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9/15] 우리말) 독농가와 모범 농가

조회 수 3605 추천 수 107 2009.09.15 10:02:26
'독농가'는 혼자서 농사를 짓는 獨농가가 아닙니다.
'독농가'는 篤農家로 모범 농가라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젯밤 12:11분에 KBS1에서 출연자가 "혼자 농사를 짓는 독농가..."라고 말을 했고,
자막에도 그렇게 나왔습니다.

'독농가'는 혼자서 농사를 짓는 獨농가가 아닙니다.
'독농가'는 篤農家로 모범 농가라는 뜻입니다.

이 말은 일본말에서 왔습니다.
篤農이라 쓰고 とくのう[도꾸노우]라 읽으며 뜻은 "독실한 농사꾼"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독농가'가 아니라 '모범 농가'나 '우수 농가'가 바르다고 봅니다.

짧은 제 생각에,
우리 사전에는 우리가 거의 쓰지 않는 한자말이 너무 많이 실려 있다고 봅니다.
그래놓고 우리말의 70%가 한자라고 이야기한다면 앞뒤가 맞지 않는 게 아닐까요?
그냥 제 생각입니다.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독서칼럼이라는 곳에 제 글이 올랐네요.
마침 그 글이 '독농가'로 시작합니다.
http://www.nlcy.go.kr:8085/column/main/main.php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코사지, 꽃사지, 코르사주, 가슴꽃]

다음 주 수요일(11일)에 농촌진흥청에서 큰 보고회가 있습니다.
지난해 농촌진흥청이 한 일을 국민에게 보고하는 자리입니다.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오실 수 있습니다.
작년처럼 큰 잔치가 아니라 한나절만 보고회를 합니다.
수원에 오시기 쉬운 분들은 그날 오세요.

흔히 큰 행사를 치를 때 보면(치룰 때가 아닙니다.)
높으신 분 가슴에 꽃을 달아드립니다.
그 꽃을 뭐라고 하죠?

코사지? 꽃사지?

그건 프랑스말인 Corsage입니다.
여자의 상반신이나 옷에 다는 작은 꽃묶음을 뜻한다고 합니다.
프랑스 발음은 아마도 [꼬르사주]겠지만,
우리말로는, 표준말로는 '코르사주'가 맞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사람들이 프랑스어 발음을 더 익숙하게 알고 있다면 프랑스어 발음을 표준발음으로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영어식 발음을 표준어로 봅니다.
그래서 Corsage의 표준말이 '코르사주'입니다.

그 뜻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보면,
'장신구의 하나. 여성들의 옷깃, 가슴, 허리 등에 다는 꽃묶음을 이른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영어사전을 봐도
'여성이 가슴·어깨에 다는 작은 꽃장식'으로 나와 있습니다.
남자들은 이 꽃을 달 수 없나 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4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65
1176 [2007/11/08] 우리말) 영어 교육 id: moneyplan 2007-11-08 3630
1175 [2013/10/25] 우리말) 꿀리다 머니북 2013-10-25 3631
1174 [2013/05/15] 우리말) 스승의 날에 읽어보는 교수의 반성문 머니북 2013-05-15 3631
1173 [2008/10/09] 우리말) 한글날 기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9 3632
1172 [2012/03/19]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머니북 2012-03-19 3632
1171 [2012/02/21] 우리말) 쑥스럽다 머니북 2012-02-21 3633
1170 [2016/08/16] 우리말) 모처럼/어쩌다 머니북 2016-08-17 3633
1169 [2008/08/06] 우리말) 메밀꽃 id: moneyplan 2008-08-06 3634
1168 [2008/12/01] 우리말) 알심 id: moneyplan 2008-12-01 3634
1167 [2014/01/14] 우리말) 예수남은 머니북 2014-01-14 3634
1166 [2007/05/11] 우리말) 아이들이 이리저리 피해 달아나며 뛰노는 장난 id: moneyplan 2007-05-11 3635
1165 [2008/09/30] 우리말) 멀다랗다와 머다랗다 id: moneyplan 2008-09-30 3635
1164 [2009/02/26] 우리말) 대로와 데로 id: moneyplan 2009-02-26 3636
1163 [2013/06/05] 우리말) 랍스터와 로브스터 머니북 2013-06-05 3636
1162 [2012/05/16] 우리말) 우리말 바로쓰기 머니북 2012-05-16 3637
1161 [2008/10/07] 우리말) 염치와 얌치 id: moneyplan 2008-10-07 3638
1160 [2013/12/10] 우리말) 책거리 머니북 2013-12-10 3638
1159 [2011/11/21] 우리말) 광어 -> 넙치 머니북 2011-11-21 3638
1158 [2007/07/10] 우리말) 금자탑 id: moneyplan 2007-07-10 3639
1157 [2008/08/04] 우리말) 답은 터앝입니다 id: moneyplan 2008-08-04 3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