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9/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조회 수 3489 추천 수 81 2009.09.22 09:50:55
오늘 문제는 바로 이것입니다.
명절에 찾아뵙지 못할 것 같아 미리 찾아뵙고 인사드리는 것을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문제를 내겠습니다.

어제는 벌초하러 가신 분들이 많으셔서 고속도로가 무척 밀렸나 봅니다.
이마도 이번 주도 그럴 것 같습니다.

명절에는 어르신을 찾아가서 인사를 드리는 게 도리입니다.
그러나 부득이 그럴 수 없을 때는
그전에 미리 찾아가서 인사를 드리기도 합니다.
아름다운 우리 문화라고 생각합니다.

오늘 문제는 바로 이것입니다.
명절에 찾아뵙지 못할 것 같아 미리 찾아뵙고 인사드리는 것을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오늘도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이자는 길미로]

어제 이번 달 카드 청구서가 왔는데 내야 할 돈이 무려 200만 원이 넘네요.
비록 몇 개 외국 학회 연회비와 6월에 외국학회 참가비를 미리 내서 그렇긴 하지만,
월급보다 많은 카드비를 어찌 내야 할지 막막하네요. ^^*

쥐꼬리만 한 월급 받아서 이렇게 저렇게 쓰고 나면 언제 돈을 모을지......
돈을 모아야 저축하고, 저축을 해야 이자가 붙고, 이자를 붙어야 돈을 불릴 텐데......
오늘은 돈 좀 모아볼 각오로,
'이자'말씀 좀 드릴게요.

이자(利子)는 '남에게 돈을 빌려 쓴 대가로 치르는 일정한 비율의 돈'이라는 이름씨(명사)입니다.
이것은 다 아시죠?
이 '이자'라는 낱말은 국립국어원에서 '길미', '변', '변리'로 다듬은 말입니다.
어려운 한자이거나 일본어투 말을 여러 학자가 모여 쉬운 한자나 순 우리말로 다듬었는데,
'이자'라는 낱말이 바로 거기에 해당합니다.

변(邊)은 '변리'라는 뜻이고,
변리(邊利)는 '남에게 돈을 빌려 쓴 대가로 치르는 일정한 비율의 돈'을 뜻하는 낱말입니다.
'이자'의 풀이와 같습니다.
'길미'는 '빚돈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로 무는 돈'입니다.
이자, 변, 변리, 길미 모두 같은 뜻입니다.

이렇게 뜻이 같은 낱말이 있다면,
당연히 한자말보다 우리말을 쓰시는 게 좋습니다.
곧, '이자'를 쓰지 않고 '길미'를 쓰시는 게 좋다고 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이자'를 다듬으면서,
'길미'와 함께 '변'과 '변리'를 넣은 까닭은 모르겠지만,
이자를 갈음하여 변이나 변리를 쓰는 것보다는 '길미'를 쓰시는 게 훨씬 좋아 보입니다.

저는 언제 돈 모아 길미 좀 챙겨볼지...
빨리 돈을 모아야 길미가 돌아오고,
그 길미를 모아 또 길미를 칠텐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2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491
2436 [2009/12/30] 우리말) 댓글 소개 id: moneyplan 2009-12-30 2988
2435 [2010/07/08] 우리말) 처서가 아니라 소서 moneybook 2010-07-08 2990
2434 [2016/11/02] 우리말) 속도 단위 머니북 2016-11-02 2990
2433 [2015/06/19] 우리말) 주책 머니북 2015-06-22 2991
2432 [2016/08/03] 우리말) 코스프레 머니북 2016-08-10 2991
2431 [2010/06/22] 우리말) 차두리와 덧두리 moneybook 2010-06-22 2993
2430 [2010/09/24] 우리말) 꽤 쌀쌀 moneybook 2010-09-24 2993
2429 [2016/04/12] 우리말) 발표할 때... 머니북 2016-04-16 2994
2428 [2010/10/14] 우리말) 답은 '노르다'입니다 moneybook 2010-10-14 2995
2427 [2016/03/15] 우리말) 남을 먼저 생각하는 말 머니북 2016-03-17 2995
2426 [2009/09/10] 우리말) 마찬가지 id: moneyplan 2009-09-10 2997
2425 [2009/03/16] 우리말) 주야장천 id: moneyplan 2009-03-16 2998
2424 [2012/02/10] 우리말) 예/아니요 머니북 2012-02-10 2998
2423 [2013/07/19] 우리말) 벌써와 벌써부터 머니북 2013-07-19 2998
2422 [2016/06/24] 우리말) 골탕 머니북 2016-06-26 2999
2421 [2010/11/19] 우리말) 트네기 moneybook 2010-11-19 3000
2420 [2013/01/04] 우리말) 쇄정이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머니북 2013-01-04 3000
2419 [2010/03/30] 우리말) 철들다 id: moneyplan 2010-03-30 3002
2418 [2009/03/18] 우리말) 사람 소개하는 방법 id: moneyplan 2009-03-18 3003
2417 [2009/08/10]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9-08-14 3003