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9/02] 우리말) 제가 실수를 했네요. ^^*

조회 수 3404 추천 수 90 2009.09.02 10:38:13
'치다'의 앞말과 뒷말이 반대 뜻이면 보조사로 보고 치다를 앞말과 붙여 쓰고,
그렇지 않으면 동사로 보고 붙여 쓰시면 될 것 같습니다.
라고 했는데,
둘째 줄에서 설명한 '동사로 보고 붙여 쓰시면...' 이것은 제 실수입니다.
동사로 봤으니 당연히 띄어 써야죠. ^^*
다 이해하고 읽으셨죠? 그랬을 것으로 믿습니다. 고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침에는 쌀쌀하고 낮에는 더워 기온차가 크네요. 건강 조심하시길 빕니다.

어제 제가 보낸 편지에서 제 실수가 있었네요.

'치다'의 앞말과 뒷말이 반대 뜻이면 보조사로 보고 치다를 앞말과 붙여 쓰고,
그렇지 않으면 동사로 보고 붙여 쓰시면 될 것 같습니다.
라고 했는데,
둘째 줄에서 설명한 '동사로 보고 붙여 쓰시면...' 이것은 제 실수입니다.
동사로 봤으니 당연히 띄어 써야죠. ^^*
다 이해하고 읽으셨죠? 그랬을 것으로 믿습니다. 고맙습니다. ^^*

오늘은 한글문화연대에서 하고 있는 일을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보건복지가족부의 '홈리스'라는 법률용어를 가름할 우리말을 찾고 있습니다.
http://www.urimal.org/scrpt/board/board_show.asp?board_no=23&serial_no=4277
에 들어가서 보시고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urimal1@paran.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다음은 '기쁘고 슬픈 일을 한글로 나누자'는 운동입니다.
곧, 경조사 봉투를 우리말로 쓰자는 겁니다.
http://www.urimal.org/scrpt/board/alrim_show.asp?board_no=22&serial_no=253
에 들어가 보십시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잘과 잘못]

아침 뉴스를 들으니 또 가슴이 미어지네요.
왜 죄 없는 어린이를 데려다가... 정말 나쁜놈입니다.
쩝......

어제 보내드린 편지를 보시고,
한 대학교 국문과 교수님이 댓글을 다셨습니다.


선생님의 의견에 동의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사전에만 너무 묶이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언어는 용법이라는 것도 중요한 것이니까 언중들의 용법이 바뀌는 중이라면 어떨까요? 그렇다면 사전의 정의를 다시 내려야 하는 경우도 있을 텐데요. 이런 면도 함께 언급해 주면 더 좋을 듯합니다. '대충대충'이 말 그대로만 쓰인다고는 볼 수 없거든요. (2007-04-24 11:24:38)

고맙습니다.


어제 약속한 대로 오늘은 '잘'을 좀 볼게요.
이 '잘'도 참 억울한 게 많은 낱말입니다.

교수님의 말씀대로 언어에 용법이 있어 실제로는 다르게 쓰일 수도 있습니다.
저는 다만, 날마다 맞춤법 이야기만 보내면 좀 따분할 것 같아서,
좀 삐딱하게 나가보는 겁니다. ^^*

'잘'은 부사로 "좋고 훌륭하게" 또는 "옳고 바르게"라는 뜻으로
마음을 잘 써야 복을 받는다, 자식을 모두 잘 키웠다처럼 씁니다.
참 좋은 뜻의 낱말입니다.

다른 낱말로 '못'이 있습니다.
부사로 "(주로 동사 앞에 쓰여)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을 할 수 없다거나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못 미덥다, 술을 못 마시다, 잠을 통 못 자다처럼 씁니다.

이처럼 못과 잘은 서로 반대의 뜻입니다.
따라서,
잘함과 못함을 함께 이르려면 '잘'과 '못'을 같이 쓰면 됩니다.
곧 '잘못'이죠.
맞죠?

그러나
사전에서 '잘못'을 찾아보면,
"잘함과 못함"이 아니라
"잘하지 못한 짓이나 잘되지 않는 일"이라고 나옵니다.
좋고, 훌륭하고, 옳고, 바르다는 뜻은 없습니다.
왜 잘못의 뜻이 그래야 하죠?
좋은 뜻의 '잘'이 괜히 들어가서 오해를 받고 있잖아요.
안 그래요?
그러니 '잘'이 억울하죠. ^^*

'잘잘못'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사전에 보면,
"잘함과 잘못함"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왜 "잘함과 못함"이 아니라 "잘함과 잘못함"이라고 풀었죠?
이 또한 '잘'이 속 터질 일입니다.

제가 너무 '잘'편만 들었나요?

잘만 치우치게 사랑하고 좋아한다고 꾸중하셔도
저는 '못'보다 '잘'이 좋습니다. ^^*
잘 먹고, 잘 살고,
일도 잘하는 그런 저를 꿈꿔봅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9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759
936 [2008/06/24] 우리말) 거방지다 id: moneyplan 2008-06-24 3395
935 [2008/04/23] 우리말) 꽃잎이 떨어지더라도 아쉬워 말자 id: moneyplan 2008-04-23 3395
934 [2011/03/02] 우리말) 파워 스폿 moneybook 2011-03-02 3394
933 [2008/03/06] 우리말) 양식이 아니라 서식입니다 id: moneyplan 2008-03-06 3394
932 [2010/11/03] 우리말) 소라색 moneybook 2010-11-03 3393
931 [2007/06/05] 우리말) 최대값과 최댓값 id: moneyplan 2007-06-05 3393
930 [2016/11/16] 우리말) 서리 머니북 2016-11-16 3392
929 [2015/08/12] 우리말) 책 소개 머니북 2015-08-12 3392
928 [2015/05/20] 우리말) 면죄부(2) 머니북 2015-05-20 3392
927 [2012/11/29] 우리말) 지르신다 머니북 2012-11-29 3392
926 [2010/11/08] 우리말) 첫과 첫눈 moneybook 2010-11-08 3392
925 [2009/11/11] 우리말) 군자삼변 id: moneyplan 2009-11-11 3392
924 [2008/12/03] 우리말) 찾다와 뒤지다 id: moneyplan 2008-12-04 3392
923 [2008/03/19] 우리말) 오늘도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3-19 3392
922 [2008/02/05] 우리말) 설빔 준비하셨나요? id: moneyplan 2008-02-05 3392
921 [2008/01/18] 우리말) 왜 농촌진흥청이 국가기관으로 있어야 하는가 id: moneyplan 2008-01-21 3392
920 [2013/05/30] 우리말) 시늉과 흉내 머니북 2013-05-30 3391
919 [2011/01/24] 우리말) 모포와 담요 openmind 2011-01-24 3391
918 [2009/09/04] 우리말) 이런 젠장... id: moneyplan 2009-09-04 3391
917 [2008/02/21] 우리말) 농촌진흥청이 감치도록 야젓하게 일할 겁니다 id: moneyplan 2008-02-21 3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