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9/07] 우리말) 떼려야 뗄 수 없는...

조회 수 2942 추천 수 86 2009.09.07 11:31:03
흔히
마치 하나처럼 둘로 떼려고 해도 뗄 수 없는 사이를 두고,
'뗄려야 뗄 수 없는 사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는 '떼려야 뗄 수 없는...'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확실한 가을의 문턱이네요. ^^*

많은 분이 아시는 것처럼 저는 농촌진흥청에서 일합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기획실이 제 일터입니다.
제가 일하는 농촌진흥청에서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라는 공공기관을 만들었습니다.
농촌진흥청의 연구원들이 연구한 결과를 되도록 빨리 농업현장에 전달해 드리고,
산업화를 통해 농업을 녹색성장의 핵심산업으로 발전시키는 게 그 재단의 목표입니다.
농업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성과를 산업화하는 국내 유일의 농업기술 실용화 전담기관이죠.
따라서 농촌진흥청과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입니다. ^^*

흔히
마치 하나처럼 둘로 떼려고 해도 뗄 수 없는 사이를 두고,
'뗄려야 뗄 수 없는 사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는 '떼려야 뗄 수 없는...'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려고 하여야'가 줄어든 말은 '-ㄹ래야'가 아니라 '-ㄹ려야'가 맞습니다.
그에 따라 '뗄려야'는 '떼려야'로 적고 읽기도 [뗄려야]가 아니라 [떼려야]로 읽어야 합니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바로 오늘 문을 여는 농업기술거래 및 실용화전문기관으로
제 일터인 농촌진흥청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입니다. ^^*
http://www.efact.or.kr 에 들어가 보시면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
전화로 하셔도 됩니다. 031)8012-7100 입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씨 띄어쓰기]

비가 오네요.
이 비는 맞으면 안 된다는데...

며칠 전에 '싸 군' 이야기할 때,
'성과 이름은 붙여 쓰고 호칭은 띄어 씁니다.
홍길동, 박길동이라 쓰고,
김 씨, 김 군처럼 씁니다.'라고 했습니다.

오늘은 이것을 좀더 풀어볼게요.

쉽게,
씨는
호칭일 때는 띄어 쓰고,
성씨 자체일 때는 붙여 씁니다.

곧,
그 일은 김 씨가 맡기로 했네, 홍길동 씨, 길동 씨, 희빈 장 씨에서는 띄어 쓰고,
박씨 부인, 최씨 문중, 그의 성은 남씨입니다에서는 붙여 씁니다.
뭐 그리 어려운 것도 아닙니다.
다만, 좀 헷갈리죠.

우리말, 우리의 삶과 넋을 담은 우리말이 좀 쉬우면 좋으련만
이렇게 경우에 따라 쓰임이 달라 자주 헷갈리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것저것 안 따지고 그냥 대충 쓰게 되고...
그래서 우리말이 바로 서지 못하고...
제 생각이 그렇다는 겁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6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95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702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717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759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768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773
2671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799
2670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800
2669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809
2668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810
2667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811
2666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824
2665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828
2664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837
2663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838
2662 [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머니북 2016-08-10 2841
2661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845
2660 [2016/07/04] 우리말) 욱여넣다 머니북 2016-07-06 2846
2659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847
2658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850
2657 [2016/05/19] 우리말) 씁쓸하다 머니북 2016-05-20 2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