야죠.
뒷다마에서 따 뒷담화라고 만들면
거친 싸구려라고 밖에 볼 수 없습니다.
'뒷말', '뒷소리', '뒷이야기'가 옆에서 울고 있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43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038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634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645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697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702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709
2671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730
2670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733
2669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734
2668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737
2667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745
2666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748
2665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754
2664 [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머니북 2016-08-10 2758
2663 [2016/05/19] 우리말) 씁쓸하다 머니북 2016-05-20 2768
2662 [2016/03/09] 우리말) 꽃샘추위/잎샘추위/꽃샘잎샘 머니북 2016-03-10 2771
2661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775
2660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775
2659 [2015/08/26] 우리말) 붓다(2) 머니북 2015-08-26 2780
2658 [2016/01/25] 우리말) 망고하다 머니북 2016-01-26 2783
2657 [2014/06/02] 우리말) 들차다 머니북 2014-06-02 2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