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9/04] 우리말) 이런 젠장...

조회 수 3469 추천 수 84 2009.09.04 08:57:56
본래 징크스(jinx)는
고대 그리스에서 불길한 징후를 나타내는 새의 이름에서 왔다고 합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불길한 일', '재수 없는 일'로 다듬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는 바빠서 편지를 늦게 보냈는데, 오후에 그 편지를 다시 보니 저절로 '이런 젠장...'이라는 말이 나오더군요.
가름과 갈음을 잘 설명해 놓고
뒤에서는 '따라서 홈리스라는 낱말을 바꿀 우리말을 찾는 것은 '가름'할 우리말을 찾는다고 해야 바릅니다.'라는 엉뚱한 소릴 했습니다.
당연히 '가름'이 아니라 '갈음'이 맞습니다.
정말 이놈의 징크스... 빨리 떨쳐버리고 싶은데 이게 쉽지가 않네요.
주말에 쉬면 좀 나아지겠죠? ^^*

뭔가 뜻에 맞지 않고 불만스러울 때 혼자 욕으로 하는 말이 '젠장'입니다.
딱 어제 같은 경우죠.
기껏 사과하면서 제대로 알려 드린다고 해놓고 또 틀렸으니 '젠장'보다 더한 말이 나오지 않는 게 다행입니다. ^^*

'젠장'은 '제기 난장'에서 왔다고 합니다.
'제기'는 '제기랄'할 때의 '제기'로 "형사고발하다"라는 뜻입니다.
'난장'은 고려나 조선시대 때 이곳저곳을 마구 때리던 형벌의 일종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제기 난장'이라고 하면 '형사고발하여 여기저기 두들겨 맞다'라는 뜻이 되죠.
좀 억지스럽긴 하지만
어쨌든 뭔가 제 뜻에 맞지 않은 때 쓰는 말입니다.

오늘은 '제기랄'이나 '젠장'이라고 혼자 중얼거릴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만발? 활짝 핌!]

오늘도 토요일이랍시고 집안 청소 좀 하고 늦게 나왔습니다.
이렇게라도 해야 집에서 쫓겨나지 않으니까요. ^^*


나오다 보니 여기저기 벚꽃이 활짝 피었네요.
마치 솜을 한 자밤씩 나뭇가지에 올려놓은 것처럼 멋있게 피었습니다.


이렇게 꽃이 활짝 핀 것을 '만개(滿開)'라고 합니다.
주로 언론에서 그렇게 떠듭니다.
그러나 그러면 안 됩니다.
특히 언론은 절대 그러면 안 됩니다.
국립국어원에서도 '활짝 핌'이라고 다듬어 놓은 낱말을 왜 굳이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언론이 쓰는 낱말 하나하나는 사람들이 그대로 따라하게 됩니다.
그래서 언론이 중요한 겁니다.
언론의 힘만 믿고 언죽번죽 떠들면 안 되는 까닭도 바로 여기에 있죠.
권한이 있으면 책임도 따르는 법입니다.

저는
'여의도 윤중로 벚꽃 만개'보다는
'여의둑길 벚꽃 활짝'이 훨씬 좋은데,
여러분은 어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9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19
836 [2010/02/01] 우리말) 다둥이 id: moneyplan 2010-02-01 3390
835 [2009/03/03] 우리말) 아뭏튼과 아무튼 id: moneyplan 2009-03-03 3389
834 [2015/08/18] 우리말) 쓰면 안 될 일본말 머니북 2015-08-19 3388
833 [2008/05/08] 우리말) 안전선 안과 밖 id: moneyplan 2008-05-08 3388
832 [2010/08/23] 우리말) 댓글 두 개 moneybook 2010-08-23 3386
831 [2010/04/19] 우리말) 튤립과 튜울립 id: moneyplan 2010-04-19 3385
830 [2014/10/14]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머니북 2014-10-14 3384
829 [2008/07/21]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8-07-21 3384
828 [2010/10/11] 우리말) 숫자로 살펴보는 우리말 moneybook 2010-10-11 3383
827 [2007/09/01] 우리말) 지킴이 인사말 id: moneyplan 2007-09-03 3383
826 [2011/04/11] 우리말) 너스레 moneybook 2011-04-12 3382
825 [2008/04/11] 우리말) 하기 마련이다와 하게 마련이다 id: moneyplan 2008-04-13 3382
824 [2014/12/26] 우리말) 피로해소/원기회복 머니북 2014-12-29 3381
823 [2012/01/02] 우리말) 한평생과 한뉘 머니북 2012-01-02 3381
822 [2009/11/24] 우리말) 한말글 이름 잘 짓는 열두 가지 방법 id: moneyplan 2009-11-24 3380
821 [2014/12/21] 우리말) 2014년에 읽은 책을 소개합니다. 머니북 2014-12-22 3379
820 [2012/05/04] 우리말) 주기와 주년 머니북 2012-05-04 3379
819 [2010/06/04] 우리말) 알음장과 알림장 moneybook 2010-06-04 3379
818 [2014/09/04] 우리말) 알갱이와 알맹이 머니북 2014-09-04 3378
817 [2013/05/06] 우리말) 꽃멀미와 꽃빛발 머니북 2013-05-06 3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