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9/02] 우리말) 제가 실수를 했네요. ^^*

조회 수 3387 추천 수 90 2009.09.02 10:38:13
'치다'의 앞말과 뒷말이 반대 뜻이면 보조사로 보고 치다를 앞말과 붙여 쓰고,
그렇지 않으면 동사로 보고 붙여 쓰시면 될 것 같습니다.
라고 했는데,
둘째 줄에서 설명한 '동사로 보고 붙여 쓰시면...' 이것은 제 실수입니다.
동사로 봤으니 당연히 띄어 써야죠. ^^*
다 이해하고 읽으셨죠? 그랬을 것으로 믿습니다. 고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침에는 쌀쌀하고 낮에는 더워 기온차가 크네요. 건강 조심하시길 빕니다.

어제 제가 보낸 편지에서 제 실수가 있었네요.

'치다'의 앞말과 뒷말이 반대 뜻이면 보조사로 보고 치다를 앞말과 붙여 쓰고,
그렇지 않으면 동사로 보고 붙여 쓰시면 될 것 같습니다.
라고 했는데,
둘째 줄에서 설명한 '동사로 보고 붙여 쓰시면...' 이것은 제 실수입니다.
동사로 봤으니 당연히 띄어 써야죠. ^^*
다 이해하고 읽으셨죠? 그랬을 것으로 믿습니다. 고맙습니다. ^^*

오늘은 한글문화연대에서 하고 있는 일을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보건복지가족부의 '홈리스'라는 법률용어를 가름할 우리말을 찾고 있습니다.
http://www.urimal.org/scrpt/board/board_show.asp?board_no=23&serial_no=4277
에 들어가서 보시고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urimal1@paran.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다음은 '기쁘고 슬픈 일을 한글로 나누자'는 운동입니다.
곧, 경조사 봉투를 우리말로 쓰자는 겁니다.
http://www.urimal.org/scrpt/board/alrim_show.asp?board_no=22&serial_no=253
에 들어가 보십시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잘과 잘못]

아침 뉴스를 들으니 또 가슴이 미어지네요.
왜 죄 없는 어린이를 데려다가... 정말 나쁜놈입니다.
쩝......

어제 보내드린 편지를 보시고,
한 대학교 국문과 교수님이 댓글을 다셨습니다.


선생님의 의견에 동의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사전에만 너무 묶이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언어는 용법이라는 것도 중요한 것이니까 언중들의 용법이 바뀌는 중이라면 어떨까요? 그렇다면 사전의 정의를 다시 내려야 하는 경우도 있을 텐데요. 이런 면도 함께 언급해 주면 더 좋을 듯합니다. '대충대충'이 말 그대로만 쓰인다고는 볼 수 없거든요. (2007-04-24 11:24:38)

고맙습니다.


어제 약속한 대로 오늘은 '잘'을 좀 볼게요.
이 '잘'도 참 억울한 게 많은 낱말입니다.

교수님의 말씀대로 언어에 용법이 있어 실제로는 다르게 쓰일 수도 있습니다.
저는 다만, 날마다 맞춤법 이야기만 보내면 좀 따분할 것 같아서,
좀 삐딱하게 나가보는 겁니다. ^^*

'잘'은 부사로 "좋고 훌륭하게" 또는 "옳고 바르게"라는 뜻으로
마음을 잘 써야 복을 받는다, 자식을 모두 잘 키웠다처럼 씁니다.
참 좋은 뜻의 낱말입니다.

다른 낱말로 '못'이 있습니다.
부사로 "(주로 동사 앞에 쓰여)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을 할 수 없다거나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못 미덥다, 술을 못 마시다, 잠을 통 못 자다처럼 씁니다.

이처럼 못과 잘은 서로 반대의 뜻입니다.
따라서,
잘함과 못함을 함께 이르려면 '잘'과 '못'을 같이 쓰면 됩니다.
곧 '잘못'이죠.
맞죠?

그러나
사전에서 '잘못'을 찾아보면,
"잘함과 못함"이 아니라
"잘하지 못한 짓이나 잘되지 않는 일"이라고 나옵니다.
좋고, 훌륭하고, 옳고, 바르다는 뜻은 없습니다.
왜 잘못의 뜻이 그래야 하죠?
좋은 뜻의 '잘'이 괜히 들어가서 오해를 받고 있잖아요.
안 그래요?
그러니 '잘'이 억울하죠. ^^*

'잘잘못'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사전에 보면,
"잘함과 잘못함"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왜 "잘함과 못함"이 아니라 "잘함과 잘못함"이라고 풀었죠?
이 또한 '잘'이 속 터질 일입니다.

제가 너무 '잘'편만 들었나요?

잘만 치우치게 사랑하고 좋아한다고 꾸중하셔도
저는 '못'보다 '잘'이 좋습니다. ^^*
잘 먹고, 잘 살고,
일도 잘하는 그런 저를 꿈꿔봅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96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537
996 [2014/10/29] 우리말) 찌게와 찌개 머니북 2014-10-29 3399
995 [2017/04/20] 우리말) 리터 단위 머니북 2017-04-21 3398
994 [2016/07/13] 우리말) 간데족족 머니북 2016-07-13 3398
993 [2015/10/20] 우리말) 희색만면하다 머니북 2015-10-20 3398
992 [2013/08/14] 우리말) 책 소개 '오염된 국어사전' 머니북 2013-08-14 3398
991 [2011/05/27] 우리말) 한걸음 moneybook 2011-05-27 3398
990 [2008/02/02] 우리말) 뉘누리... id: moneyplan 2008-02-02 3398
989 [2014/03/25] 우리말) 케케묵다 머니북 2014-03-25 3397
988 [2008/11/28] 우리말) 발품과 손품 id: moneyplan 2008-12-01 3397
987 [2007/12/06] 우리말) 가마리 id: moneyplan 2007-12-06 3397
986 [2014/06/20] 우리말) 노랫말의 반칙 머니북 2014-06-20 3396
985 [2014/02/07] 우리말) 불임이 아니라 난임 머니북 2014-02-10 3396
984 [2007/09/29] 우리말) '고향 방문을 환영합니다.'에서 틀린 곳이 있습니다. 어딜까요? id: moneyplan 2007-10-01 3396
983 [2012/11/13] 우리말) 자배기 머니북 2012-11-13 3395
982 [2013/06/11] 우리말) 압존법 머니북 2013-06-11 3394
981 [2008/11/19] 우리말) 오늘도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1-19 3394
980 [2013/01/16] 우리말) 야미 머니북 2013-01-17 3393
979 [2013/04/30] 우리말) 피라미드와 금자탑 머니북 2013-04-30 3392
978 [2012/08/02] 우리말) 올림픽 선수 이름 쓰기 머니북 2012-08-02 3392
977 [2009/08/04] 우리말) 지긋이와 지그시 id: moneyplan 2009-08-04 3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